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 통합관리 전략 수립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심창섭 -
dc.contributor.other 한진석 -
dc.contributor.other 최기철 -
dc.contributor.other 이정석 -
dc.contributor.other 강택구 -
dc.contributor.other 이승민 -
dc.contributor.other 한화진 -
dc.contributor.other 공성용 -
dc.contributor.other 신동원 -
dc.contributor.other 김현노 -
dc.contributor.other 공지영 -
dc.contributor.other 나건수 -
dc.contributor.other 강성대 -
dc.contributor.other 장임석 -
dc.date.accessioned 2021-04-01T19:30:11Z -
dc.date.available 2021-04-01T19:30:11Z -
dc.date.issued 20201231 -
dc.identifier A 환1185 사업2020-08-01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23207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14/010/사업2020_08_01_심창섭.pdf -
dc.description.abstract Ⅰ. Background of Research ? Current status of domestic PM2.5 pollution ㅇ PM2.5 pollutions in 2020 (Korea) -The annual mean PM2.5 concentration of Seoul in 2020 was 17% lower than 2019, which is a remarkable reduction. ?According to Ministry of Environment’s reports, the effect of national policy such as policy measures of season with high PM concentrations (the seasonal management system) could be in a range from 18% (before the COVID-19 outbreak) to 34% (after the COVID-19 outbreak). ? Reduction of PM2.5 in China had a great impact as well; the February lockdown in China and Korea’s strong social distancing in March due to COVID-19 lead to the 30% reduction in NO2 column concentrations in East Asia. Other major polluted areas such as India and cities in Europe also exhibited substantial evidence of improved air quality during spring. ㅇ Major policy actions of the Korean government -Since the announcement of the “Comprehensive Policy Measures for PM Mitigation” in November 2019, there has been substantial progress in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government policies. ?The actions include the “Policy Measures for Seasons with High PM Concentrations (December ~ March)”,and the “Basic Plans for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2020).” ? Aims of research ㅇThe meaning of “integrated management” is to manage all related sectors (or factors) consistently and synthetically, which results in “horizontal integration” for related sectors (or factors) in order to mitigate PM pollution. ㅇ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eek current needs in terms of national PM policies and analyze emissions and their contributions, health risks and their costs in an integrated manner. This comprehensive and integrated approach is expected to help make suggestions for national PM mitigation policies. Ⅱ. Current Status of PM Pollution and Policy Measures 1. Current status of national PM policies ? New