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산림복원과 기후변화가 물관리 취약성에 미치는 영향과 정책방향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김익재 -
dc.contributor.other 명수정 -
dc.contributor.other 조을생 -
dc.contributor.other 서승범 -
dc.contributor.other 전동진 -
dc.contributor.other 유은진 -
dc.contributor.other 임경재 -
dc.contributor.other 이관재 -
dc.contributor.other 조승혜 -
dc.date.accessioned 2020-03-31T19:30:11Z -
dc.date.available 2020-03-31T19:30:11Z -
dc.date.issued 20191231 -
dc.identifier A 환1185 기후2019-02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22915 -
dc.description.abstract 1. Background and Objectives of the Research ? Background of the Research ㅇ A large portion of forest areas in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DPRK) have been devastated, which is believed to increase the risk of water-related disasters caused by climate change ㅇ As forest restoration in DPRK was adopted and declared as a priority task for environmental cooperation between the two Koreas, both sides announced plans to protect the environment and improve cooperation ㅇ The effect of forest restoration is more easily achieved when stable water management is preceded, and considering the change of forest and water management are closely related, the impact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the restoration project ? Objectives of the Research ㅇ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policy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cooperation in the water sector by diagnosing the impact of forest restoration and climate change on DPRK’s water management and providing the results ㅇ The accumulation of these findings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solution of water-related problems, and the increase of DPRK’s adaptability to climate change is expected to result in a virtuous cycle of economic development,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and improvement of the ecological environment ㅇIn terms of expansion of environmental cooperations such as water management, it can develope to future policy cooperations 2. Research Structure ? This study corresponds to the first year of the three year research plan shown in the figure below Ⅱ. Research Review and Trend Analysis 1. Water Management in DPRK ? Water-related Disasters (Floods, Droughts) ㅇ DPRK is vulnerable to water management and use due to a large fluctuation in annual precipitation and frequent floods, and about 67% of electricity production depends on hydropower generation ㅇ DPRK is likely to be very sensitive to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in many aspects ? Water Resource and Water Use ㅇ Though the total amount of water resource of the Republic of Korea (ROK) is slightly larger than that of DPRK, due to their population differences, per capita amount is the opposite ㅇ However, the rate of water supply is presumed to be rather low due to difficulties such as the lack of infrastructure and low sustainability of water supply facilities 2. Forest in DPRK ? Land Cover Change Analysis ㅇ The forest area of ??DPRK decreased sharply from the 1980s to the 1990s, and the decreasing tendency continued until the 2000s ㅇ During the same period, it was confirmed that the area of ??farmland has increased ? Change Analysis of Forest Topography ㅇ DPRK has also recognized the problems of deforestation and the need for preservation, and is working to restore forests on their own and in cooperation with the international community ㅇ Since forests are closely related to water, it is necessary to predict and assess the impacts and changes in water management and use as restoration efforts continue ㅇ It is necessary to predict the combined impacts of climate change and forest restoration by applying climate change scenarios -
