신기후체제 대응 국내외 협력체계 운영

Title
신기후체제 대응 국내외 협력체계 운영
Authors
강주연
Co-Author
신하나; 이정호; 최희선
Issue Date
2016-12-31
Publisher
환경부
Series/Report No.
기후변화 적응 : 2016-001-09
Page
172 p.
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21120
Language
한국어
Abstract
1. 배경 및 필요성 가. 기후변화 적응 국제 동향 ▶ 2015년 12월 적응이 강화된 유엔기후변화협약(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UNFCCC) 파리협정(Paris Agreement) 최종 체결 ○각국이 스스로 정하는 기여(Intended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s: INDCs)를 통해 선·개도국 모두 기후변화 대응에 참여 ○감축과 함께 적응을 파리협정의 목표로 설정함으로써, 적응을 감축과 유사한 수준으로 격상시킴 ▶ 국제 사회에서 기후변화 적응 부문의 관련 재정 확대 및 중요성 증가 ○기후 국제재원이 증가하고 있을 뿐 아니라 GCF 재정 사용의 50%는 개도국 기후변화 적응 지원에 사용할 것으로 계획하는 등 기후변화 적응 재정도 증가 추세 ▶ 2014년 글로벌 기후재정은 18% 증가하였으며, 총 약 3,910억 달러 상당(CPI, 2015) ▶ 개도국의 온실가스 감축과 기후변화 적응 지원을 위한 녹색기후기금(GCF)은 기금의 50%은 기후변화 적응을 위해 사용하기로 결정 ○2015년 수립된 지속가능발전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는 총 17개의 목표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 기후변화 대응(Goal 13)을 주요 목표로 선정 ○뿐만 아니라 지속가능발전목표의 대다수 목표들은 기후변화 적응에 간접적으로 연관됨 ▶ 기후변화에 취약한 빈곤층과 취약계층의 취약성 노출 감소 및 회복력 구축(세부목표 1.5) ▶ 기후변화로 인한 물 부족 및 과다 등의 문제에 대한 대응(세부목표 6.4, 6.5, 6.6) ▶ 지속가능하며 회복력 있는 인프라 개발(세부목표 9.1) ▶ 극심한 기후현상 등으로 인한 재난의 경제적 손실과 사망자 및 피해자 감소(세부목표 11.5) ○국제 사회에서 기후변화 적응에 대한 인식 및 투자 지원이 강화됨에 따라 국제 동향에 발 빠른 대응을 통해 새로운 기회 모색 및 발굴 필요 ▶ 개도국의 기후변화 적응 지원에 대한 국제사회의 움직임 강화 ○파리협정은 전 지구적 기후변화 대응 노력을 점검하고 이행을 촉진하기 위해 2023년부터 적응을 포함한 글로벌 이행점검(glocal stocktake)을 5년 단위로 실시 ○선·개도국 모두 적응 노력을 강화할 것이며, 개도국의 적응 지원 수요 증대 예상 ○적응의 국내외적 수요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제1,2차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의 수립·이행 경험을 보유한 우리나라의 경험 및 노하우를 개도국에 전수하여 적응부문 국제협력의 우위 선점 필요 나. 