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 분야 재해영향모델 개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 김용준,이강근,김혜주,김석철 -
dc.contributor.author 채여라 -
dc.date.accessioned 2021-03-26T19:30:10Z -
dc.date.available 2021-03-26T19:30:10Z -
dc.date.issued 20210326 -
dc.identifier A 기5200 2021-01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23176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5/034/폭염_분야_재해영향모델_개발_채여라.pdf -
dc.description.abstract 본 연구는 상세 기상정보 생산·운영체계와 폭염 및 한파 영향예측모델을 개발하였다. 동네예보를 기반으로 1 km 공간해상도의 과거 실황장을 구축하였고, 예보장을 생산·운영하는 체계를 개발하였다. 폭염 및 한파 영향 예측모델 개발에서는 보건, 산업, 농업, 축산업, 교통, 전력 부문에 대한 시군 단위 영향예측모델을 개발하였다. 각 부문에서는 고령자, 야외노동자와 같은 취약집단들과 작물, 축종, 어종별 영향단계 기준을 개발하였다. 폭염 부문의 보건, 농업, 축산업, 전력 부문에서는 1 km 단위, 3시간 간격으로 전국의 영향예측 정보를 생산하는 모델을 개발하였다. 광역시에서는 100 m 단위로 영향을 예측한다. 상세 기상정보 생산체계와 영향예측모델을 통합·연계하고, 예측 결과를 서비스하기 위해 웹 지리정보체계 기반의 표출 플랫폼을 개발하여 시범운영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취약집단을 위한 맞춤형 영향예보와 영향예보의 지역화를 위한 과학적 근거를 마련하여 영향예보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폭염 영향 및 노출 정보를 종합적적으로 제공하여,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폭염 대응정책을 지원하고 폭염 피해 저감과 사회·경제적 비용 절감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br>1-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br>1-2. 연구 동향 분석<br>1-3. 연구개발의 목표 및 범위<br><br>제2장. 연구수행내용 및 성과<br>2-1. 상세 기상변수 생산체계 개발<br>1. 전국단위 국지규모 기상변수 보정정보 생산체계 개발<br>2. 시범지역 미규모 기상변수 생산체계 개발<br>3. 폭염영향함수 연계정보 구축<br>2-2. 시군 단위 폭염 영향예측모델 개발<br>1. 보건 부문<br>2. 산업 부문<br>3. 농업 부문<br>4. 축산 부문<br>5. 수산양식업 부문<br>6. 교통 부문<br>7. 전력 부문<br>8. 통합 폭염 영향함수 및 복합영향지도 개발<br>2-3. 상세 시공간 단위 폭염 영향예측모델 개발<br>1. 보건 부문 상세 시공간 단위 폭염 영향예측모델 개발<br>2. 농업 부문 상세 시·공간 단위 폭염 영향예측모델 개발<br>3. 축산업 부문 상세 시·공간 단위 폭염 영향예측모델 개발<br>4. 전력 부문 상세 시·공간 단위 폭염 영향예측모델 개발<br>2-4. 시군 단위 한파 영향예측모델 개발<br>1. 보건 부문<br>2. 산업 부문<br>3. 농업 부문<br>5. 수산양식업 부문<br>6. 전력 부문<br>7. 시설물 부문<br><br>2-5. 폭염 및 한파 영향정보 및 대응요령 인포메이션 디자인<br>1. 부문별 영향정보 및 대응문구 개발<br>2. 픽토그램 및 카드뉴스 개발<br>3. 통보문 구성 개발<br><br>2-6. 노출 및 영향 데이터베이스 구축<br>1. 노출 데이터베이스 구축<br>가. 인구<br>나. 생산지<br>2. 공공 통계 기반 영향 데이터베이스 구축<br>3. 비정형 빅데이터 기반 영향 데이터베이스 구축<br><br>2-7. 폭염 및 한파 영향예측 표출 플랫폼 개발<br>1. 표출 플랫폼 설계<br>2. 표출 플랫폼 공통 및 내·외부 연계기능 구현<br>3. 전국 시군 단위 부문별 폭염 및 한파 재해영향예보 분석 결과 표출<br>4. 과거피해현황 DB 표출<br>5. 상세 시공간 단위 폭염 및 한파 영향 예측 및 분석 결과 표출<br>6. 표출 플랫폼 운영환경 구축<br><br>제3장 목표 달성도 및 관련 분야 기여도<br>3-1. 목표<br>3-2. 목표 달성여부<br>3-3. 후속 연구의 필요성<br>3-4. 관련 분야 기여도<br><br><br>제4장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br>1. 전국 단위 국지규모 기상변수 보정정보 생산체계 활용 <br>2. 폭염 및 한파 영향분석 및 영향예측 기술의 활용 계획 <br>3. 상세 시·공간 단위 폭염 핫스팟 분석 기술의 활용 계획 <br>4. 폭염 및 한파 재해영향 데이터베이스의 활용 계획<br>5. 폭염 및 한파 재해영향예측 표출 플랫폼의 활용 계획<br><br>제5장 연구개발성과의 보안등급<br><br>부록<br>부록 1. 일최고기온 추출 유형별 차이에 대한 기술통계량<br>부록 2. 폭염 부문 시군 단위 영향단계별 기온기준<br>부록 3. 온도별 업무효율 <br>부록 4. 기온별 전기화재 관련 기사<br>부록 5. 기온별 전기화재 관련 <br>부록 6. 부문별 폭염/한파 영향 및 대응문구 <br>부록 7. 폭염 및 한파 재해영향예측 표출 플랫폼 사용자 매뉴얼<br>부록 8. 표출 플랫폼 테이블 <br><br>참고문헌<br><br><br> -
dc.format.extent 1032 p. -
dc.publisher 기상청, 한국기상산업기술원 -
dc.title 폭염 분야 재해영향모델 개발 -
dc.type 수탁보고서 -
dc.title.partname 자연재해 대응 영향예보 생산기술 개발 -
dc.contributor.department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description.keyword 기후변화대응 -
dc.contributor.affiliation 한국외국어대학교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ETC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