dc.description.abstract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연구의 배경 ㅇ 선행문헌에 따르면 과거로부터 근래까지 북한의 산림면적은 감소되어 왔으며, 집중호우에 따른 홍수, 산사태와 토사의 발생 그리고 강수부족에 따른 가뭄 등과 같은 기후변화의 부정적 누적 영향이 물관리 취약성을 가중시키는 것으로 판단됨 ㅇ 최근 남북한 간 환경 협력 우선과제 중 북한 지역의 산림복원이 채택 및 선언됨에 따라, 양측에서 환경개선 및 교류확대 계획을 밝힌 바 있음 ㅇ 비록 현장자료 부족 등으로 북한 연구의 특성적 한계가 있으나, 안정적 물관리를 위해서는 산림복원이 필수적이고 산림변화의 수준은 물관리 개선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그 복합적 영향을 분석하는 연구가 매우 필요함 ? 연구의 목적 ㅇ 본 연구는 산림복원과 기후변화가 북한 물관리에 미치는 영향을 진단하고 그 결과를 제공하는 등 물분야 환경 협력 발전방향의 정책적 제언을 도출하고자 함 ㅇ 이와 같은 연구 결과 축적을 통해 물 관련 문제 해소방안 마련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며, 북한의 기후변화 적응력 증대를 통한 경제 발전, 주민 삶의 질과 생태환경 개선·보전의 선순환 정책 고리를 묶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ㅇ 물관리 등 환경교류 확대 측면에서 향후 정책교류로 확산될 수 있음 2. 연구 추진체계 ? 본 연구는 아래 그림의 총 3개년 연구계획 중 1차 연도 연구에 해당됨 Ⅱ. 선행연구 및 동향 분석 1. 북한의 물관리 현황 ? 수재해(홍수, 가뭄) ㅇ 북한은 연강수량의 변동 폭이 크고, 최근 수재해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물관리 및 용수이용에 취약하며, 전력생산의 약 67%가 수력 발전에 의존하는 것으로 보고됨 ㅇ 특히 북한에서 나타나는 수재해는 산림의 감소, 농지의 증가, 인프라 부족 등의 원인으로 기후변화의 영향에 매우 민감할 것으로 판단됨 ? 수자원 및 물이용 ㅇ 남북한의 수자원 총량을 비교했을 때 총량은 남한이 소폭 많으나, 인구 차이로 인해 1인당 수자원량 및 가용 수자원 총량은 북한이 높음 ㅇ 그러나 상수도 시설 미비, 송수시설의 낮은 지속가능성 등의 인프라 및 서비스 공급·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실제 생활용수 공급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추정됨 2. 북한의 산림 현황 ? 토지피복 변화 분석 ㅇ 북한의 산림면적은 198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2000년대까지 높은 수준의 감소 경향을 보인 것으로 파악됨 ㅇ 그에 반해 같은 기간에 농지 면적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음 ? 산림지형의 변화 분석 ㅇ 북한 또한 산림훼손의 문제점과 보존의 필요성을 인식하였으며, 자체적으로 그리고 국제사회와의 협력을 통해 산림복원을 위해 노력하고 있음 ㅇ 산림은 물과 매우 밀접한 관계로, 복원 노력이 계속되었을 때 물관리 및 이용 측면에서의 영향과 변화를 예측하고 평가하는 것이 필요함 ㅇ 기후변화 시나리오 적용을 통해 기후변화와 산림복원의 복합적인 영향을 예측할 필요가 있음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요 약 <br><br>제1장 서론 <br>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br>2. 연구 추진체계와 보고서 구성 <br><br>제2장 선행연구 및 동향 분석 <br>1. 북한의 물관리 현황 <br>2. 북한의 산림관리 현황 <br>3. 시사점 및 소결 <br><br>제3장 산림복원 및 기후변화 영향 분석 <br>1. 연구 자료의 수집과 구축 <br>2. 물관리 시설 DB 구축 <br>3. 기후변화 시나리오와 미래 가뭄 전망(북한 전역) <br>4. 물관리 현황과 유역모델링 구축(시범유역) <br>5. 산림복원 및 기후변화의 영향 분석(시범유역) <br><br>제4장 연구결과 및 향후 계획 <br>1. 연구결과(요약) <br>2. 연구의 한계점 및 보완점 <br>3. 향후 연구계획<br><br>참고문헌 <br><br>Executive Summary -
dc.format.extent 115 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subject 북한 -
dc.subject 물관리 -
dc.subject 대동강 -
dc.subject 사리원 -
dc.subject 서흥호 -
dc.subject 기후변화 -
dc.subject 산림복원 -
dc.subject 저수량 -
dc.subject Water Management -
dc.subject Climate Change -
dc.subject Afforestation -
dc.subject Storage Capacity -
dc.subject River Environment -
dc.title 북한의 산림복원과 기후변화가 물관리 취약성에 미치는 영향과 정책방향 연구 -
dc.type 기후환경정책연구 -
dc.title.original Assessing the impacts of reforestation and climate change on water management in DPR Korea -
dc.title.partname 기후환경정책연구 -
dc.title.partnumber 2019-02 -
dc.description.keyword 기후변화대응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Kim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Ik Jae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Climate Policy(기후환경정책연구)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