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플라스틱의 건강 피해 저감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박정규 -
dc.contributor.other 박하늘 -
dc.contributor.other 이희선 -
dc.contributor.other 정다운 -
dc.contributor.other 주문솔 -
dc.contributor.other 한선영 -
dc.contributor.other 김시진 -
dc.contributor.other 송민경 -
dc.contributor.other 김용진 -
dc.contributor.other 이서우 -
dc.contributor.other 이혜성 -
dc.date.accessioned 2020-03-17T19:30:09Z -
dc.date.available 2020-03-17T19:30:09Z -
dc.date.issued 20191231 -
dc.identifier A 환1185 사업2019-10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22884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14/008/사업_2019_10_박정규.pdf -
dc.description.abstract Ⅰ. Background and Objectives ? Background and need ㅇ Due to the increasing volume of microplastics used over the last several decades, there are concerns that continued use of microplastics will have consequences unless regulations are put in place. There is a need to investigate the sources and release of microplastics to examine their potential impact on the environment. ㅇ Recently, the number of studies on microplastics have been increasing, but scientific evidence on microplastics’ impact remains lacking. Big data research is required to combine and analyze the abundance of studies, and careful consideration is needed in devising a risk assessment methodology to scientifically assess the impacts of microplastics. ㅇ Some countries have established regulations for microbeads, and the European Chemicals Agency (ECHA) is planning to expand regulations on the use of microplastics that are intentionally added. A method of microplastics management by source and product group that takes the characteristics of microplastics into consideration should be prepared. ? Research objectives for the project duration (3 years, 2019 ? 2021) ㅇ Confirm the sources of primary and secondary microplastics and estimate some product groups’ release into the environment ㅇ Design a risk assessment methodology for microplastics ㅇ Suggest reduction and management plans on the risk of microplastics by source and product group ㅇ Establish a foundation for a microplastics research-related information platform ? Research objectives and major content of research in 2019 (the first year) ㅇ Review basic status of microplastics-related investigations, data collection, and policy design directions ㅇ Major research content of the first year - Estimation of some product groups’ release of microplastics into the environment - Analysis of latest research results related to environmental pollution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on exposure and impact - Analysi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gulations - Selection of priority target materials for macroplastics management - Suggestions for microplastic management policies Ⅱ. Estimation of Sources and Release of Microplastics ? Sources of microplastics ㅇ Primary microplastics - Summarized as personal care products such as cosmetic products, detergents such as laundry detergents, medicinal products or medical devices, agriculture and horticulture, chemicals used in the oil and gas sector, construction materials and the construction industry, paints, coatings, and inks ㅇ Secondary microplastics - Produced through use of products (wear and tear): Particles released by worn tires, microfibers released during the washing of clothes, loss of pellets during production and transportation, weathering of agricultural mulching films, road peeling, microplastics relased by building and ship paints, etc. - Post-use (marine plastic wastes, macro plastics): Disposal of used plastics into open water, carriage via floodwater, disposal of fishing gear such as ropes, nets, and buoys and other waste from seafaring vessels ? Estimation of microplastic relaese ㅇ The use and release of primary microplastics - Domestic production and polymer content were estimated for the six product groups, including paints and detergents. - The estimated polymer content of domestically-produced paint products was 414,076 tons/year at minimum, and 552,102 tons/year at maximum, averaging 483,089 tons/year. - The total annual production of detergent products estimated ― based on the replies to surveys of targeted companies ― was approximately 266,968 tons/year, and among them, the estimated polymer content was 126.4 tons/year at minimum and 12,045.1 tons/year on average. ㅇ Release estimation results of secondary microplastics caused by tire wear - The total release of secondary microplastics caused by tire wear particles was estimated by applying the tire wear particle emission coefficient to the domestic automobile model. The result was 49,228 to 55,007 tons/year (51,118 tons/year). -
