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 자연환경보전정책 발전방향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박용하 -
dc.contributor.other 이동근 -
dc.contributor.other 최재용 -
dc.contributor.other 변병설 -
dc.contributor.other 정회성 -
dc.contributor.other 김남범 -
dc.contributor.other 김정원 -
dc.contributor.other 원신원 -
dc.contributor.other 권정아 -
dc.date.accessioned 2019-12-05T19:30:08Z -
dc.date.available 2019-12-05T19:30:08Z -
dc.date.issued 20010301 -
dc.identifier A 환6100 2001-7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22748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3/001/[01_수탁]21세기자연보전정책(박용하).pdf -
dc.description.abstract 1. 연구배경 20세기 이후에 도래한 급격한 인구의 증가와 경제 발전은 국토의 대규모 개발과 자연환경의 훼손을 초래하고 있다. 도시화와 공업화는 자연생태계를 훼손하고 단편화하였고 해안의 경관은 이미 대규모로 변화하였다. 이로 인해 아름다운 자연경관이 사라졌으며 귀중한 생물의 서식처가 파괴되었다. 이러한 경제발전은 국민에게 경제적인 풍요함을 제공하였으나 국민의 ‘삶의 질’이 향상되었다는 데에는 이견이 많다. 더욱이 이러한 경제 발전 과정을 통해 인간이 살고 있는 환경의 질은 낮아지고 생물다양성도 심각하게 감소되었으며 이는 궁극적으로 우리의 삶의 질을 낮아지게 하고 국가의 발전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치게 한다는 우려가 더욱 높아지고 있다. 21세기에 있어서 국가의 가장 중요한 정책은 환경과 복지정책으로 인간의 삶은 양적 향상보다는 질적 향상에 우선될 것이다. 이러한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국가의 법은 ‘92년 9월부터 시행되고 있는 「자연환경보전법」이라 할 수 있다. 더욱이 이법에 근거하고 있는 ‘자연환경보전기본계획’의 효율적인 시행은 국민의 삶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법은 1997년에 개정되어 제7조에 “환경부 장관은 5년마다 전국자연환경보전계획을 수립해야 한다”라고 제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국가의 계획을 수립함에 있어 사전에 그간의 자연환경보전정책을 정밀하게 재점검하고, 21세기 자연과 인간의 공생할 수 있는 자연자원의 보전과 지속 가능한 개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부와 국민이 함께 추진해 나가야 할 자연보전정책의 필요성이 제시된 바 있다. 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 차원에서 추진해야 할 21세기 자연보전정책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자연환경보전을 위한 국제사회의 동향 분석 및 대응방안, 자연생태계를 보전?복원하고 생물다양성을 회복할 수 있는 정책방향, 통일을 대비한 한반도의 생태계보전 정책방향, 국토이용계획과 도시개발계획 및 산업단지 조성 등으로부터 자연환경보전을 위한 대책 및 정책 방향, 자연친화적이고 지속가능한 자연자원을 이용하는 행동 양식 등을 다루고자 한다. 단 본 연구에서는 환경영향평가 및 토양환경보전에 관한 부분은 다루지 않는다. 이러한 목적을 추진하기 위한 과업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선진외국 및 국제사회의 자연보전정책을 분석하고 이들의 정책적인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는 미국, 영국, 일본 등 자연자원 보전정책을 체계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외국의 자연보전정책(생물다양성보전을 위한 행동계획, 자연?자원보전 중장기계획 등) 등을 수집?분석하고자 하였다. 