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권의 실체적 구현을 위한 입법 개선방안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한상운 -
dc.contributor.other 정우현 -
dc.contributor.other 염정윤 -
dc.contributor.other 서은주 -
dc.date.accessioned 2021-03-31T19:30:12Z -
dc.date.available 2021-03-31T19:30:12Z -
dc.date.issued 20201231 -
dc.identifier A 환1185 정2020-08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23188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11/010/수시2020_08_한상운.pdf -
dc.description.abstract Ⅰ.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환경권 실질화 필요성 ㅇ 1963년 ?공해방지법? 제정을 시작으로 본격화된 환경법제는 2020년 10월 기준으로 72개 법률로의 분화에도 불구하고, ?헌법? 제35조 제2항의 법률 유보 규정과 환경권의 독자적 기본권성, 구체적 권리성에 대한 사법부의 소극적 해석 등으로 인해 구체적인 권리로서의 구현이 제약적임 ㅇ 2020년은 환경권이 1980년 제8차 개헌을 통해 ?헌법?에 명문 규정으로 도입된 지 40년이 되는 해임에도 환경권은 아직까지 실체적 권리로서 기능하지 못하고, 인간다운 삶을 위한 최소한의 생존조건을 위협하는 기후변화, 대기오염, 미세플라스틱 등의 각종 환경문제에 대처하기에는 부족한 측면이 많음 2. 환경권 실질화 방안 제시 ㅇ 본 연구는 2020년 6월부터 환경부 수탁사업으로 우리 원이 추진한 ‘환경권 40주년 포럼’을 중심으로 논의하여 온 환경권 실질화의 필요성과 방향을 ?헌법?부터 개별법, 그리고 행정체계 측면에서 이론적·비교법적·실무적으로 고민하고 체계화하여 제시함으로써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와 미래세대, 더 나아가서는 인간과 공존하는 생태계를 위한 환경권의 발전을 위해 사회적 논의 토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Ⅱ. 환경권의 이론적·법실무적 효력 1. 환경권의 효력 ? 환경권의 독자적 기본권성 ㅇ 환경권의 법적 성격에 대하여 학계에서는 생존권적 기본권설, 생활권적 기본권설, 사회적 기본권설, 총합적 기본권설 등의 견해를 제시하고 있음 ㅇ 헌법재판소는 환경침해방어권이라는 자유권적 성격과 생활환경조성청구권이라는 사회권적 성격을 모두 갖는 종합적 성격의 권리라고 판시한 바 있음 ㅇ 그러나 우리 ?헌법?은 환경을 인간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생태계 차원에서 보호해야 하는 것으로서 인간 생존의 기반으로 이해하고 있다고 보므로 환경권을 사회권과 별개의 독자적 권리라고 보는 것이 타당함 ? 환경권의 구체적 권리성 ㅇ 현행 ?헌법?상 환경권 규정이 국가기관을 직접 구속하는 효력이 있어 국민이 직접 법원에 권리구제를 청구할 수 있는지와 관련하여 학계의 의견은 추상적 권리설, 구체적 권리설, 양면적 권리설 등으로 갈림 ㅇ 대법원은 환경권에 기하여 국가의 노력의무와 책무가 발생한다고 보아 환경권의 법적 권리성을 인정하고 있으나, “환경권의 내용과 행사는 법률로 정한다”라는 ?헌법? 제35조 제2항에 따라 환경권은 입법자의 입법형성이 있어야만 비로소 구체화될 수 있고, 환경권 규정만으로는 “그 권리의 주체, 대상, 내용, 행사방법 등이 구체적으로 정립되어 있다고 볼 수 없다”라고 보아 환경권의 구체적 권리성은 대체적으로 부정하고 있음 2. 문제의식 ㅇ 생태계파괴와 기후변화 등으로 인해 인류는 폭염, 물 부족, 농업생산량 감소, 자연재난과 감염병 증가 등의 직간접적인 위협에 노출되어 있음 ㅇ 생존기반인 깨끗한 공기와 물, 음식과 그 밖의 자연자원 등의 ‘환경 유지’가 전제되지 않으면 모든 국민의 기본권 보장은 무의미 또는 불가능함 ㅇ 만약 인간의 욕망이 환경과 양립 불가능할 정도의 환경파괴를 야기하는 현재의 상황이 수십 년 이상 누적된다면, 향후 인간의 생존기반은 임계점을 넘어 회복이 불가능해지고, 우리의 삶도 지속불가능해질 수 있으므로, 이제는 모든 기본권의 전제로서 ‘환경권’에 대한 가치인식의 변화가 필요한 시점임 Ⅲ. 환경권의 실체적 구현방안 1. 입법 개선방안 ? 환경헌법 개정 ㅇ 첫째, ‘환경’ 가치에 대한 ?헌법?상 기본적 가치를 인정하고 국가가 환경이라는 객관적 가치보장을 추구한다는 내용의 ‘환경국가원리’를 ?헌법?에 명문화하여야 함 ㅇ 둘째, 법률유보조항을 삭제하여 환경에 대한 핵심적 내용과 그 행사에 관하여 헌법사항으로 두고, 환경권 조항을 기본권 규정 편제상 사회권에 관한 조항과 별도로 규정하는 등 환경권의 독자성 및 구체성을 확보하여야 함 ? ?환경단체소송법? 제정 ㅇ 사법접근성은 법치주의의 기본요소이면서 동시에 환경법의 효율적 집행을 위한 핵심요소로서 일정한 요건을 갖춘 환경단체에 원고적격성을 부여하여 사법접근권을 높이는 것이 환경권 실질화의 관건으로 다음과 같은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음 - 첫째, ‘환경정보에의 접근권’(access to environmental information), ‘환경행정절차에의 참여권’(public participation in environmental decision-making), ‘사법접근권 보장’(access to justice)을 보장하도록 하는 ‘오르후스협약’에 가입 - 둘째, 개인으로서의 인간뿐만 아니라 단체도 환경권의 주체가 될 수 있도록 하고, 일정한 요건을 갖춘 환경단체에 공익적 환경소송의 당사자로서 자격을 부여하도록 현행 ?행정소송법?을 개정하거나 ?환경단체소송법?을 제정 - 셋째, 환경단체가 재산권의 대상이 될 수 없는 물, 대기, 기후 등의 자연환경 또는 생태계에 대한 침해를 중지·금지하고 기존의 침해에 대해 배·보상 및 복원하도록 청구할 수 있는 주체가 될 수 있도록 하는 ?환경훼손법?을 제정 2. 환경행정 개선방안 ? 환경권 보장을 위한 행정구제수단 통폐합 ㅇ 현행과 같은 환경보호체계의 분산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고 국민의 환경권 보호·실현을 보다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환경오염 피해조사, 환경분쟁조정, 환경오염 피해 구제에 이르는 전 과정을 일관된 관점에서 관리하는 ‘환경권보장위원회’를 신설할 필요가 있음 ? 환경행정절차 참여권 강화 ㅇ 환경의사결정 과정에서 실질적인 참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식적으로 운영 중인 설명회나 공청회의 대상, 횟수, 장소 등을 확대하고, 일방적인 의견의 수렴이 아니라 쌍방향 의사소통의 절차로 두는 등 환경의사결정과정에 주민들의 의견을 실질적으로 반영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함 ? 환경정보접근·이용권 보장 ㅇ 환경영향평가서와 관련하여 투명한 정보공개 여부, 실질적 정보 접근 가능성, 정보제공 시기의 적절성 등을 종합적으로 재검토하고, 개별적인 환경정보 청구에 대한 수동적인 공개뿐만 아니라, 별도의 청구가 없어도 누구나 언제라도 관련 정보에 접근, 이용할 수 있는 능동적이고 투명한 정보 공개를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개선 필요 ? 기타 ㅇ 사후적·소극적 구제에서 벗어나 사전적·적극적 구제를 위하여 환경사고 사전예방시스템을 강화하여야 함 ㅇ 지도·점검 및 행정처분의 실효성을 확보하는 등 환경집행력을 강화하는 방안을 검토하여야 함 -