기후변화 적응 국내 동향 ▶ 제2차 국가기후변화적응대책(2016~2020) 수립에 따른 적응 추진 기반 강화 ○제2차 적응대책은 1차 대책의 성과를 기반으로 보완·발전하였으며, 기후변화 리스크 분석을 바탕으로 적응기반 및 경제·사회·환경 분야별 통합적 적응추진체계를 구축하여 부문별 연계성 확보 및 통합적 접근으로 시너지 효과 창출 기대 ○14개 유관 부처가 참여했던 제1차 적응대책과 대비하여 제2차 적응대책에는 20개 유관 부처가 참여함에 따라 더 많은 기존 정책 및 부처 활동에 기후변화 적응을 적용 및 고려 ○제2차 적응대책은 4개 정책부문과 1개 정책기반으로 구성 ○제2차 적응대책 이행의 효과성 제고 지원을 위한 국내 거버넌스 구축 및 운영 지원 필요 ▶ 기후변화 적응 및 지속가능발전의 기반강화를 위해 국제협력의 필요성 강조 ○제2차 적응대책에 따라 국내외 적응정책 이행기반 마련의 일환으로 국제협력을 강화하고자 함 ▶ 기후변화 적응 남북협력사업 추진, 기후변화 적응 협력(교육) 국가 증대를 주요 핵심지표로 선정 ▶ 주요 추진과제로 개도국 기후변화 적응 역량강화 지원을 위한 사업 추진, 국제 적응 네트워크 협력 및 공동연구사업 확대 등을 포함 ▶ 체감적 기후변화 피해의 현실화 및 기후의 변동성에 따른 피해 극대화 ○기후 변동성 및 극한기후 심화로 인해 기후변화의 피해 체감 현실화 ○예상하지 못한 또는 전례 없는 기후변화 현상이 발생함에 따라 기후변화 피해 및 영향 예측, 기후변화 적응 관련 최신 이슈 발굴 및 대책 방향 수립 등의 필요성 제기 2. 사업 목적 및 내용 가. 사업 목적 ▶ 기후변화 적응 국제 협력체계 강화 ○기후변화 관련 주요 국제회의 및 협상(UNFCCC, IPCC, APAN 등)에 능동적 참여를 통한 국제 적응협력 체계 강화에 기여 ○개도국 기후변화 적응 역량강화 지원을 통한 적응부문 국제 리더십 고취 ▶ 기후변화 적응부문 다자 협력체계 구축 ○기후변화 적응 국제 심포지엄 개최를 통해 다양한 국내외 적응전문가 교류의 장 마련 ○선진국(영국, 호주 등) 및 국제기구(UNEP, UNCDF 등)와 협력추진을 통한 다자 협력체계 구축 ▶ 기후변화 적응부문 거버넌스 체계 구축 ○기후변화 적응관련 최신 주요 이슈에 대한 논의체계 구축을 통한 적응부문 거버넌스 체계 구축 나. 사업 내용 ※ 당초 계획과 달리 국내외 동향 및 수요 변화에 따라 필요 사업들 추가 수행 ▶ 기후변화 적응 국제회의 참석 및 개도국 지원 ○기후변화 관련 주요 국제회의 참석 및 협상 지원 ▶ UNFCCC(5월, 11월) 주요 협상회의 참석 및 적응부문 자문 ▶ 아태 기후변화 적응 네트워크(APAN) 운영위원회 참석 및 협력 도모 ○개도국 기후변화 적응 역량강화교육 지원 ▶ 개도국 기후변화 적응 역량강화 지원 워크숍 개최 ▶ 기후변화 적응 국제 협력체계 구축 ○기후변화 적응 국제행사 개최 ▶ ‘제8회 기후변화적응 심포지엄’ 개최 ○기후변화 적응 선진국 및 국제기구와 협력 강화 ▶ 기후변화 적응 관련 전문기관 간 협력 어젠다 발굴 ▶ 한국-일본 기후변화 적응 국가계획 및 정책 공유 워크숍 개최 (※추가 수행) ▶ 기후변화 적응부문 거버넌스 구축 ○기후변화 적응 단기 이슈 대응을 위한 협력 네트워크 구축 및 대응책 마련을 위한 포럼 운영 ▶ 제1~5차 적응 이슈 발굴 포럼 운영 ○제2차 국가기후변화 적응대책 이행지원 ▶ 기후변화 적응 국제동향 세미나 개최 (※추가 수행) ▶ 남북 적응협력 사업 추진을 위한 문헌조사 및 관계자 네트워크 구축 ▶ 2016 한국기후변화학회 하반기 학술대회 KACCC 특별세션 개최 (※추가 수행)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 론
1. 배경 및 필요성
가. 기후변화 적응 국제 동향
나. 기후변화 적응 국내 동향
2. 사업 목적 및 내용
가. 사업 목적
나. 사업 내용

