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농업 부문의 온실가스 감축 정책이 국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하향식 모형과 상향식 모형을 연계하는 통합모형을 구축하되, 기존 통합모형들과는 달리 상향식 모형을 다품목 모형으로 확장하고, 또한 PMP기법을 적용하여 기준년도의 값을 복원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구성된 통합모형을 활용하여 농업 부문 비에너지 배출의 80% 정도를 차지하는 장내발효, 가축분뇨처리, 벼 재배에 대해 감축 정책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이들 조치로 인해 농업 부문에서는 약 240만 톤 정도의 온실가스 배출이 감소하며, 기준년도 대비 약 12%의 감축률을 나타내었다.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계산된 한계저감비용은 1톤 CO2eq 당 GDP 기준 12,988원, 농업생산액 기준 8,574원으로서, 현재의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가격 등을 감안할 때 에너지원 배출량의 저감 대책에 비해 좀 더 비용효과적인 모습을 보였다. [핵심주제어] 상·하향 통합모형, 온실가스감축, 농업부문 This study constructs a combined top-down and bottom-up model for Korea, in order to analyze the impacts of non-energy greenhouse gas mitigation activities in the agricultural sector. The impacts of mitigation activities such as paddy field water management, livestock feeding improvement and manure management are analyzed. The region-specific bottom-up model is equipped with a positive mathematical programming procedure so that the business as usual data is fully recovered by the combined model.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er ton mitigation cost of agricultural non-energy emissions is about half of the current CO2 permit market price in Korea. [Key Words] Combined Top-Down and Bottom-Up Model, Greenhouse Gas Mitigation, Agricultural Sec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