efforts in the development national PM policies ㅇSpecial policy measures for seasons with high PM concentrations have been implemented since December 2019. These include reducing the operation of coal power plants, regulating Grade 5 vehicles, and intensive monitoring of emissions ㅇThe government established the Basic Plans for Regional Air Quality Management, which lead to progress in developing local-scale air pollution policy considering regionally specific air pollutant emissions and their features. ? Current issues in national PM policies ㅇCurrent policy measures for PM pollution mostly lean on the measures for transportation sectors. However, more contributions are made from the industrial emissions and agricultural emissions. Thus, it is needed to diversify policy measures in terms of the national budget focusing on emissions that contribute more to pollution. ㅇ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BAI) of Korea reported recently that current PM policies has some caveat in estimations of air pollutants emissions. There are also inconsistency in different national plans for PM control measures. With other reports on problems of implementation on government budget, those reports are now being considered to revise or improve current PM policies. Ⅲ. Estimation of Costs of Health Damage by Emission Source ? The results of cost estimation ㅇDirect PM2.5 emissions show the highest costs per unit volume (ton) and those from transportation show the highest range of costs (40 million ~ 150 million KW/ton/year). ㅇAmmonia (NH3) emissions from diverse sectors also show higher costs per unit volume (ton), which is about 50 million (KW/ton/year). ㅇNOx emissions show the costs of about 10 million (KW/ton/year) per unit volume (ton). The costs related to VOCs emissions are relatively low due to the low conversion rate in the current model, which should be improved through further research. Ⅳ. Analysis of PM Pollution Issues in Chungcheong Regions ? Research backgrounds and results ㅇBased on our calculation, Chungcheong region made the largest contribution to the national mean PM2.5 concentrations in 2016. The national emissions from industrial combustion and processes, energy generation, and domestic burning are the main contributors to PM2.5 pollutions in Chungcheong regions. The areas with large amount of air pollutant emissions (such as Dangjin, Seosan, and Boryeong) exacerbated the conditions in the adjacent areas (such as Asan, Yesan, Hongsung, and Chungyang) showing higher PM2.5 concentrations than Seosan, and Boryeong. While the Chungnam region emitted 250% more air pollutants than Chungbuk region, the vulnerable population exposed to higher PM2.5 concentration (>25㎍/m3) in Chungbuk