제2장 기후변화 적응 국제회의 참석 및 개도국 지원
1. 기후변화 적응 관련 국제회의 참석 및 협상 지원
가. 배경 및 목적
나. 추진 결과
1) 아시아·태평양 기후변화 적응네트워크(APAN) 운영위원회 참여
2) UNFCCC 독일 본 기후변화 협상회의 참여
3) UNFCCC 모로코 마라케시 기후변화협상회의 참여
2. 개도국 기후변화 적응 역량강화 지원
가. 배경 및 목적
나. 추진 결과
1) 개도국 기후변화 적응역량강화 지원 국제교육 워크숍 개최

제3장 기후변화 적응 국제협력 체계 구축
1. 기후변화 적응 국제행사 개최
가. 배경 및 목적
나. 추진 결과
1) 2016 아태지역 기후변화 적응 포럼(APAN Adaptation Forum) 세션 참여
2) UNFCCC 모로코 마라케시 기후변화협상회의 부대행사 개최
3) 제8회 기후변화 적응 국제 심포지엄 개최
2. 기후변화 적응 관련 선진국 및 국제기구와 협력 강화
가. 배경 및 목적
나. 추진 결과
1) 기후변화 적응 관련 전문기관 협력 회의 : 적응 어젠다 발굴 참여
2) 한국-일본 기후변화 적응 국가계획 및 정책 공유 워크숍 개최

제4장 기후변화 적응부문 국내 거버넌스 구축
1. 기후변화 적응 이슈 논의 및 협력 네트워크 구축
가. 배경 및 목적
나. 추진 결과
1) 제1차 기후변화 적응 이슈 발굴 및 대응 포럼 : 기후변화 시나리오 개최
2) 제2차 기후변화 적응 이슈 발굴 및 대응 포럼 : 물관리 개최
3) 제3차 기후변화 적응 이슈 발굴 및 대응 포럼 : 적응 기술 개최
4) 기후변화 적응 이슈 발굴 및 대응 포럼 개선 방안 마련
5) 제4차 기후변화 적응 이슈 발굴 및 대응 포럼 : 적응 보험 개최
6) 제5차 기후변화 적응 이슈 발굴 및 대응 포럼 : 국가 기후변화 리스크 평가 개최
2. 제2차 국가적응대책 주요 이슈 논의 및 이행지원
가. 배경 및 목적
나. 추진 결과
1) 기후변화 적응 국제동향 세미나 : 파리협정 및 SDGs 적응부문 대응방안 모색 개최
2) 남북 적응협력 사업 추진을 위한 문헌조사 및 관련 네트워크 구축
3) 2016 한국기후변화학회 하반기 학술대회 KACCC 특별세션 개최

제5장 결 론
1. 종합 시사점 및 향후 발전 방향
가. 종합 시사점
2. 부문별 시사점 및 향후 발전 방향
가. 기후변화 적응 국제 협력 체계 강화
나. 기후변화 적응부문 다자 협력체계 구축
다. 기후변화 적응부문 국내 거버넌스 구축

부록. 회의록 및 결과보고
1. 기후변화 적응 관련 국제회의 참석 및 협상지원 결과보고
가. 아시아?태평양 기후변화 적응네트워크(APAN) 운영위원회 결과보고
나. 2016 UNFCCC 독일 본 기후변화협상회의 결과보고
다. 2016 UNFCCC 모로코 마라케시 기후변화협상회의 결과보고
2. 기후변화 적응 국제행사 결과보고 및 회의록
가. 2016 아태지역 기후변화 적응 포럼(APAN Adaptation Forum) 주요 결과보고
나. 제8회 기후변화 적응 국제 심포지엄 회의록
다. 한국-일본 기후변화 적응 국가계획 및 정책 공유 워크숍 회의록
3. 기후변화 적응 이슈 발굴 및 대응 포럼 회의록
가. 제1차 기후변화 적응 이슈 발굴 및 대응 포럼 회의록
나. 제2차 기후변화 적응 이슈 발굴 및 대응 포럼 회의록
다. 제3차 기후변화 적응 이슈 발굴 및 대응 포럼 회의록
라. 제4차 기후변화 적응 이슈 발굴 및 대응 포럼 회의록
마. 제5차 기후변화 적응 이슈 발굴 및 대응 포럼 회의록
바. 기후변화 적응 이슈 정책 브리프
4. 제2차 국가적응대책 주요 이슈 논의 및 이행 지원 회의록 및 기타
가. 기후변화 적응 국제동향 세미나 회의록
나. 남북 기후변화 적응협력 추진을 위한 기초 조사
다. 한스자이델 남북협력 사업 관련 자문 회의 회의록
라. 2016 하반기 기후변화학회 KACCC 특별세션 회의록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ETC
Files in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