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미세먼지 농도추이 및 한중 간의 오염도 상관관계 분석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주현수 -
dc.contributor.other 이승민 -
dc.contributor.other 최지원 -
dc.contributor.other 김채윤 -
dc.contributor.other 최민욱 -
dc.contributor.other 김기환 -
dc.date.accessioned 2019-09-02T19:30:10Z -
dc.date.available 2019-09-02T19:30:10Z -
dc.date.issued 20190306 -
dc.identifier A 환1185 정2019-05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22593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11/009/수시_2019_05_주현수.pdf -
dc.description.abstract The public health is at risk due to consistent high levels of Particulate Matter(PM) in Korea, and public unease is growing as well. One of the main causes for the high concentrations of PM is assumed to be atmospheric pollutants originating in China that travel across a long distance to Korea. In this research we analyzed PM trends across all regions of China by using all available data, and quantitatively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time-series and regional concentrations in major cities in Korea and China. China is currently implementing various and advanced policies related to air quality and PM. As a result, the concentration of Particulate Matter (PM , PM ) in most parts of China is decreasing, but there is still a high concentration exceeding the domestic environmental standard, with a large possibility that this could greatly affect the air quality of Korea, one of the neighboring countries of China. In this study, it was revealed that not only ??Jingjinji (metropolitan area) but areas near the Bohai Sea and the northern border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were also included in the areas which correlate highly with PM concentrations in Seoul. Air quality improvement cooperation projects between Korea and China are currently being carried out mainly focusing on Shandong and North China regions, but it is believed to be necessary to expand these projects to regions, the cities of which show high correlation with cities of Korea. The effects on domestic air quality from international sources are generally analyzed quantitatively through atmospheric modeling. However, the modeling process is time-consuming and thus makes it difficult to analyze long-term impacts in reality. For this reason, it also serves as an element that makes it difficult for the government to take immediate action when establishing atmospheric policies that take into account the effects of foreign countries. In this case, using the methodology of analyzing the concentration correl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applied in this study would make setting policy direction easier and more immediate. -
dc.description.abstract 국내에서 미세먼지 고농도 사례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국민 건강이 우려되는 상황이며, 이러한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중국에서 발생한 대기오염물질의 장거리 이동으로 추정되고 있다. 중국은 다양하고 고도화된 대기환경 및 미세먼지 정책을 최근 적극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중국 대부분의 지역에서 PM 및 PM 농도가 감소하는 추이를 보이고는 있으나, 여전히 한국의 환경기준을 초과하는 고농도 값을 유지하고 있어, 인접 국가인 한국의 대기환경에 큰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계속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가용한 중국의 데이터를 최대한 활용하여 중국 전역의 미세먼지 농도추이를 분석하고, 한국 및 중국의 주요 도시를 대상으로 시계열별 및 지역별 농도 상관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한국 및 중국의 미세먼지 농도 상관성을 지역별로 분석한 결과, 그 동안 서울과 미세먼지 농도 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었던 중국의 징진지(수도권) 지역 이외에도 보하이해 인근 및 한반도 북쪽 경계부 지역 등도 서울의 미세먼지 농도와 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현재 한국과 중국의 대기질 개선 협력사업은 중국 산둥, 화북 지역 등을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으나, 대중국 협력사업을 한·중 도시 간 상관관계가 높은 타 지역으로도 확대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 대기질에 미치는 국외 요인의 영향은 대기모델링을 통해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장기간의 외부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이러한 모델링 작업에는 긴 시간이 소요되는데 이러한 점은 국외로부터의 영향을 고려한 즉각적 대기정책 수립에 제한적 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본 연구에서 적용한 양국 간 농도 상관성 분석 방법론을 이용하면 더욱 수월하고 즉각적으로 정책적 대응방향을 설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1장 서 론 <br><br>제2장 중국의 대기환경·미세먼지 정책동향 및 오염원 분포현황 <br>1. 중국의 대기환경 및 미세먼지 정책동향 <br>2. 중국의 발전시설 환경규제 정책동향<br>3. 중국의 대기오염도 목표 달성 현황(2017년 기준) <br>4. 중국의 대기오염원 분포현황 <br><br>제3장 중국의 미세먼지 농도변화 추이 및 한·중 간 농도 비교 <br>1. 중국의 미세먼지 농도 현황 및 추이 <br>2. 한국 및 중국의 미세먼지 농도 현황 비교 <br><br>제4장 한국 및 중국의 미세먼지 농도 상관성 분석 <br>1. 한국 및 중국의 미세먼지 농도 시차 영향 분석 <br>2. 한국 및 중국의 미세먼지 농도 상관성 분석 <br>3. 서울의 미세먼지 농도 인과모형 개발 <br><br>제5장 결론 및 요약 <br><br>참고문헌 <br><br>Abstract -
dc.format.extent 182 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subject 미세먼지 -
dc.subject 중국 -
dc.subject 농도 상관성 -
dc.subject 농도추이 -
dc.subject 정책동향 -
dc.subject Particulate Matter (PM) -
dc.subject China -
dc.subject Correlation of HighConcentrations -
dc.subject Concentration Trends -
dc.subject Policy Direction -
dc.title 중국의 미세먼지 농도추이 및 한중 간의 오염도 상관관계 분석 -
dc.type 수시연구 -
dc.title.original A study on concentration trends of particulate matter in China and correlation between air pollution levels in Korea and China -
dc.title.partname 정책보고서 -
dc.title.partnumber 2019-05 -
dc.description.keyword 기후변화대응 -
dc.rights.openmeta Y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Hyun-Soo Joo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Policy Study(정책보고서)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