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환경종합평가방법 개발 조사연구(Ⅲ) 최종보고서 :인체 및 수생태계 위해성 평가체계 구축

Title
물환경종합평가방법 개발 조사연구(Ⅲ) 최종보고서 :인체 및 수생태계 위해성 평가체계 구축
Authors
최지용
Co-Author
한대호; 안윤주; 남선화; 이우미; 백용욱; 함지영; 이주영
Issue Date
2006-10-31
Publisher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Series/Report No.
수탁보고서
Page
xviii, 707 p.
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22785
Language
한국어
Abstract
1. 연구 배경 최근 환경부의 10개년 물관리종합대책 정책 패러다임의 하나로 위해성 관리가 새로이 도입된 시점에서, 미약한 위해성 연구의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가장 시급한 과제일 것이다. 따라서 일찍이 유해화학물질의 위해성을 인식하고 적절한 관리 체계를 이루고 있는 선진국의 위해성 평가 및 관리 정책을 검토하여 국내 물 환경에 적합한 위해성 평가 방안을 수립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발전시켜나가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 물 환경을 고려한 국내형 위해성 평가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국내 생물종을 이용한 생태 독성 평가 지침을 확립하고 유해화학물질의 인체 및 생태계로의 노출 가능성 및 노출로 인한 악영향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독성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독성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국내형 인체 및 생태 위해성 평가 기법을 마련하여 이화학적 수질관리체계와 더불어 생물학적 수질관리체계를 병행해 나가야 한다. 마지막으로 1978년 제정 이후 거의 그대로 유지되고 있는 수질환경기준과 배출허용기준, 먹는 물 기준 등의 규제기준과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보다 효율적인 수질관련 기준의 보완이 필요하다. 2. 연구 범위 본 연구는 총 3년(2003.12 ~ 2006.10)에 걸쳐 진행되었고, 마지막 3차년도(2005.12 ~ 2006.10)는 인체 및 수생태계의 위해성 평가체계 구축 연구로, 크게 1, 2차년도의 방법론 및 연구결과에 대한 검토와 위해성에 근거한 수질관리를 위한 인프라 구축 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3. 연구 내용 1) 2차년도에 제시된 최종 관리수치에 대한 기술적(공학 및 분석적) 및 경제적 영향 분석 방법론 검증?보완 2) 유해화학물질 검토대상 52개 물질(기존 9개 포함)에 대한 수질 준거치 및 최종관리수치 검토?제시 3) 인체 및 수생태계 위해성 평가를 위한 발암계수 등 독성자료 확보 및 DB화 4) 수생태계 위해성 평가기반 연구 5) 수생태계 영향평가를 위한 수질관리체계 제시 6) 수질환경기준과 배출허용기준, 먹는물 기준 등 규제기준과의 연계 방법론 제시 7) 위해물질의 인체?수생태계 영향 및 관리 필요성 등 관련 홍보물 시안 마련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2. 연구 범위 및 연구 내용
1. 연구 범위
2. 연구 내용
3. 연구 추진 방향 및 방법

제2장 1, 2차년도 연구 요약
2-1. 1차년도 연구 요약
1. 수질 측정 및 평가 방법 매뉴얼 제작
2. 수질 준거치 및 수질 준거치 제정 지침 마련
2-2. 2차년도 연구 요약
1. 수질 준거치 및 수질 준거치 제정 지침 마련

제3장 최종 관리수치에 대한 기술적 및 경제적 영향 분석 방법론 검증?보완
3-1. 최종 관리수치에 대한 영향 분석 방법론 검토
1. 공학적 영향 분석 방법론
2. 분석적 영향 분석 방법론
3. 경제적 영향 분석 방법론
4. 결론

제4장 유해화학물질 검토대상 52개 물질에 대한 수질 준거치 및 최종관리수치 검토/제시
4-1. 위해성 평가를 통한 수질 준거치 검토/제시
1. 수질 준거치 검토/제시
2. 수질 모니터링 값 검토/제시
3. 위해성 평가를 통한 준거치 설정 대상물질 선정
4-2. 최종 관리수치 검토/제시
1. 방법론
2. 최종관리수치 제시

제5장 위해성 평가를 위한 독성 데이터베이스 구축
5-1. 수체로의 유출 가능성별 우선순위물질 목록 도출
1. 조사 대상 선정
2. 우선순위 목록 도출 기준
3. 우선순위 물질 목록 (안)
5-2. 유해화학물질 검토 대상 52개 항목의 독성 데이터베이스 구축
1. 비소 (Arsenic, As) (예)

제6장 수생태계 영향 평가를 위한 수질관리체계 제시
6-1. 연구의 필요성
6-2. 생물모니터링과 이화학모니터링을 연계한 단계적 수질관리체계 제시
1. 대상수역의 분할구역(Segment) 설정
2. 분할구역별 생물모니터링 수행
3. 분할구역별 생태독성모니터링 적용
4. 이화학모니터링 수행
5. 생태 위해성의 원인물질 확정
6-3. 현재의 제한점 및 향후 방향

제7장 수생태계 위해성 평가기반 연구
7-1. 수생태계 보호를 위한 준거치 검토
1. CMC와 CCC 도입방안 및 국내 적용 가능한 방법론 제시
7-2. 국내 자생종별 생태독성 시험방법 마련
1. 연구 기반
2. 국내외 생태 독성 시험법 현황
3. 국내 생태 독성 시험방법 마련
4. 현재의 제한점 및 향후 방향

제8장 수질환경기준과 수질규제기준과의 연계 방법론 제시
8-1. 수질관련 환경기준 현황 및 연계성 검토
1. 연구 기반
2. 국내외 수질관련 환경기준 현황
3. 국내외 수질관련 환경기준 비교
4. 요약 및 결론

제9장 홍보물 시안 마련
9-1. 위해성이란
9-2. 위해물질에 대한 노출 경로
9-3. 위해물질의 인체?수생태계 유해 영향 및 피해 사례
9-4. 위해물질 관리의 필요성

참고문헌

부록
제1절. 유해화학물질 검토대상 52개 물질에 대한 수질 준거치 시방서
1-1. 유해화학물질 검토 대상 52개 물질에 대한 인체 준거치 시방서
1-2. 유해화학물질 검토 대상 52개 물질에 대한 생태 준거치 시방서

제2절. 유해화학물질 검토대상 52개 물질에 대한 독성 자료 구축
2-1. 유해화학물질 검토 대상 52개 물질에 대한 독성 DB

제3절. 2차년도에 제시된 최종 관리수치에 대한 기술적(공학 및 분석적 및 경제적 영향 분석 방법론 검증?보완
3-1. 유해화학물질 검토 대상 52개 물질의 최종관리수치에 대한 영향 분석 방법론 검토

제4절. 유해화학물질 검토 대상 43개 물질 수질 모니터링 자료

제5절. 1, 2차년도에 제시된 먹는물 감시 항목(15개) 공정시험방법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ETC
Files in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