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책부록]국가 리스크 관리를 위한 기후변화 적응역량 구축·평가 : 수요자의 인식을 고려한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정책방안(Ⅰ)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채여라 -
dc.contributor.other 이승준 -
dc.contributor.other 전호철 -
dc.contributor.other 정다운 -
dc.contributor.other 박종철 -
dc.contributor.other 김대수 -
dc.contributor.other 안윤정 -
dc.contributor.other 이주형 -
dc.contributor.other 김서형 -
dc.contributor.other 김백민 -
dc.contributor.other 김해동 -
dc.contributor.other 김호 -
dc.contributor.other 김영욱 -
dc.contributor.other 김이진 -
dc.contributor.other 한국기후ㆍ환경네트워크 -
dc.date.accessioned 2019-06-03T19:30:23Z -
dc.date.available 2019-06-03T19:30:23Z -
dc.date.issued 20181231 -
dc.identifier A 환1185 사업2018-01-02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22504 -
dc.description.abstract 본 연구는 기후변화 리스크와 관련하여 현장에서 대응해야 할 일반인들이 해당 개념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인식하는지가 중요하다는 사실을 바탕으로 기후변화 리스크의 커뮤니케이션 정책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1차 연도 연구에서는 일반인과 전문가 대상 심층면접을 진행하여 기후변화 리스크 관련 각 집단의 인식 흐름을 비교·분석함으로써 일반인 대상 기후변화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단서를 마련하였다. 차년도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도출한 커뮤니케이션 단서를 바탕으로 기존 커뮤니케이션 사례를 조사하고 적용 가능한 커뮤니케이션 방식의 효과성을 검증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수요자의 인식을 고려한 기후변화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정책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기후변화 리스크에 대한 전문가와 일반인 간 인식 차이가 크다는 문헌연구의 결과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전문가 집단과 일반인 집단의 심층면접을 통해 기후변화 리스크를 둘러싼 인식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각 집단에서 드러난 기후변화 위험을 둘러싼 인식의 흐름을 모형화하고, 두 집단의 인식 흐름을 비교하여 인식의 차이가 나타나는 주요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활용하여 인식의 차이를 유발한 주요 요인을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 단서를 도출하였다. 전문가와 일반인 집단 간에 기후변화 리스크 관련 개념인식, 원인과 영향 및 피해, 국가별 특성, 리스크 변수, 리스크 인식, 정부정책, 대응방안, 사회적 관심 부족의 원인 등에서 인식의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두 집단의 인식 차이가 나타나는 요인을 바탕으로 정보의 불확실성 인식 제고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일반인이 이해할 수 있는 기후변화 위험 정보의 가공 및 제공, 기본 개념에 관한 정확한 정보 제공, 실질적인 기후변화 영향 정보 제공, 사회적 대응역량 강화를 위한 기후변화 적응의 홍보, 개인 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기후변화 체감별 맞춤형 정보 제공을 7가지 커뮤니케이션 단서로 제시하였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1. 연구목적 및 방법 <br>가. 연구배경 및 목적 <br>나. 연구방법 <br> <br>2. 문헌연구를 통한 이론적 배경 분석 <br>가. 리스크 인식의 패러다임 변화 <br>나. 기후변화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의 필요성 <br>다. 리스크 인식 분석을 위한 인간심리모델 활용 <br>라. 리스크 인식 및 커뮤니케이션 바탕의 기후변화 대응정책 연구 동향 <br> <br>3. 심층면접 결과 분석 <br>가. 심층면접 세부내용의 비교·분석 <br>나. 전문가와 일반인의 주요 인식 차이 <br> <br>4. 기후변화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단서 <br>가. 정보의 불확실성 인식 제고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br>나. 일반인이 이해할 수 있는 기후변화 위험 정보의 가공 및 제공 <br>다. 기본 개념에 관한 정확한 정보 제공 <br>라. 실질적인 기후변화 영향 정보 제공 <br>마. 사회적 대응역량 강화를 위한 기후변화 적응의 홍보 <br>바. 개인 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br>사. 기후변화 체감별 맞춤형 정보 제공 <br> <br>5. 결론 및 향후 과제 <br><br>참고문헌 -
dc.format.extent 59 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subject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
dc.subject 기후변화 인식 -
dc.subject 심층면접 -
dc.subject 인간심리모델 -
dc.title [별책부록]국가 리스크 관리를 위한 기후변화 적응역량 구축·평가 : 수요자의 인식을 고려한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정책방안(Ⅰ) -
dc.type 사업보고서 -
dc.title.original Evidence-based climate change risk management framework for customized adaptation -
dc.title.partname 사업보고서 -
dc.title.partnumber 2018-01-02 -
dc.description.keyword 기후변화대응 -
dc.rights.openmeta Y -
dc.rights.openimage Y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Yeora Chae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Project Report(사업보고서)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