was 17% larger than that of Chungnam region. ㅇMitigation of air pollutant emissions from industry, power generation, and domestic sectors in Chungcheong region is a higher priority in PM control policies. Also, Chungbuk region needs to focus more on reducing a health risks due to the larger number of vulnerable population exposed to higher annual PM2.5 concentrations. Finally, the local governments in Chungcheong regions need a governance system for closer cooperation among stakeholders of neighboring areas such as Gyeonggi Province to resolve the disparity issues in the areas with higher level of emissions and receptors. V. Discussions and Suggestions ? Higher priorities in developing PM policies ㅇThe Korean government spends the majority of its budget on the transportation sector (such as car scrapping, supporting DPFs, restriction on high-emitting vehicles, and subsidies for low-emitting vehicles). Despite the government announcement of the “Korean Green New Deal” in 2020, there are few policies including those on reducing air pollutants in industries. So, concrete policy measures wehre the government can invest are needed, which should be related to eco-friendly industry in Korea. ㅇGovernment policies need to take into consideration the costs of health effects due to PM pollution. Our results showed that direct PM2.5 emissions from transportation incurred the highest costs and health effects from NH3 emissions are the second largest factor. Therefore, those emissions should be considered as a higher priority in the policy implementation. ㅇThe Chungcheong region makes the highest contribution to annual PM2.5 concentrations at the national level, comparable to that of the metropolitan area, and has a relatively large population of sensitive groups (under 18 and 65 years of age) exposed to high PM concentrations. So, the government needs to prioritize this area in developing domestic fine dust policies. In particular, the core of the Chungcheong region’s reduction efforts should include industry, agriculture, living conditions, and manufacturing. In the case of damage from high concentration in the Chungbuk region, there is a task to resolve the potential regional conflict between stakeholders through continuous communications. ㅇRegarding the emission source (sector) for setting reduction priority, the concentration contribution road is effective in the order of industry > manure/fertilizer > road > non-road > power generation. However, the priorities based on the cost of health damage per unit of emission were in the order of roads > others > industry > non-road > power generation > livestock production. Therefore, reductions in both the industrial and transportation sectors were found to be