dc.description.abstract Ⅰ. Background and Objective 1. Need of Activation of Environmental Rights ㅇSince the enactment of the ?Anti-Pollution Law? in 1963, environmental legislation has become regularized, yet its implementation has been limited as a specific right due to the judiciary's passive interpretation of environmental rights ㅇ2020 marks the 40 year dismissal of environmental rights as a constitutional law since the 8th Constitutional Amendment in 1980, yet environmental rights are still insufficient to cope with various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climate change, air pollution and microplastic, which threatens the primary survival conditions for humans to live a decent life. 2. Measures for the Activation of Environmental Rights ㅇThe objective of the following research is to provide a foundation for social discussion on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rights not only for us living in the present, but also for the future generations, and an ecosystem that coexists with humans. Ⅱ. Theoretical and Legal Effectiveness of Environmental Rights 1. Effectiveness of Environmental Rights ? Independent Rights of Environmental Rights ㅇThe Constitutional Court ruled that the legal aspects of environmental rights are comprehensive rights including both liberal and social traits. ? Specific Rights of Environmental Rights ㅇThe Supreme Court generally denies the fact that environmental right regulations have the effect of directly constraining government agencies, allowing the public to seek the relief of their rights from the courts. 2. Awareness of Problems ㅇDue to issues such as the destruction of ecosystems and climate change, humankind has been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exposed to heatwaves, water shortages, reduced agricultural production, and the increase of natural disasters and infectious diseases. ㅇAs the preliminary basis for survival, the ‘environmental maintenance’ of clean air, water food and other natural resources must be kept, otherwise guaranteeing the basic rights of all citizens is either meaningless or impossible. ㅇIf the current situation of human desire provoking incompatible environmental destruction continues in the coming decades, the foundation of human survival will be unlikely to recover beyond the critical point and our lives may be unsustainable. Accordingly, it is time to bring the change of perception of the value for ‘environmental right’ under the premise of all fundamental rights. Ⅲ. The Practical Implementation of Environmental Rights 1. Improvements for Legislation ? Revision of Environmental Constitution ㅇ First, the basic significance of the ‘environment’ values based on the Constitution must be recognized and the 「Constitution」 should stipulate the ‘Principle of Environmental State’, indicating that the government pursues the objective value of the environment. ㅇSecond, the government should secure the independence and particularity of environmental rights by removing the legal-reservation clause to ensure the core contents and exercise of its authority on the environment. ? Enactment of the ?Environmental Organization Procedure Act? ㅇ Access to judiciary is a fundamental element of constitutionalism and at the same time acts as a key element for efficient enforcement of environmental laws. Reviewing such measures as the key to enhancing judicial access rights by granting eligibility as a plaintiff to environmental organizations with certain requirements is needed. - First, ‘Aarhus Convention’, which urges to guarantee the ‘access to environmental information’, ‘public participation in environmental decision-making’ and ‘access to justice’ should be joined. - Second,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must be revised or the ?Environmental Organization Procedure Act? must be enacted in order to enable not only humans as individuals but also organizations, which meet certain requirements, to be allowed as the subject of environmental rights. - Third, the ?Environmental Damage Act? should be enacted to allow environmental organizations to stop or prohibit violation on natural environment or the ecosystem, such as water, air, and climate, which cannot be the object of property rights, and can be the subject of claims for drainage, compensation, and restoration of existing violations. 