둘째, 자연환경보전을 위한 국제사회의 동향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대응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경우 그간 추진하였던 우리나라의 자연보전정책을 선진 외국의 정책, 국제사회의 동향과 비교?분석하는 등 그간 우리나라 자연보전정책을 Zero base부터 재점검?평가하고 장단점을 분석하고자 한다. 둘째, 훼손된 자연 복원 및 생물다양성의 회복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우리나라에서 생태계가 훼손되어 생물다양성이 감소되고 있는 주요 요인을 점검하고, 서식지에서의 우수 생태계 보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무분별한 개발과 환경오염 등에 의하여 훼손된 자연생태계를 보전?복원하고 생물다양성을 회복할 수 있는 정책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셋째, 통일에 대비한 한반도 자연보전정책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납북접경지역의 우수생태계 보전은 물론 두만강 개발사업에 따른 중국?러시아 접경지역의 생태계훼손 방지 등 통일에 대비한 한반도 생태계보전 정책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넷째, 자연자원 절약형 사회구조로의 전환 방향 및 자연친화적 행동 양식을 제시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자연자원의 보전과 자원의 합리적인 이용을 통한 지속 가능한 개발“이 추진될 수 있도록 자원 절약형 사회구조로의 방향 전환을 모색하고 자연친화적인 행동 양식을 제시하고자 한다. 다섯째, 각종 개발사업 및 개발계획으로부터 자연보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는 국토이용계획과 도시개발계획 및 산업단지 조성 등으로부터 자연환경보전을 위한 대책 및 정책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여섯째, 위해서 도출된 다양한 대안을 종합하여 자연보전을 위한 21세기 자연보전 중장기 정책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I. 서문 <br><br>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br>2. 연구의 목적 및 범위 <br>3. 연구 추진방법 <br><br>II. 우리나라의 자연환경현황 <br><br>1. 일반적인 자연?사회적 특성 <br> 1.1. 자연?지리적 특성 <br> 1.2. 인문?사회적 특성 <br>2. 주요 생태계 <br> 2.1. 산림 생태계 <br> 2.2. 농경지 생태계 <br> 2.3. 도시 생태계 <br> 2.4. 호소 생태계 <br> 2.5. 하천 생태계 <br> 2.6. 습지 생태계 <br> 2.7. 해양 생태계 <br>3. 북한 <br> 3.1. 생물종 <br> 3.2. 삼림자원 <br> 3.3. 자연보호지구 <br> 3.4. 식물?동물보호지구 <br> 3.5. 바닷새 보호지구 <br>4. 남북접경지역 <br> 4.1. 지리적 현황 <br> 4.2. 자연환경 현황 <br> 4.3. 토지이용 현황 <br> 4.4. 남북교류 활성화 등에 따른 자연환경 훼손 우려 <br>5. 생물종 현황 <br> 5.1. 부문별 현황 <br> 5.2. 생물다양성의 감소 <br><br><br>III. 자연환경보전정책과 연계된 국내외 여건의 전망 <br><br>1. 국내 여건 <br> 1.1. 국민의식의 변화 <br> 1.2. 국토이용의 변화에 따른 녹지 및 야생종의 감소 <br> 1.3. 기타 환경?자원 부문 <br> 1.4. 생산 및 과학?정보?환경기술의 발전 <br> 1.5. 환경산업규모의 증대 <br> 1.6. 국토통일 <br>2. 국외 여건 <br> 2.1. 인구 <br> 2.2. 자원고갈, 에너지위기 그리고 기후변화 <br> 2.3. 수자원과 수질오염 <br> 2.4. 유해화학물질 및 오존층 고갈 <br> 2.5. 산림파괴와 사막화현상 및 생물다양성 감소 <br> 2.6. 생물주권주의 강화 <br> 2.7. 생태관광수요의 증가 <br><br>IV. 자연환경보전을 위한 정부의 추진정책 및 평가 <br><br>1. 국토관리 <br> 1.1. 환경법?제도적 측면 <br> 1.2. 개발정책에 대한 전방위 환경성 <br> 1.3. 국토환경정보체계 <br> 1.4. 국토관리계획 <br>2. 자연생태계우수지역 <br> 2.1. 자연공원 <br> 2.2. 생태계보전지역 <br> 2.3. 