important if both contributions to concentration and health damage costs are considered. This could be the basis for the current PM policies in the transportation sector, where relatively larger budget investments are currently being made. In addition, the agriculture and livestock sectors and other emission sectors (manure/fertilizer, agricultural residues, biological combustion, fugitive dust, etc.) also showed the high costs of health damage by each emission unit, but the accuracy of their emissions information and investigation of the effects of fine dust need to be improved. ㅇIt is necessary that certain regions are prioritized in policy development. In terms of “contributions to annual PM levels”, the most important areas for reduction include Seoul Metropolitan Area (SMA), Chungcheong region, and Gyeongsang-do region. Considering the sensitive populations, which are expected to suffer from damage due to high concentrations, it was found that there is an urgent need to improve the concentration of PM2.5 in the Seoul & Gyeonggi area (SMA), parts of Chungnam, and Chungbuk area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implementation of PM policies in the SMA and Chungcheong region is the most important priority. ? Other suggestions ㅇKorea currently has a problem with the concentration of ozone (O3), which causes harm to respiratory health in addition to fine dust, and it is constantly increasing. Annual average ozone concentration has been continuously increasing in all regions since the 2000s, which is a consistent problem in Northeast Asia. Ozone is toxic to human organs with three oxygen atoms and it is hard to filter it out by any reduction device.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it is urgent to identify the cause of continuous increases in ozone concentration and establish long-term countermeasures. The main precursors of ozone are nitrous oxides (NOx)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Currently, in East Asia, including Korea, high concentrations of nitrous oxides are observed, so in many cases, VOCs are known to act as major regulators. ㅇIn particular, as previously emphasized, emissions of aromatic hydrocarbons (e.g. benzene, toluene, etc.) (parts of VOCs) in Korea that are highly hazardous to humans are high in some industrial complexes, and these toxic VOCs contribute to producing ozone and fine dus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d implement policies for domestic reduction of VOCs in order to achieve the policy effect of co-reduction of ozone and hazardous compounds. In addition, since these issues can be regarded as long-term international cooperation issues to improve the air environment in East Asia and other regions, joint research and cooperation with major parties such as China are expected to be promoted. -
