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녹색생활환경 구축 연구(Ⅰ) : 위해저감 및 녹색소비방안을 중심으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정다운 -
dc.contributor.other 배현주 -
dc.contributor.other 주문솔 -
dc.contributor.other 오규림 -
dc.contributor.other 김시진 -
dc.contributor.other 천사호 -
dc.contributor.other 우지승 -
dc.date.accessioned 2020-03-31T19:30:09Z -
dc.date.available 2020-03-31T19:30:09Z -
dc.date.issued 20191231 -
dc.identifier A 환1185 사업2019-11-03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22903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14/008/사업_2019_11_03_정다운.pdf -
dc.description.abstract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연구의 필요성 ? 어린이와 환경유해인자 관리 ㅇ 생활환경에서의 어린이 맞춤형 위해저감 방안 마련이 필요함 - 어린이는 생활환경에서 다양한 경로로 환경유해인자에 누적적으로 노출되지만 각 경로에 대한 위해관리가 개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 - 모든 경로를 아우르는 수용체 중심의 통합적 위해관리방안 마련이 시급함 ㅇ 국제사회의 어린이 환경건강보호 강화 - WHO, OECD 등 국제기구는 어린이 위해관리를 위한 방법론 개발 및 위해저감 프로젝트를 진행함 - EU, 미국 등 선진국 역시 생활환경에서의 어린이 환경유해인자 관리 강화를 위한 정책이 마련됨 ? 위해관리-녹색소비의 새로운 패러다임 ㅇ 어린이 대상 환경유해인자 관리의 패러다임 변화 - 어린이 생활환경 위해관리 정책은 규제를 통한 화학물질의 노출 차단에서 유해화학물질의 지속가능한 대안을 포함하는 무독성 환경의 조성을 위한 전략으로 확장됨 ㅇ 녹색소비 - 녹색소비의 개념이 친환경적 소비생활에서 인체에 해를 덜 미치는 제품의 소비로 확대됨 - 위해관리-녹색소비의 연계는 궁극적으로 유해물질이 포함된 제품의 순환을 고려하는 순환경제 구축 차원으로 확대될 필요가 있음 2. 연구의 목적 및 내용 ? 연구의 목적 ㅇ 어린이 생활환경의 통합적인 위해평가를 통해 우선순위의 관리대상 유해인자 파악 ㅇ 녹색소비의 적극적인 유도를 통한 녹색생활환경 구축 전략을 제시 ? 연구의 내용 - 어린이 생활환경 관리현황 및 환경유해인자 노출 현황 분석 - 어린이 위해관리 기법 분석 - 어린이 노출 가능 제품의 소비 패턴 분석 - 어린이 생활환경 우선순위 관리대상의 환경유해물질 도출 - 어린이 생활환경의 위해관리-녹색소비 연계를 위한 정책적 틀 제안 Ⅱ. 국내 어린이 환경유해물질 관리정책 현황 1. 어린이용품 및 어린이 활동공간 관리정책 현황 분석 ? 어린이 생활환경의 환경유해인자 관리정책 현황 - 환경부, 산업부, 식약처, 교육부 등 총 4개 부처에서 분산 관리 환경부의 ?환경보건법?이 유일하게 어린이용품과 어린이 활동공간을 모두 아우름 ? 어린이용품 관리정책 ㅇ 환경부 - ?환경보건법? ? “어린이가 주로 사용하거나 접촉하는” 어린이용품의 환경유해인자 관리 ? 프탈레이트 가소제(DINP, DNOP)와 노닐페놀, 트라이뷰틸주석 등 4종에 대한 기준치 제시 ? 263종의 위해성평가 대상 환경유해인자 관리 - ?화학제품안전법? ? 어린이 등 노출에 취약한 계층을 우선적으로 배려함을 명시 ? 어린이용품 전용 살균제의 규제 기준 제시 ㅇ 산업부 - ?어린이제품법? ? 제품의 물리적·화학적 안전을 관리함 ? 안전인증 대상, 안전확인 대상, 공급자적합성확인 대상에 따라 차등화된 안전관리기준 적용 ? ?어린이제품 공통안전기준?에 따라 중금속과 프탈레이트 가소제, 석면 등 규제 ㅇ 식약처 3세 이하 영·유아 대상 - ?위생용품 관리법?, ?화장품법?, ?식품위생법?, ?약사법?에서 어린이 사용제한물질 규제 ? 어린이 활동공간 관리정책 ㅇ 환경부 - ?환경보건법? ? 어린이 놀이시설, 어린이집 등 영·유아 보육시설, 유치원, 초등학교 등 “어린이가 주로 활동하는 공간” 관리 ? 도료·마감재료, 목재, 모래, 합성고무 재질 바닥재의 표면재료를 대상으로 방부제, 중금속, 포름알데히드 및 해충 관리 - ?실내공기질 관리법? ? 다중이용시설 중 어린이집, 학원, PC방, 실내 어린이 놀이시설 등의 공기질 관리 - ?물환경보전법? ? 물놀이형 수경시설의 수질 관리 ㅇ 교육부 - ?학교보건법? ? 학교의 실내공기질 관리 2. 시사점 ? 물질별 어린이 환경유해물질 관리정책 ㅇ 프탈레이트 - 어린이용품 관련 법에서 공통적으로 다루어짐 - DEHP, DBP, BBP 3종이 중점적으로 관리됨 대체재 사용이 증가하고 있지만 관련 규제가 존재하지 않음 ㅇ 포름알데히드 - 어린이용품과 활동공간을 포괄한 관리기준에서 가장 많이 다루어짐 ? 제품에서의 관리 사각지대 및 어린이 생활환경 통합관리의 필요성 ㅇ 제품의 종류에 따른 어린이용품의 분산 관리로 수용체 중심의 어린이 생활환경 관리가 어려움 ㅇ 제품의 관리는 ‘어린이가 사용하거나 어린이를 위해 사용되는’ 용품으로 제한됨 - 가구, 전자제품 등 어린이와의 접촉이 빈번한 제품에 함유된 환경유해인자 관리가 어려움 - 어린이 노출 가능성이 높은 바닥재 및 벽지의 프탈레이트는 일반 생활용품으로 분류되어 어린이용품 또는 어린이 활동공간의 범위에서 관리되지 않음 ㅇ 어린이의 최종 노출수준을 고려한 어린이 생활환경의 통합적인 관리기준이 마련되어야 함 -
dc.description.abstract 1. Background ? Children and management of environmental hazards ㅇ A risk reduction plan customized for children in the living environment is necessary. - Children are cumulatively exposed to environmental hazards through various pathways, but risk is managed for each pathway separately. -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n integrated, receptor-oriented risk management plan that encompasses all exposure pathways. ㅇ Call for enhanced protection of children’s environmental health by international society - International institutes such as the WHO and OECD are developing methodologies for children’s risk management