2. Improvement Plan for Environmental Administration ?Rearrangement of Administrative Relief for the Guarantee of Environmental Rights ㅇ‘Environmental Rights Protection Committee’ needs be established to manage the entire process for damage investigation on environmental pollution, environmental dispute settlement, and environment pollution damage relief,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due to the disperse of the current environmental protection system, and to achieve and effectively fulfill the protection of people’s environmental rights. ?Reinforcement of Environmental Administrative Procedure Participation Right ㅇFor effective participation in the environmental decision making process, the subjects, frequency and locations of public hearings should be expanded, and the opinions of the residents in such processes should be substantially reflected in terms of interactive communication rather than a one-way convergence of opinions. ? Guarantee of Rights for Environmental Information Access and Use ㅇConcerning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report, the transparent release of information, availability of substantial information access, and timing adequacy of information offering should be thoroughly reviewed. Regarding the request of individual environmental information, anyone should be able to access it without separate requests, and the release of active and transparent information should be guaranteed. ? Others ㅇ The system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accidents should be reinforced for initial and proactive relief from a posterior and passive relief. ㅇ Reviewing measures to strengthen the environmental executive power is required, such as securing the effectiveness of guidance, inspection, and administrative disposition.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요 약 <br><br>제1장 서 론 <br>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br>2. 연구의 주요내용 <br><br>제2장 환경권 실질화 필요성 <br>1. 환경권의 역사 <br>가. ‘환경권’의 ?헌법? 등장 배경 <br>나. ?헌법?상 기본권으로서의 환경권 <br>2. 환경권의 이론적·법실무적 효력 <br>가. 환경권의 효력 <br>나. 문제의식 <br><br>제3장 환경권의 실체적 구현방안 <br>1. 입법 개선방안 <br>가. 환경헌법 개정 <br>나. 환경단체소송법 제정 <br>2. 환경행정 개선방안 <br>가. 환경권 보장을 위한 행정구제수단 통폐합 <br>나. 환경행정절차 참여권 강화 <br>다. 환경정보접근·이용권 보장 <br>라. 기타 <br><br>제4장 결 론 <br><br>참고문헌 <br><br>부 록 <br>Ⅰ. 2018년 ?헌법? 개정안 <br>Ⅱ. 환경권 40주년 포럼 개요 <br><br>Executive Summary -
dc.format.extent 80 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subject 헌법 -
dc.subject 환경권 -
dc.subject 환경권 실질화방안 -
dc.subject 입법 개선방안 -
dc.subject 행정 개선방안 -
dc.subject Constitutional Law -
dc.subject Environmental Rights -
dc.subject Activation of Environmental Rights -
dc.subject Improvements for Legislation -
dc.subject Improvement Plan for Environmental Administration -
dc.title 환경권의 실체적 구현을 위한 입법 개선방안 -
dc.type 수시연구 -
dc.title.original The practical implementation of environmental rights -
dc.title.partname 정책보고서 -
dc.title.partnumber 2020-08 -
dc.description.keyword 환경경제 -
dc.rights.openmeta Y -
dc.rights.openimage Y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Han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Sangun -
dc.contributor.otheralternativename Chung -
dc.contributor.otheralternativename Woohyun; Yum -
dc.contributor.otheralternativename Jungyoon; Seo -
dc.contributor.otheralternativename Eunju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Policy Study(정책보고서)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