dc.description.abstract Ⅰ.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연구의 배경 ? 국내 미세먼지의 실태 ㅇ 2020년 주요 미세먼지 현황과 실태 -2020년 우리나라 초미세먼지 농도는 2019년 대비 평균 약 17% 감소하여(서울 기준)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남 -환경부 발표에 따르면 1차 계절관리제 기간 중(’19.12 ~ ’20.3) 계절관리제 등 정책이행 효과가 약 18%(COVID-19 이후)~34%(COVID-19 이전)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됨 -국내 미세먼지의 외부적 영향으로는 2월의 중국의 주요 도시 봉쇄, 3월 국내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위성관측 기준 이산화질소 농도(NO2)가 최대 30% 감소하였으며(중국 기준) 대다수 중국 도시들이 약 7~14㎍/m3 수준의 초미세먼지 개선을 보고한 해외연구 사례가 있음. 더불어 세계 주요 감염지역의 봉쇄조치 등 영향으로 북반구의 배경 대기 농도가 전반적으로 개선되었음. ※학계에서는 일시적 미세먼지 전구물질의 농도 감소의 여파가 비선형적이어서 대기질 개선의 폭과 영향을 미치는 기간을 파악하기 위해 상당 기간 연구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음 ㅇ현재 정부의 주요 정책 방향 -최근 정부는 ??미세먼지 관리 종합계획(2020-2024)??? 이후 정책이행을 위한 후속 조치를 진행하고 있음 ???미세먼지 고농도시기 대응 특별대책??, ??권역별 대기환경관리 기본계획??, ??실내 공기질 관리 기본계획?? 등을 추가로 마련하여 추진하고 있음 ※환경부 이외에 농림축산식품부, 해양수산부, 국토교통부, 교육부 등 다부처 협력 정책이행과 연구개발사업을 수행하고 있음 ? 연구의 목적 ㅇ 본 연구의 목적 -‘통합관리’의 의미 ?미세먼지 ‘통합관리’라 함은 국가의 미세먼지를 저감하기 위한 목적으로 모든 관련된 요소(부문)들을 일관된 시스템으로 관리하는 ‘수평적’ 통합의 관리전략을 의미함 ※여러 부문을 아우르는 오염원 배출관리, 지역차원의 관리, 소통 및 거버넌스 등 다차원적인 해결과제에 대한 종합적 관리방안을 지원하는 연구를 의미함 -본 연구의 목적은 여러 부문을 아우르는 통합적 관점에서 현재의 국가 및 지역단위 미세먼지 정책지원을 위한 니즈를 파악하고 미세먼지의 배출원과 물질, 지역차원의 사회적 비용을 고려한 종합적인 미세먼지 정책의 개선을 제안하고 이행을 지원하고자 함 Ⅱ. 미세먼지 실태 및 대응 정책 현황 1. 미세먼지 정책 현황 ? 새롭게 추진된 정부 정책 현황 ㅇ’19.12부터 ??미세먼지 고농도시기(’19.12~’20.3) 대응 특별대책?? 수립과 제1차 미세먼지 계절관리제 시행으로 석탄화력 가동축소, 사업장 집중감시, 수도권 5등급차 운행제한 등의 고강도 저감 조치 이행 ㅇ?대기관리권역의 대기환경개선에 관한 특별법?(이하 ?대기관리권역법?)에 따라 우리나라의 8개 특·광역시와 69개 기초지자체에서 5년마다 지자체 차원의 대기환경관리 기본계획을 수립, 추진 중임 ㅇ다중 실내 이용 시설 등의 공기질 개선 요구를 반영, 다중이용시설의 실내 미세먼지 농도기준을 강화하고(35μg/m3), 대중교통차량 초미세먼지 기준과 공동주택의 라돈 농도기준을 신설함. 이외에도 농축산지역의 암모니아 저감 및 항만지역의 황산화계열 미세먼지 및 전구물질 저감을 위한 정책을 마련, 이행 중임 ㅇ올해 우리나라는 그동안 미흡했던 고농도 시즌대책과 지역별, 주요 배출 사각지대의 저감을 위한 구체적인 정책을 마련, 이행하는 의미 있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음 ㅇ그러나 아래와 같은 국가 미세먼지 개선을 위한 정책 이슈가 있음 -국가 예산이 투입되는 정책수단은 여전히 교통부문(노후경유 조기폐차, 저감지원, 친환경차량 보급/확산 등)에 편중되고 있어, 다양한 부문에 예산투입이 가능한 구체적 정책수단 발굴과 확대가 시급함 ※향후 정부의 그린뉴딜 구체 사업으로 미세먼지(대기질) 저감 산업 포함 필요 -제2차 계절관리제(’20.12~’21.3)에 따라 고농도 시기에 전국적인 5등급 차량 운행제한은 미세먼지 농도 저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전망됨(연평균 약 3% 저감) ※제2차 계절관리제는 삭감목표량을 제시하였으며 지역별 배출 특성 등을 감안한 시·도 지자체 수준의 세부계획을 마련, 이행, 사후 평가하도록 하고 있음 -미세먼지 기여가 큰 중소형 사업장의 감시 및 저감을 위한 지원이 여전히 주요 정책 사안임, 또한 감사원 감사결과에 따른 배출량 산정 개선 및 정책 이행의 지속적 관리와 평가, 개선의 선순환이 필요함 -미세먼지 문제는 위해성 차원에서 접근해야 하며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유해대기화합물질(HAPs) 등 관련 대기오염물질과 같은 차원에서 전국차원의 종합감시확대와 정책추진이 중장기적으로 필요함. 즉, 대기오염 물질 종합 저감이 필요 III. 배출원별 미세먼지 건강 피해비용 산정 1. 