and carrying out risk reduction projects. - EU and the US have also developed policies to enhance management of hazardous chemicals in children’s living environment. ? A new paradigm of risk management - green consumption ㅇ Paradigm shift in the management of environmental hazards for children - Children's living environment risk management policy has expanded from the prevention of chemical exposure through regulation to strategies for non-toxic environments that include sustainable alternatives to hazardous chemicals. ㅇ Green consumption - The concept of green consumption has expanded from the consumption of eco-friendly products to the consumption of products that are less harmful to humans. - The connection between risk management and green consumption ultimately needs to be expanded to the establishment of a circular economy that considers the reduction of products that contain hazardous chemicals. 2. Research objectives and contents ? Research objectives ㅇIdentification of priority chemicals for risk management through integrated risk assessment of children’s living environment ㅇ Proposal of a strategy to build green living environment through active promotion of green consumption ? Contents - Analysis of children’s living environment management status and hazardous chemical exposure status - Analysis of children’s risk management methodologies - Analysis of consumption patterns of products that children are potentially exposure to - Identification of priority chemicals for risk management in children’s living environment - Proposal for policy framework for linking risk management and green consumption Ⅱ. Status of Children’s Environmental Hazards Management in Korea 1. Analysis of the status of the management of children’s products and children’s activity zones ? Status of management policy on environmental hazards in children’s living environment - Divided management by four ministries: the Ministry of Environment (MoE),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MoTIE),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MoEd) - MoE’s “Environmental Health Act” is the only law that encompasses both children’s products and children’s activity zones. ? Policy on the management of children’s products ㅇ MoE - Environmental Health Act ? Management of hazardous factors contained in products “mainly used or touched by children” ? Determination of reference values for phthalate plasticizers (DINP, DNOP), nonylphenol, and tributyltin ? Management of 263 hazardous factors that are subject to risk assessment - Chemical Products and Biocidal Products Safety Act ? Preferential protection for populations more sensitive to environmentally hazardous factors, such as children ? Regulatory standards for disinfectants for children’s products ㅇ MoTIE - Special Act on the Safety of Products for Children ? Management of physical and chemical safety of products ?Differential safety standards applied to products subject to safety certification, safety verification, and verification of supplier compliance ? Regulation of heavy metals, phthalate plasticizers, asbestos, and other substances according to the “common safety standards for products for children” ㅇ MFDS - Main targets are infants and toddlers under the age of three - Regulation of children’s use of some products under “Hygiene Products Control Act”, “Cosmetics Act”, “Food Sanitation Act”, and “Pharmaceutical Affairs Act” ? Policy on the management of children’s activity zones ㅇ MoE - Environmental Health Act ? Management of areas where children mainly