생물권보전지역 <br> 2.4. 천연보호림 <br> 2.5. 천연보호구역 <br> 2.6. 습지보호지역 <br> 2.7. 조수보호지역 <br> 2.8. 도서지역관리 <br> 2.9. 정책평가 <br>3. 생물다양성 <br> 3.1. 조사?연구?모니터링 <br> 3.2. 현지 내?외 생물종 보전 <br> 3.3. 야생 동?식물의 보호 <br> 3.4. 정책평가 <br>4. 주요 생태계별<br> 4.1. 산림생태계 <br> 4.2. 농촌생태계 <br> 4.3. 도시생태계 <br> 4.4. 하천 및 호소생태계 <br> 4.5. 습지생태계 <br> 4.6. 해양생태계 <br>5. 남북 접경지역 <br>6. 생물다양성협약 등 국제협력 <br>7. 예산 <br> 7.1. 예산 확보 및 관리 정책 <br> 7.2. 평가 <br>8. 유인제도<br> 8.1. 자연환경보전법 <br> 8.2. 산림법 <br> 8.3. 기타법 <br> 8.4. 정책평가 <br><br>V. 21세기 자연환경정책의 발전방향 <br><br>1. 자연환경의 비전과 정책목표 <br>3. 정책방향 <br>4. 정책추진원칙 <br>5. 정책추진전략 <br><br>VI. 21세기 자연환경보전을 위한 추진 분야별 계획 <br><br>1. 자연생태계 보전 <br> 1.1. 자연생태계 조사사업 등의 확충 <br> 1.2. 멸종위기종, 보호대상 야생동식물종의 적극적 보전 <br> 1.3. 생태계 위해요인의 통제 <br> 1.4. 생태계 네트워크 구성 및 복원 등 <br>2. 자연생태계의 지속가능한 이용 <br> 2.1. 생물자원의 보전 <br> 2.2. 자연자원의 지속가능한 이용 <br>3. 자연생태계 관리 능력 강화 <br> 3.1. 생태계보호지역 관리제고 <br> 3.2. 연계분야와의 통합 또는 협력 관리를 통한 자연환경의 관리체계 개발 <br> 3.3. 북한의 자연환경보전을 위한 협력방안 <br> 3.4. 정보 및 기술 교환 체계의 효율성 증진 <br> 3.5. 국민의 자연친화적 양식 및 행동 유도 <br> 3.6. 주민참여의 활성화<br> 3.7. 국제협력 증진 <br>4. 집행체계의 정비 <br> 4.1. 법, 제도 등의 정비 <br> 4.2. 적정 예산 확보 및 효율적 집행 <br><br>VII. 맺음글 <br><br>인용문헌 <br><br> 21세기 자연환경보전 기본 계획 주요 내용(안) <br> 자연환경보전 관련 국제협약 <br> 생물다양성 관리를 위한 OECD의 주요 유인제도 <br> 생물다양성 협약에서 제시된 생태계접근 <br> 미국, 영국, 일본의 자연환경보전 추진정책 <br> DoI/FWS의 FY1999-2001 예산 집행 및 요구액 -
dc.format.extent viii, 280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환경부 -
dc.title 21세기 자연환경보전정책 발전방향 -
dc.type 수탁보고서 -
dc.contributor.department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description.keyword 자연환경 -
dc.description.bibliographicalintroduction * 본 보고서의 결론부입니다. 21세기에 우리 국민이 추구하는 삶은 생명력 있는 자연이 숨쉬는 한반도에서 자연과 공생하는 쾌적한 생활이다. 자연은 더 이상의 무분별한 개발대상이 아니며 인간과 자연과의 공생하는 삶을 기대하는 것이다. 이러한 자연환경정책의 비전은 우리의 전통적 자연사상과 일맥상통하는 것이다. 따라서 21세기의 자연환경정책은 지속 가능한 개발과 보전이라는 두 가지 명제를 모두 만족시켜 자연과 인간이 공생할 수 있는 방향에서 결정되어야 한다. 특히 남?북한의 통일이 민족의 당면과제로 자리 잡고 있는 현재에서는 우리의 자연환경정책은 남한에 국한된 정책이 아닌 한반도 전체의 미래를 대비할 수 있는 정책이어야 한다. 이와 같은 한반도의 자연환경보전정책은 장기적인 측면과 단기적인 측면으로 구분하여 추진해야 할 것이다. 장기적인 정책방향으로는 자연환경정책의 대명제인 생명력 있는 자연이 숨쉬는 한반도를 조성하기 위한 생물다양성의 보전과 자연생태계의 네트워크가 구축되어야 한다. 그러나 남북이 분단되어 있는 것과 자연환경보전정책이 다른 환경정책분야보다 우선순위가 높지 않다는 현실을 감안할 때 이러한 자연환경의 목표를 단기간에 추진하는 것은 상당한 무리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장기적인 정책목표를 고려하여 단계적으로 현실화시킬 수 있는 단기적인 정책목표를 수립하여 단계적으로 정책을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단기적인 자연환경보전정책의 당면과제는 첫째, 무분별한 개발 및 다양한 자연환경의 훼손 요인으로부터 우수한 자연생태계의 훼손을 방지하는 것이다. 