국내 미세먼지 장기노출에 의한 조기사망 단위 피해비용 산정 ? 배경 및 방법론 ㅇ본 연구에서는 초미세먼지의 장기노출로 인한 조기사망 단위 피해비용을 산정하였음 -국내 8개 배출단위(발전, 산업, 도로, 비도로, 분뇨&비료, 농축산, 상업&가정, 기타)와 5개 대기오염물질(NOx, SOx, PM2.5, NH3, VOCs)로부터 발생하는 초미세먼지의 장기노출에 의한 조기사망 피해비용을 산정하였음 ?피해비용 산정을 위해 배출단위별, 오염물질별 초미세먼지 농도 전환율(연간 배출무게(톤) 당) 초미세먼지 전환농도를 산출함(2016년 배출자료 활용) ?초미세먼지 장기노출로 인한 농도반응함수를 차용하였으며(Hoek, et al., 2013), 특정 배출원에서 특정 오염물질의 단위 무게만큼 발생하였을 때 증가하는 조기사망자 수에 사망위험감소가치(VSL)를 고려하여(안소은 외, 2018) 단위 건강 피해비용을 산출함 ? 배출원별 건강피해비용 산정 결과와 정책 시사점 ㅇ배출 부문별 건강피해비용 산정 결과 -초미세먼지 직접배출은 가장 높은 단위 무게 당 피해비용을 보이고 있으며, 국내에서 도로이동오염원, 비도로이동오염원, 농축산 활동, 산업, 발전 순위로 피해비용이 큼(4,000~15,000만 원/ton/year) -다음으로는 암모니아 배출이 피해비용이 크며 분뇨&비료, 도로이동오염원, 상업/가정연소, 기타 오염원이 비슷한 수준의 피해비용을 보임(~5,000만 원/ton/year) -질산화물질(NOx)은 배출원들이 주로 약 1,000만 원/ton/year 수준의 피해비용을 보이고 있으며, VOCs는 현재 모델 시스템에서 전환율이 상대적으로 낮아 적은 피해비용을 보임. 이러한 모델링 및 방법론 등의 한계는 향후 보다 정확한 단위 배출량 당 피해비용 산정을 위한 과학적 방법론 개선이 필요함 -따라서 건강피해 비용을 고려한 미세먼지 정책에 우선순위를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초미세먼지 기여가 큰 화물수송부문의 저감 및 친환경화, 농축산 분야의 분뇨뿐 아니라 생물성 연소 등에 의한 배출원 감소를 위한 구체적 정책수단 도출이 요구됨 Ⅳ. 미세먼지 고농도 지자체 분석 1. 미세먼지 고농도 지자체 분석(충청권) ? 충청권역의 미세먼지 특성과 실태 ㅇ본 연구의 모델링 결과, 충청지역은(대전, 세종, 충남, 충북) 국내에서 가장 높은 초미세먼지 전국 기여도를 보이고 있음(초미세먼지 국내 농도 기여도: ~27%, 2016년 기준) -초미세먼지 주의보 경보 발령 횟수는 연평균 충북이 가장 많으며, 충남, 세종 순서로 대기질이 상대적으로 열악함(2017~2019년 평균) -2020년부터 ?대기관리권역법?에 따라 충남, 대전, 세종 및 충북일부 지자체는 대기관리 권역으로 지정되어 해당지역의 대기환경관리 기본계획을 작성, 추진하게 되었음 ㅇ충청지역의 미세먼지 배출 특성 -충청지역은 발전부문(특히, 석탄화력발전소) 배출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크며 해당 배출원은 충남 서부에 주로 위치하고 있음. 산업부문은 충남 서-북부와 충북 단양의 배출이 높음. 도로 및 생활 부문 배출은 천안-아산, 세종, 청주, 충주 등 주로 인구가 많은 지역이 상대적으로 높은 배출량을 나타냄 ※충남 당진은 전국 기초지자체 단위에서 최다 대기오염배출 지역이며 화력발전, 제철소, 농업 등 주요 미세먼지 및 관련 배출이 많은 것으로 나타남 ※충남 서산, 충북 청주, 대전은 상대적으로 VOCs 의 배출량이 높으며 산업, 생활부문의 저감이 필요함. 이는 오존 저감을 위해서도 중요한 저감 우선순위가 됨 ※충남 서부의 발전부문 배출원과 당진, 서산, 단양은 산업부문의 NOx 배출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미세먼지 기여가 큰 암모니아 배출량은 충남 홍성이 가장 높으며, 당진, 서산 등 충남 농축산지역에서 주로 높은 배출량을 보임 -총 배출량 기준으로는 충청지역은 당진과 서산이 가장 높으며, 서해안 화력발전지역(태안, 보령)과 천안-아산, 청주, 세종 및 충북 북부의 배출량이 상대적으로 높음 -그러나 주요 배출지역이 아닌 충남 청양, 예산은 인근 지자체 배출원의 영향으로 높은 초미세먼지 연평균 농도를 보이고 있으며(>25㎍/m3), 괴산~영동의 충북 동남부지역은 적은 배출량에도 불구하고 지리적 영향으로 고농도 지역으로 분류되어 (기초)지자체간 미세먼지의 배출-피해 관련 불균등 문제의 해결방안이 필요함 ? 충청지역 미세먼지 정책 시사점 -충청지역은 수도권에 버금가는 전국단위 미세먼지 기여도가 가장 높을 뿐 아니라, 고농도 노출 민감계층 인구수(18세 이하, 65세 이상)가 상대적으로 많은 지역이므로 국내 미세먼지 정책의 우선순위 고려가 필요한 지역임 -충청지역의 배출저감 노력의 핵심은 충남의 발전, 산업부문과 충북 청주, 단양의 생활 및 제조업 부문 배출저감이 주요한 해결과제임 -충남 고배출지역 인근 기초지자체의 미세먼지 고농도 노출과 배출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충북의 고농도 피해는 해당 민간, 지자체간 당사자 협의와 정부의 지원 등을 통해 지역갈등의 소지를 해결해야 하는 과제가 있음 Ⅴ. 미세먼지 국제협력 현황 및 발전 방안 1. 미세먼지 국제협력관련 현황 ? 타국의 미세먼지 관련 정책 변화 ㅇ2010년대의 중국의 미세먼지 저감 노력과 가시적 성과 -2013년 “대기 10조”가 시행되면서 강력한 정책이 추진되었음. 