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질예보 운영계획(안) 수립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최지용 -
dc.contributor.other 조을생 -
dc.contributor.other 한대호 -
dc.contributor.other 김창덕 -
dc.date.accessioned 2017-09-13T00:57:22Z -
dc.date.available 2017-09-13T00:57:22Z -
dc.date.issued 20110531 -
dc.identifier A 환5210 2011-05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21805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5/006/수질예보운영계획_안_수립연구_최지용.PDF -
dc.description.abstract 정부는 4대강 살리기 사업에 따라 건설된 보 등 변화된 수 환경에 대한 과학적인 수질예보를 통해 선제적 수질관리를 하고자 하고 있다. 선제적 수질관리란 수질예보를 통해 사전에 하천과 호수의 수질오염실태를 예측하고 예측수준에 따라 사전에 적절하게 대응하고 관리하고자 하는 시스템이다. 이를 위해 수질예보제 도입을 추진하고 있으며, 수질통합관리센타를 통해 2011년 8월에 수질예보가 시험 운영될 예정이다. 성공적인 수질예보 운영을 위해서는 기상, 수리, 수문, 오염원 및 수질 측정자료의 원활한 연계가 요구될 뿐만 아니라 수질예보 결과에 따라 댐 및 보 운영 등 수질과 유량의 통합관리를 위해서 관계기관의 유기적인 협조체계가 구축되어야 한다. 수질예보에 대한 외국의 경험은 미국의 하천과 해수욕장, 유럽의 해수욕장, 호주의 일부 하천과 해안에 적용된 사례는 있지만 이를 하천에 적용하여 상시 예보를 통한 사전예방적 수질관리시스템을 구축한 국가는 드물다. 수질예보를 통한 성공적 수질관리를 위해서는 관련 부처, 기관간 업무 협조사항 정립과 효율적 운영시스템 구축을 통해 예보시스템이 작동될 수 있어야 한다. 수질예보제는 공공수역내 수질관리를 위한 다양한 자료제공과 더불어 공공수역의 사전예방적 대응을 통한 수질관리의 효율성 제고와 수질예보를 통한 대국민 수질환경에 대한 서비스 제공도 목적이 있다. 선제적 수질관리를 위해서는 수질 및 수생태계 관리에 관련된 수질, 수량, 기상관련기관 등의 합리적인 의사소통 시스템 구축과 동시에 예보 상황에 따른 공조체제가 구축되어야 한다. 그리고 수질예보시스템이 효율적으로 가동되기 위해서는 환경부 및 관련 중앙부처간, 중앙 및 지자체간, 공사 및 공단 등 공공기관간 협력방안 등이 마련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질예보시스템 운영을 위해 요구되는 각종 자료의 연계뿐만 아니라 수질예보 결과에 따른 댐 및 보 운영 등 수량관리시 반영사항, 수질예보 단계별 유기적인 협조체계 구축 방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수질 예보 관련 예보 단계별 기관별 협조체계, 예보와 경보의 효율적 연계방안, 수질예보 시스템 운영을 위한 중앙부처, 관련공기업, 지방자치단체 등 조치사항 및 협력체계 구축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특히 예보 결과에 따른 수량관리기관인 국토해양부, 농림수산식품부, 지식경제부 등의 수리시설물 운영 및 수질개선조치를 위한 협조사항 등도 제안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러한 협조사항이 효율적으로 추진되기 위한 법 및 제도 개선방안과 관련 지침 등도 제안하고자 한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1장 서 론 <br> 1-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br>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br><br>제2장 수질예보관련 국내·외 실태 <br> 2-1. 국내 사례 <br> 1. 조류경보제 <br> 2. 수질오염감시경보 <br> 2-2. 국외 사례 <br> 1. 미국 샌 호아퀸(San Joaquin) 강 <br> 2. 플로리다의 NOAA HAB <br> 3. 태국 방콕 유역관리 <br> 4. 라인강 수질경보 <br> 5. 호주 <br> 6. 오스트리아 <br> 7. 기타 수질예보 <br><br>제3장 수질예보 운영체계 구축방안 <br> 3-1. 예보 및 결과활용을 위한 관련기관 협조 실태 <br> 1. 기상 <br> 2. 홍수예보 <br> 3. 갈수예보 <br> 4. 수질오염경보제 <br> 5. 수질오염 감시·감독 <br> 3-2. 효율적 수질예보 운영방안 <br> 1. 수질예보의 원칙과 합리적 운영시스템 구축 <br> 2. 수질예보를 위한 관계기관 협력방안 <br> 3. 예보결과에 대한 관계기관 대응방안 <br> 4. 기존의 감시·감독체계 활용방안 <br> 5. 장기예보시스템 구축 <br> 3-3. 제도개선 방안 <br> 1. 수질오염예보와 수질오염감시경보의 연계운영 <br> 2. 수질예보시스템 운영 지침 <br><br>제4장 결론 <br><br>참고문헌 -
dc.format.extent vi, 151 p. -
dc.publisher 국립환경과학원 -
dc.title 수질예보 운영계획(안) 수립 연구 -
dc.type 수탁보고서 -
dc.contributor.department 한국환경정책ㆍ평가연구원 -
dc.description.keyword 물환경 -
dc.identifier.citationtitle 수탁보고서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ETC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