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비무장지대 일원 정책과 연구의 변화 및 시사점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박은진 -
dc.contributor.author 여인애 -
dc.date.accessioned 2018-07-17T00:57:33Z -
dc.date.available 2018-07-17T00:57:33Z -
dc.date.issued 20180630 -
dc.identifier.citation 환경정책. : 제26권 제2호 2018년 6월 19-45 p.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22238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21/011/02_한반도_비무장지대_일원_정책과_연구의_변화_및_시사점.pdf -
dc.description.abstract 본 연구는 비무장지대와 그 인접지역을 주제로 정전 이후 현재까지 65여 년에 걸쳐 출판된 한국학술지인용색인 (KCI) 논문, 석?박사 학위논문, 정부 및 연구기관 보고서, 기타정기간행물을 수집하여 정책과 연구의 시간적 변화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비무장지대’, ‘DMZ’, ‘민통선’, ‘접경지역’을 키워드로 2017년까지의 자료를 검색한 결과, 총 919건이 조사되었다. 이 중 1953~1987년의 자료가 전체 건수의 3%에 불과한 반면, 그 이후에 97% 의 자료가 생산되어 양적으로 급격한 증가가 있었다. 주제에 있어서도 초기에는 비무장지대 일원의 야생동물 및 서식지에 대한 기초 조사가 많았으나 점차 남북 협력, 관광, 지역 개발, 환경 등 다양한 주제로 변화하였다. 또한, 초기에 준학술적 성격의 정기간행물 자료가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였으나 학술논문, 학위논문, 정부 정책보고서 등 보다 학술적 성격의 자료가 꾸준히 증가하였다. 자료의 건수와 주제는 정치적 상황, 국정과제, 지역적 관심과 관련되어 있었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기초연구와 조사보다는 자연자원의 이용 관련 연구들이 크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분석은 향후 급변가능성이 큰 비무장지대 일원의 생물다양성과 생태가치를 평가하고 지속가능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생태, 사회경제 데이터 축적에 더 많은 연구와 모니터링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핵심주제어] DMZ, 접경지역, 민통선지역 -
dc.description.abstract In this study we have collected and analyzed all the publications, including policy reports, dissertations, Korea Citation Index (KCI) and non-KCI articles, relating to the Korean demilitarized zone (DMZ) and surrounding area published over the past 65 years. There were a total of 919 publications, of which only 3% dated from 1953 to 1987, while 97% were written post-1987. Not only did the number increase rapidly, the themes also broadened, going from simple studies on the wildlife and habitats there, to covering various fields such as coope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tourism, local development, and environment. In the earlier period, more non-KCI articles were counted, but academic and governmental reports increased over time. The change in the number of texts and their themes clearly correlated with changes in the political situation, presidential policy, and local concern associated with the DMZ. The literature increased largely in relation to the utilization of natural resources rather than basic research or data. This analysis implies that more research and the monitoring of basic ecological and socio-economic data are needed to assess the biodiversity and ecological value of the area, and thus contribute to sustainable development before rapid changes confront the DMZ ecosystem. [Key Words] DMZ, Transboundary Area, Civilian Control Zone -
dc.format.extent 19-45 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환경정책학회 -
dc.title 한반도 비무장지대 일원 정책과 연구의 변화 및 시사점 -
dc.title.alternative Changes in policy and research regrading the Korean demilitarized -
dc.type 환경정책 -
dc.identifier.citationtitle 환경정책 -
dc.identifier.citationvolume 제26권 제2호 2018년 6월 -
Appears in Collections:
Periodicals(정기간행물) >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and Administration(환경정책)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