dc.description.abstract Ⅰ.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연구 배경 및 필요성 ㅇ 플라스틱의 양은 수십 년간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미세플라스틱의 사용 범위는 폭넓어 규제 없이는 미세플라스틱의 사용으로 인한 영향이 증가할 것으로 우려됨 - 미세플라스틱의 발생원과 발생량을 확인하여 환경에 미칠 수 있는 잠재적 영향 수준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함 ㅇ 최근 들어 미세플라스틱 관련 연구와 국가 R&D 사업 투자 등이 증가하고 있으나 미세플라스틱의 영향에 대한 과학적이고 구체적인 증거는 여전히 부족함 - 다량의 연구를 종합하고 분석하는 빅데이터 연구가 필요하며, 미세플라스틱 영향을 과학적으로 평가하는 위해성 평가 방법론에 대한 고민이 필요함 ㅇ 일부 국가에서 마이크로비즈에 대한 규제를 시작하고 있으며 유럽연합의 화학물질청(ECHA)에서는 추후 의도적으로 사용되는 미세플라스틱의 사용 규제를 확대할 계획임 - 미세플라스틱 특성을 고려한 발생원 및 제품군별 미세플라스틱의 관리 방안 마련이 필요함 ? 연구 기간 전체(3년, 2019년~2021년) 연구 목적 ㅇ 1차 및 2차 미세플라스틱의 발생원을 확인하고 일부 제품군의 발생량 추정 ㅇ 미세플라스틱의 위해성 평가 방법론 도출 ㅇ 발생원 및 제품군별 미세플라스틱 영향 저감과 관리 방안 마련 ㅇ 미세플라스틱 연구 관련 정보 플랫폼 기반 구축 ? 2019년(1차 연도) 연구 목적 및 주요 내용 ㅇ (1차 연도 연구 목적) 미세플라스틱 관련 기초 현황 조사, 자료수집 및 정책 설계 방향 검토 ㅇ 1차 연도 주요 연구 내용 - 일부 제품군에 대한 발생량 추정 - 환경오염 실태 확인을 위한 환경오염 관련 최신 연구 결과 분석 - 건강 피해 현황 파악을 위한 노출 및 영향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 - 미세플라스틱 관련 국내외 규제 동향 분석 - 매크로 플라스틱 우선관리대상 물질 선정 - 미세플라스틱 관련 정책 설계를 위한 정책적 제언 Ⅱ. 미세플라스틱의 발생원 및 발생량 추정 ? 미세플라스틱의 주요 발생원 ㅇ 1차 미세플라스틱 - 화장품 등과 같은 개인 관리 제품, 세척제 등 세제류, 의약품 또는 의료기기, 농업 및 원예, 오일 및 가스, 건축 자재 및 건축 산업, 잉크 등 페인트 및 도료 등으로 정리됨 ㅇ 사용 중 마모에 의하거나 자연 중 방치되어 미세화된 2차 미세플라스틱 - 타이어 마모 분진, 세탁 시 미세섬유, 생산·운송 시 펠릿 유출, 농업용 멀칭 필름 풍화, 도로/건물/선박 도료 탈락 등 ? 미세플라스틱 발생량 추정 결과 ㅇ 페인트, 세제 및 세정제류에 대한 1차 미세플라스틱 발생량 추정을 위해 산업계 조사 결과, 관련 정보의 불확실성이 높아 국내 생산 페인트와 세제 및 세정제류 6종의 고분자 함유량을 추정함 - 국내 생산 페인트 제품 내 고분자 물질 함유량은 최소 41만 4,076t/year, 최대 55만 2,102t/year, 평균 48만 3,089t/year으로 추정됨 - 기업 정보를 토대로 추정된 세정제 및 세제류의 고분자 물질 함유량은 최소 126.4ton/year, 평균 1만 2,045.1t/year이 될 것으로 추정됨 ㅇ 타이어 마모에 의한 2차 미세플라스틱 발생량 추정 결과 - 국내 차종별 타이어 마모 분진 배출계수(최소-최대 중간값)를 적용하여 타이어 마모 분진에 의한 2차 미세플라스틱 총발생량(최소-최대 중간값)을 추정한 결과 4만 9,228~5만 5,007t/year(5만 1,118t/year)으로 확인됨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요 약 <br><br>제1장 서 론 <br>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br>2. 연구의 내용 및 목적 <br><br>제2장 미세플라스틱의 개념과 특성 <br>1. 미세플라스틱의 개념 <br>2. 미세플라스틱의 유형(발생원에 따른 유형 분류) <br>3. 미세플라스틱의 일반 특성 <br><br>제3장 미세플라스틱 발생 및 오염 현황 <br>1. 미세플라스틱의 발생원 및 발생량 추정 <br> 가. 1차 미세플라스틱의 발생원 및 사용량 추정 <br> 나. 2차 미세플라스틱의 배출원과 발생량 추정 <br>2. 오염 실태 확인을 위한 매체별 환경오염 현황 분석 <br> 가. 해양 환경 <br> 나. 육상 환경 <br><br>제4장 미세플라스틱의 노출 및 영향 <br>1. 미세플라스틱의 노출 경로 분석 <br> 가. 유입 및 거동 <br> 나. 노출<br>2. 미세플라스틱이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br> 가. 물리·화학적 영향 <br> 나. 생물농축 <br> 다. 독성 영향 <br>3. 미세플라스틱이 인체 건강에 미치는 영향 <br><br>제5장 미세플라스틱 규제 동향과 정책적 제언 <br>1. 미세플라스틱에 대한 규제 동향 분석 <br> 가. 국가 단위의 입법 규제 <br> 나. 범정부 수준의 입법 규제: 유럽연합의 1차 미세플라스틱 규제 제안(안) <br>2. 1차 미세플라스틱 관리 정책 제언 <br> 가. 1차 미세플라스틱 관리 정책 설계를 위한 현안 진단 <br> 나. 1차 미세플라스틱 관리 정책 추진 방향 <br>3. 매크로 플라스틱의 관리우선순위 선정 <br> 가. 물질관리 우선순위 선정 기준 <br> 나. 물질관리 우선순위 선정(종합 검토) <br><br>제6장 연구 결론 및 후속 연구 방향 <br>1. 2019년(1차 연도) 연구 내용 종합 <br>2. 후속(연차별) 연구 계획 <br><br>참고문헌 <br><br>Executive Summary -
dc.format.extent 330 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subject 미세플라스틱 -
dc.subject 환경 -
dc.subject 인체 -
dc.subject 건강 영향 -
dc.subject 관리 정책 -
dc.subject Microplastics -
dc.subject Environment -
dc.subject Human Body -
dc.subject Health Effects -
dc.subject Management Policy -
dc.title 미세플라스틱의 건강 피해 저감 연구 -
dc.type 사업보고서 -
dc.title.original A study on risk management of microplastics -
dc.title.partname 사업보고서 -
dc.title.partnumber 2019-10 -
dc.description.keyword 환경보건 -
dc.rights.openmeta Y -
dc.rights.openimage Y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Park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Jeong Gue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Project Report(사업보고서)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