자연은 일단 훼손되면 이를 복원하기 어려우며, 복원을 위해서는 막대한 비용이 지불되어야 한다. 따라서 대상지역에 대한 충분히 연구?검토 이후에 합리적인 계획을 마련하고 비로소 자연을 지속 가능하게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명제의 전제에는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충분한 자료와 분석과 적절한 계획 없이는 자연생태계와 생물다양성을 훼손해서는 아니 된다는 원칙이 지켜져야 한다. 둘째 당면과제는 단절된 생태계를 연결해야 하는 것이다. 현실적으로 한반도의 자연환경을 보전할 수는 없으나 생태계의 단절에 의한 생물다양성의 훼손은 방지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생태계를 연결되는 거점지역의 훼손된 자연생태계를 복원하여 전국토의 생태네트워크를 조성해야 한다. 셋째 당면과제는 지속 가능한 자연 자원의 이용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과 수단을 마련하고 자연생태계의 이용 용량을 확충하는 것이다. 넷째 당면과제는 목표 추진을 위한 관리능력을 제고하고 집행체계를 효율적으로 정비하는 것이다. 자연환경의 보전을 위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생태계와 생물다양성에 대한 과학적인 기초자료가 기본이 되어야 한다. 우리 자연생태계의 충분한 조사 자료와 정보가 지원되어야 하며, 이를 바탕으로 한 경제적?문화적?심미적인 가치가 파악되고, 무분별한 자연생태계의 훼손을 방지하고 현재의 자연 자원을 보전할 수 있는 관리능력이 제고되어야 한다. 또한 국가의 환경보전정책은 정부의 독자적인 추진 정책으로는 그 실효성을 거두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특히 우리나라와 같이 땅이 작고 인구 밀도가 높은 국가의 환경정책은 중앙, 지자체, 지역주민 등과의 partnership이 어우러져 추진되어야 하며, 특히 현 시점에서는 여러 민간환경단체 및 지역주민의 의견이 수렴되는 정책이 추진될 때 그 실효성이 크게 나타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법과 제도, 적절한 재원이 지원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또한 정책 목표를 추진함에 있어 자연생태계를 보전하는 목적이 우리와 우리 후손이 지속 가능하게 이용하기 위함이라는 목적을 간과해서는 아니 된다. 따라서 지속가능한 자연생태계 및 생물다양성의 활용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즉 과학적인 자연생태계의 조사 자료와 정보의 토대 위에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자연환경의 보전과 지속 가능한 이용정책이 추진되어야 한다. 본 연구보고서에서는 21세기 자연환경보전정책을 추진함에 있어 21세기 자연환경에 대한 비전과 이를 현실화시킬 수 있는 정책목표, 원칙과 추진전략을 세우고 자연생태계 보전, 지속가능한 이용, 관리능력 제고 및 집행체계의 정비 등 자연환경정책을 추진하기 위한 분야별로 추진해야 할 정책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우리나라 21세기 자연환경보전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정책을 제시하는 데 따른 다음과 같은 연구의 한계를 가지고 있다. 첫째, 북한의 자연환경에 관련된 자료가 미흡하여 한반도 전체를 대상으로 한 구체적인 자연환경보전계획을 수립할 수 없다는 것이다. 둘째, 자연환경보전정책에서 다루는 다양한 분야에 따라 발생하는 연구의 범위에 관한 것이다. 