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다양성 부국과의 생물다양성 협력 추진 방안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장훈 -
dc.contributor.other 노태호 -
dc.contributor.other 박용하 -
dc.contributor.other 윤정호 -
dc.contributor.other 강택구 -
dc.contributor.other 심창섭 -
dc.contributor.other 김규리 -
dc.contributor.other 강한나 -
dc.contributor.other 최소희 -
dc.date.accessioned 2019-12-10T19:30:09Z -
dc.date.available 2019-12-10T19:30:09Z -
dc.date.issued 20150611 -
dc.identifier A 생3600 2015-01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22810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5/015/생물다양성부국과의생물다양성협력추진방안연구(장훈).pdf -
dc.description.abstract 생물다양성 관련 국가별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차후 생물다양성 부국과의 연구사업 등의 협력활동에 대한 기반 마련을 위해 다음의 세 가지 주요 연구내용을 수행함. (1) 생물다양성 보전 정책 이행을 위한 주요 생물다양성 부국과 네트워크 구축 생물다양성 부국과의 생물다양성 협력 네트워크 구축 방안을 연구하고 주요 생물다양성 부국과의 지속적 네트워크 구축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연구를 수행함. ① 생물다양성협약의 문헌 조사 및 국내외 동향을 분석함. ② 또한 국내 생물자원의 지원 정책 및 법률을 분석함. ③ 이와 함께 국제 워크숍 개최를 통해 국내외 관계자 네트워크 강화 및 전문가의 의견 청취를 통한 생물다양성 부국과의 연계 방안을 도출하고, ④ 국내 민간산업계 생물자원의 활용 정책에 관한 자문을 구함. (2) 주요 유전자원 접근 대상국과 협력 채널 구축 주요 유전자원 제공국과 협력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① 지역별 또는 국제적 협력 채널 현황을 분석하여 주요 유전자원 제공국 중 협력 대상국을 선정함. ② 선정된 제공국의 생물다양성 정책 조사 및 분석내용을 국내 산업계에 제공할 방안을 마련함. (3) 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에 관한 정책 지원 주요 생물다양성 보전 국가 및 기관과의 협력 활동을 촉진하고, 국내 생물다양성 정책을 홍보하며, 생물다양성 부국과의 다자간 협의 과제를 발굴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연구를 수행함. ① 생물다양성협약 사무총장 및 국내외 관련 전문가 등이 참가한 국제 세미나를 개최하였고, ② 유엔환경계획(UNEP)과 관련 이니셔티브 다자간 협력 프로그램을 분석하여 다자간협력 연구 프로그램 마련을 위한 로드맵을 구축함. ③ 주요 국가의 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 관련 정책 관련자와의 회의 및 전자메일을 통한 서면자문 등을 통해 생물다양성 부국과의 네트워크 구축안을 마련함.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차 례<br><br>Ⅰ. 서 론 <br>1. 연구배경 <br>2. 연구목적 <br><br>Ⅱ. 연구내용 및 방법 <br>1. 연구의 범위 <br>2. 연구 추진 방법 <br>3. 연구진 구성 <br>4. 연구추진체계 <br><br>Ⅲ. 연구결과 및 고찰 <br>1. 주요 생물다양성 부국과 네트워크 구축 <br>1.1 주요 생물다양성 부국과 네트워크 구축 필요성 <br>1.1.1 생물다양성 협약과 국제협력 <br>1.1.2 생물다양성부국과의 네트워크 구축 필요성 <br>1.2 생물다양성 부국과의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민·관자문단 구성 및 운영 <br>1.2.1 민·관자문단의 필요성 <br>1.2.2 민·관자문단 구성 현황 <br>1.2.3 민·관자문단 운영 현황 <br>1.2.4 국내 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분야 전문가의 능력배양 세미나 개최 <br>1.2.5 지속적인 민·관자문단 운영 방안 <br>1.3 주요 생물다양성 부국과의 지속적 네트워크 구축 방안 제시 <br>1.3.1 국내 홍보 활동 <br>1.3.2 안정적 재정확보 <br>1.3.3 협력 네트워크 시설 및 체계 마련 <br>2. 주요 유전자원 접근 대상국과 협력 채널 구축 <br>2.1 주요 유전자원 제공국 조사 및 협력 대상국 선정 <br>2.2 권역 설정을 통한 권역별 협력 방안 <br>3. 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에 관한 정책 지원 <br>3.1 주요 생물다양성 보전 국가와의 협력 활동 발굴 <br>3.1.1 주요 협력 대상국 <br>3.1.2 협력 활동 제안 <br>3.2 생물다양성 보전 국가 대상 국내 생물다양성 정책 홍보 <br>3.2.1 국내 생물다양성 정책 홍보 필요성 <br>3.2.2 국내 생물다양성 정책 현황 <br>3.2.3 보전 정책 지원을 위한 주요 보전 기관과의 협력 세미나 개최 <br>3.2.4 국내 생물다양성 정책 홍보 방안 제시 <br>3.3 생물다양성 부국과의 다자간협의 과제 발굴 <br>3.3.1 유엔환경계획(UNEP)의 다자간협력 프로그램 분석 <br>3.3.2 주요 이니셔티브 다자간 협력 프로그램 분석 <br>3.3.3 다자간협력을 위한 전략 분석 및 과제 발굴 <br>3.3.4 UNEP 이외 다자간 협력 가능 기관 <br>3.3.5 생물다양성 부국과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로드맵 <br>3.3.6 생물다양성 관련 정책 관련자와의 네트워크 구축 방안 제시 <br><br>Ⅳ. 결론 <br>1. 생물다양성 보전 정책 이행을 위한 주요 생물다양성 부국과 네트워크 구축 <br>2. 주요 유전자원 접근 대상국과 협력 채널 구축 <br>3. 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에 관한 정책 지원 <br><br>Ⅴ. 기대성과 <br><br>Ⅵ. 참고문헌 <br><br>Ⅶ. 부록 <br>[부록 1] ABS 관련 서면 의견서 양식<br>[부록 2] 연구 추진경과 <br>[부록 3] 생물다양성 부국 <br>[부록 4] 국내 분류군별 생물종의 수 <br>[부록 5] 국내 바이오산업 분류<br>[부록 6] 바이오안정성 정보센터 프로젝트Ⅱ 참여국가 명단 <br>[부록 7] UNEP FI 가입기관 목록 <br>[부록 8] UNEP FI 가입기관 분포도 <br>[부록 9] UNEP FI 연도별 기금 분석 다이어그램 <br>[부록 10] 자연자본(Natural Capital)에 대한 이해 <br>[부록 11] 생물다양성 협약 제 18조항 <br>[부록 12] 보고서 업무분장체계 -
dc.format.extent 165 p. -
dc.publisher 국립생물자원관 -
dc.title 생물다양성 부국과의 생물다양성 협력 추진 방안 연구 -
dc.type 수탁보고서 -
dc.title.original Establishment of cooperation strategies with megadiverse countries -
dc.contributor.department 한국환경정책ㆍ평가연구원 -
dc.description.keyword 국토환경관리 -
dc.identifier.citationtitle 수탁보고서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ETC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