stay or do activities. such as children’s play facilities, infant care facilities including nurseries, kindergartens, and elementary schools ? Management of preservatives, heavy metals, formaldehyde, and pests in surface materials of paints and finishing materials, wood, sand, and synthetic rubber flooring - Indoor Air Quality Control in Publicly Used Facilities, etc. Act ? Management of air quality of child care facilities, private teaching institutes, internet computer game facilities, and indoor children’s play facilities - Water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 Management of water quality in “water play facilities” ㅇ MoED - School Health Act ? Management of indoor air quality in schools 2. Implications ? Policies for the management of children’s environmental hazards ㅇ Phthalates - Regulated in all laws that manage children’s products - Regulation focused on 3 phthalates; DEHP, DBP, and BBP - Use of alternatives increasing, but regulations for the alternative do not exist. ㅇ Formaldehydes -The most widely regulated chemical in regulations dealing with children’s products and activity zones ? Identification of blind spots in management and need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children’s living environment ㅇ Difficulty in enforcing receptor-oriented management of children’s living environment due to divided management of children’s products depending on product types ㅇ Management of products limited to “products used by or used for children” - Difficult to manage hazardous chemicals contained in products that are frequently in contact with children, such as furniture and electronics - Phthalates in flooring and wallpaper that are likely to be exposure sources for children are classified as general household products, and are not managed within the scope of children’s products or children’s activity zones. ㅇ Integrated management criteria for children’s living environment that considers cumulative exposure in children are necessary.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요 약 <br> <br>제1장 서 론 <br>1. 연구의 필요성 <br>2. 연구의 목적 <br>3. 연구의 범위 <br>4. 연구의 내용 <br><br>제2장 국내 어린이 환경유해물질 관리정책 현황 <br>1. 어린이용품 및 어린이 활동공간 관리정책 현황분석 <br>2. 물질별 어린이 환경유해물질 관리정책 현황분석 <br>3. 시사점 <br><br>제3장 어린이 환경유해물질 노출 현황 <br>1. 어린이용품 <br>2. 어린이 활동공간 <br>3. 어린이 생체 노출수준 <br>4. 소결 <br><br>제4장 어린이 노출 가능 제품의 녹색소비 <br>1. 녹색소비와 위해관리 <br>2. 어린이 가구 소비 패턴 특성 <br>3. 어린이 관련 소비문화 특성 <br>4. 어린이 주요 소비품목의 위해요소 관리방안<br>제5장 해외 어린이 생활환경 관리 동향 <br>1. 해외 어린이 생활환경 통합관리정책 동향 <br>2. 해외 위해관리 기법 개발 현황 <br>3. 시사점 <br><br>제6장 어린이 생활환경 위해저감을 위한 우선관리물질 도출 <br>1. 우선순위 관리물질 도출 <br>2. 정책 제언 <br><br>제7장 결론 <br>1. 요약 <br>2. 결론 및 향후 계획 <br><br>참고문헌 <br><br>부 록 <br>위해성평가 실시 등의 대상이 되는 환경유해인자의 종류(263종) <br><br>Executive Summary <br> -
dc.format.extent 219 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subject 어린이 -
dc.subject 생활환경 -
dc.subject 환경유해인자 -
dc.subject 위해관리 -
dc.subject 녹색소비 -
dc.subject Children -
dc.subject Living Environment -
dc.subject Environmental Hazards -
dc.subject Risk Management -
dc.subject Green Consumption -
dc.title 어린이 녹색생활환경 구축 연구(Ⅰ) : 위해저감 및 녹색소비방안을 중심으로 -
dc.type 사업보고서 -
dc.title.original Building green living environment for children(Ⅰ): risk reduction and green consumption -
dc.title.partname 사업보고서 -
dc.title.partnumber 2019-11-03 -
dc.description.keyword 환경보 -
dc.rights.openmeta Y -
dc.rights.openimage Y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Dawoon Jung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Project Report(사업보고서)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