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경제 활성화를 위한 환경규제 개선방안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김현노 -
dc.contributor.other 강성원 -
dc.contributor.other 안소은 -
dc.contributor.other 김종호 -
dc.contributor.other 이정석 -
dc.contributor.other 최아름 -
dc.contributor.other 박선주 -
dc.contributor.other 강희찬 -
dc.date.accessioned 2020-03-17T19:30:09Z -
dc.date.available 2020-03-17T19:30:09Z -
dc.date.issued 20191231 -
dc.identifier A 환1185 사업2019-11-02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22885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14/008/사업_2019_11_02_김현노.pdf -
dc.description.abstract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환경-경제-사회의 조화로운 발전 및 경제성장에서 환경적 지속가능성을 확보하는 것의 중요성은 UN에서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를 2030 발전의제로 통과시킨 이후 더욱 증대하는 실정임 ?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경제성장’과 ‘녹색성장’ 개념이 제시되고, 녹색성장전략의 필요성이 강조되었으며, 2012년 지속가능발전 정상회의(리우+20)에서는 지속가능발전 및 빈곤종식의 맥락에서 ‘녹색경제’의 중요성이 부각됨 ㅇ 녹색경제는 환경-경제-사회의 조화로운 발전이라는 새로운 전략이 모색되고 있음에 따라 경제적 수요에 부합하면서 환경 위험성을 감소할 수 있는 환경규제의 전환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필요함 ? 본 연구는 최근 녹색경제 전환을 위한 다양한 정부정책 가운데 환경규제에 초점을 맞추어 순환경제를 추구하지 못하도록 가로막는 규제가 있는지 또는 기존 산업을 통하여 궁극적으로 녹색산업을 확대 및 창출할 수 있는 생산구조 또는 가치사슬의 변화를 유도하는 환경규제가 있는지 파악하고자 함 Ⅱ. 녹색경제와 환경규제 1. 녹색경제 논의 및 개념적 정의 ? UNEP(2012)의 녹색경제는 인간의 웰빙과 사회적 형평을 향상하고, 환경적 위험과 생태적 희소성을 감소하는 것으로 보며, 지속가능한 발전의 전달수단으로 인식함 ㅇ UNEP의 녹색경제로의 접근은 환경과 관련된 이슈를 그 목표로 하며, 정책 개입을 통하여 환경오염을 저감하고 인간 웰빙과 사회적 형평을 증진하도록 함 ? 본 연구는 상위 개념으로 볼 수 있는 녹색경제를 구체적인 하위 개념으로 정의하고, 녹색산업과 환경산업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았으며, 이를 활성화하기 위한 환경규제의 개선방안을 모색함 2. 환경규제의 정의와 분류 ? 환경규제는 ‘환경보호 또는 환경보전’이라는 정책 목적으로서의 환경적 가치에 대한 논의와 ‘환경행정의 주체’라는 환경규제의 형성과 집행 권한에 대한 논의 그리고 ‘공적제약과 개입’의 방법, 즉 정책수단으로서의 규제의 특성과 유형에 대해 논의해 볼 필요가 있음 ?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발전을 정책 목적으로 하며, 환경부 소관 환경규제를 그 범위로 한정하여 명령-통제 방식의 직접규제, 시장기반의 경제적 유인, 정보제공 수단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살펴보기로 함 3. 녹색경제와 환경규제의 관계 ? 일반적으로 규제완화가 경제 성장을 제고한다고 보고되지만, 양자 간의 일반적인 음(-)의 관계를 단정할 수 없음 ? 규제로 인하여 새로운 시장이 생겨나고 시장이 활성화될 수 있다면 규제는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음 ㅇ 규제는 일반적으로 시장 실패의 유발로 인한 비효율성을 제거하거나 완화하기 위해 도입된 것으로 환경규제는 경제의 효율성을 제고하여 궁극적으로 경제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 - 그러나 시장 실패를 완화하고자 도입된 규제는 과대한 이행비용으로 인해 정부 실패를 유발하여 기업의 투자유인을 저해하고 무역경쟁력 약화 등 다른 형태의 경제적 비효율성을 유발할 수 있음 ? 본 연구의 녹색산업은 환경규제에 의해 생성된 산업으로 녹색경제 활성화 측면에서 규제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수요와 공급 측면에서 제시함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요 약 ⅰ<br><br>제1장 서 론 1<br>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br>2. 연구의 범위 및 내용 2<br><br>제2장 녹색경제와 환경규제 5<br>1. 녹색경제의 논의 및 개념적 정의 5<br> 가. 녹색경제의 논의 흐름 5<br> 나. 녹색경제의 개념 검토 8<br> 다. 소결 20<br>2. 환경규제의 정의와 분류 22<br> 가. 환경규제의 정의와 범위 22<br> 나. 환경규제의 유형 분류 24<br>3. 녹색경제와 환경규제의 관계 29<br> 가. 이론적 논의 29<br> 나. 국내외 실증연구 검토 42<br><br>제3장 환경규제 동향분석: 행정학적 측면 45<br>1. 분석방법 45<br>2. 동향분석 51<br> 가. 대기 분야 51<br> 나. 물환경 분야 54<br> 다. 화학물질 분야<br>라. 재활용, 폐기물 및 자원순환 분야 60<br>3. 시사점 64<br><br>제4장 환경규제 동향분석: 녹색경제 측면 65<br>1. 분석방법 65<br>2. 동향분석 67<br> 가. 대기 분야 67<br> 나. 물환경 분야 74<br> 다. 화학물질 분야 80<br> 라. 재활용, 폐기물 및 자원순환 분야 85<br>3. 시사점 92<br><br>제5장 녹색경제 관련 환경규제 사례연구: 순환골재 사례 93<br>1. 분석방법 93<br>2. 순환골재 사례연구 94<br>3. 시사점 106<br><br>제6장 결 론 108<br>1. 요약 108<br>2. 중장기 연구 로드맵 109<br><br>참고문헌 111<br><br>부 록 119<br>환경규제 동향분석 121<br><br>Executive Summary -
dc.format.extent 330 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subject 녹색경제 -
dc.subject 환경규제 -
dc.subject 녹색산업 -
dc.subject 녹색화 -
dc.subject 녹색산업 창출 -
dc.subject Green Economy -
dc.subject Environmental Regulation -
dc.subject Green Industry -
dc.subject Greening of Industries -
dc.subject Creating Green Industries -
dc.title 녹색경제 활성화를 위한 환경규제 개선방안 -
dc.type 사업보고서 -
dc.title.original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Environmental Regulations to Promote the Green Economy -
dc.title.partname 사업보고서 -
dc.title.partnumber 2019-11-02 -
dc.description.keyword 환경경제 -
dc.rights.openmeta Y -
dc.rights.openimage Y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Kim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Hyunno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Project Report(사업보고서)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