본 연구를 추진함에 있어 자연환경보전정책에 관련된 부처는 건설교통부, 농림부, 문화관광부, 산업자원부, 해양수산부, 과학기술부 등 다양하였으며, 본 연구 보고서에서 자연환경보전정책에 관련된 모든 분야를 다루어 국가적인 차원에서의 자연환경보전정책을 제시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다른 부서에서 다루고 있는 자연환경보전정책에 대해서는 각 분야별로 이미 정책을 추진하고 있거나 이미 구체적인 자연환경보전정책계획을 수립하고 있는 상태로 이들 정책에 대한 국가적인 차원에서 구체적인 검토와 평가에는 연구의 제한이 있었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각 분야에 걸친 자연환경보전정책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으나, 정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구체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수단, 방법, 예산 등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보고서에서 각 추진정책 분야별로 구체적인 수단, 방법, 예산 등을 제안하기에는 한계가 있었으며, 각 분야별로 정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정책추진에 적합한 구체적인 내용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각 추진정책방향에 대한 추진절차, 절차에 따른 구체적인 수단, 조직구성 등에 대하여서는 연구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넷째, 우리의 전통적 자연사상이 충분히 반영된 계획을 제시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우리의 전통사상은 자연과 사람이 공생하는 개념이나 이러한 전통사상을 계획에 반영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과 방법이 모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다섯째, 장?단기적인 정책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역동적(dynamic)인 지역의 자연보전계획으로는 미흡하다는 것이다. 계획은 시대의 흐름에 적정해야 하며, 특히 지역인 환경계획은 지역의 특성에 적합하게 제시되어야 하나, 본 연구에서 제시된 환경정책의 목표와 원칙, 추진전략 등을 모든 지역에 동일하게 적용하기에는 많은 무리가 있다. 이와 관련한 향후 연구과제는 이상의 연구한계로부터 도출이 가능하다. 첫째, 북한과의 정책 및 학술분야에 대한 지속적인 교류가 이루어질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다. 충분한 자료 및 정보의 교환을 통해 한반도 전체를 대상으로 한 구체적인 자연환경보전계획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둘째, 본 과제에서 제기된 각 정책의 개선방향에 대한 구체적인 실천방안의 계속적인 연구이다. 정책은 적정한 방향과 이를 추진할 수 있는 구체적인 수단이 있을 때 비로소 현실화될 수 있다. 셋째, 자연환경보전정책의 각 유형별로 그리고 지역별로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유형별, 지역별 연구를 있어서는 자연환경보전이라는 대전제 하에 국토의 전체적인 맥락에서 검토되고 지역적인 차원에서 현실적 자연환경보전계획이 수립?이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2-3개소의 지역단위를 선정하고, 지역에 적합한 구체적이고 역동적인 자연환경보전계획을 수립하고 이행한 결과에 대한 면밀하고 합리적인 평가가 시행되어야 하며, 이를 토대로 전국적인 규모로 확산시킬 수 있을 것이다. 넷째, 현재 추진되고 있는 부처별 자연환경보전정책에 대하여 자연환경보전 차원에서 역할과 성과를 평가하고 개선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자연환경보전정책의 실효성은 관련 부처의 정책을 면밀하게 분석하고 평가함으로써 그 실효성을 높일 수 있다. 특히 자연환경보전정책과 국토이용과의 연계성과 관련하여 보다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다섯째, 우리 전통적인 자연사상을 계획에 접목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dc.identifier.citationtitle 수탁보고서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Park Yong-Ha -
dc.contributor.affiliation 환경부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ETC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