이는 수도 베이징과 전국 지급 이상의 주요 도시 및 중점관리지역들에 대한 목표 제시 및 대기오염 방지 조치를 시행 부분적 성과를 보임 -2017년 이후 중국은 당초 목표인 베이징 지역의 초미세먼지 농도를 60㎍/m3 이하로 달성한 바 있음. 당시 “람천보위전 3년 행동계획” 정책이 시행됨에 따라 북경지역의 주변지역까지 포함하는 확대된 대기관리 목표를 설정, 추진하고 있음 -또한 우리나라의 미세먼지 계절관리제에 앞서 “추동계 대기오염 종합관리 행동계획”을 발표하여 10월~3월까지의 대기오염의 집중관리를 시행하고 있음 -중국은 VOCs 관리를 2019년부터 강화하고 있으며 이는 오존 오염과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조치임 ㅇ ASEAN 현황 -아세안 지역은 대기오염 이슈가 산불 등 기후변화와 연관된 문제로서 인식되고 있음. 역사적으로 월경성 오염에 관한 협력 계획(ACPTP: ASEAN Co-operation Plan on Transboundary Pollution)에 따라 연무오염 이슈에 대응하고 있고 기후 위기 이슈와 더불어 지속적 협력 및 대응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음 -또한 월경성 연무오염에 관한 아세안 협정(AATHP: ASEAN Agreement on Transboundary Haze Pollution)는 비단 대기오염 이슈뿐 아니라 기후변화 문제와 연계되어 인식되고 있는데 2016년 당사국 회의 이후 AATHP 의 중요성을 재확인하고 이를 협정을 실천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안, 채택함 2. 향후 미세먼지 국제협력 발전 방향 ? 동아시아 미세먼지 국제협력의 발전 방향 ㅇ 미세먼지를 포함한 보다 포괄적인 대기오염 저감 협력의 틀이 필요함 -중국은 현재 미세먼지 저감 성과가 가시적이며, 일본은 이미 미세먼지가 사회적 이슈가 아니기 때문에 미세먼지만으로는 국제협력을 위한 동력이 부재함. 또한 대기오염 발원지를 부각시키는 대화접근은 문제해결에 현실적 방안이 되기 어려움 -현재 동아시아는 미래 대기오염 이슈에서 미세먼지 뿐 아니라 오존 오염문제가 큰 위협으로 떠오르고 있으며 기후위기의 문제는 향후 미국의 신행정부 체제에서 이미 중요하게 다뤄짐. 그러므로 온실가스 및 VOCs 저감 등을 골자로 한 새로운 동남아시아 차원의 대기 협력과 기후변화 대응을 연계하는 의제를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함 Ⅵ. 당해 연도 연구의 주요 정책 제언 ?본 연구는 현재 국가의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모든 관련된 요소(부문)를 일관적으로 관리하는 ‘수평적’ 통합의 관리 전략을 지원하기 위한 연구임 ㅇ본 연구의 목적은 여러 부문을 아우르는 통합적 관점에서 빠르게 발전, 이행되는 국가 및 지역단위 미세먼지 정책을 분석하고 정책지원을 위한 니즈를 반영, 미세먼지의 배출원과 물질, 지역차원의 사회적 비용을 고려한 종합적인 미세먼지 정책의 개선과 이행을 지원하고자 함 ? 미세먼지 정책관련 주요 시사점 ㅇ2020년은 정부 정책에서 ??권역별 대기환경관리 기본계획?? 등 지자체 차원의 미세먼지 개선에 대한 정책과 관련사업의 출범이란 의미 있는 성과가 있었음. 고농도 시기 5등급 차량제한에 대한 전국단위의 확대 실시, 농축산 및 해양/항만 분야에 걸친 확대된 부문/부처를 아우르는 정책이 마련되었음. 이는 중장기적으로 미세먼지 및 대기오염 저감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됨 ㅇ향후 추가적 미세먼지 저감의 성과를 거두기 위해 다양한 부문에서의 미세먼지 정책수단화, 지역차원의 (초)미세먼지의 원인규명과 특화된 저감 정책 실시, 산업/농업분야의 실효적 저감 대책 수립 및 이행이 필요함 ㅇ특히 현재 초미세먼지의 전구물질로서 모니터링과 효과적 감시가 필요한 VOCs, 암모니아 저감과 관리에 대한 범정부 및 지자체가 참여하는 실효적 정책 및 이행이 요구됨 ㅇ현재 우리나라는 오존과 유해대기화합물 오염과 같은 관련 대기오염물질 저감을 동시에 고려한 정책 개발과 발전이 중장기적으로 매우 필요함. 온실가스 및 VOCs의 동시저감을 포괄하는 정책추진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됨 ?우리나라의 물질별, 배출단위 별 미세먼지 장기노출에 의한 조기사망 단위 피해비용을 산정하였음 ㅇ본 연구결과 초미세먼지 직접배출은 가장 높은 단위 무게 당 피해비용을 나타내고 있어 저감 정책에서의 우선순위가 필요하며 모든 부문의 암모니아 배출량의 저감도 피해비용 측면의 우선순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됨. 배출원으로는 도로/비도로 부문의 단위 배출 무게 당 피해비용이 높은데(미세먼지 직접배출), 이는 현재 교통 부문 중심의 정부 정책예산이 다소 효율적임을 부분적으로 설명할 근거가 될 수 있음 -향후 정부정책에 건강피해 비용을 고려한 정책 우선순위를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초미세먼지 기여가 큰 화물수송부문의 저감(탈디젤화) 및 친환경화, 농축산 분야의 분뇨뿐 아니라 생물성 연소 등에 의한 배출원 감소를 위한 구체적 정책수단 도출이 요구됨 -전체 배출량을 고려하였을 때에는 배출원(부문)과 관련해서는 건강피해비용 순위는 산업 > 분뇨/비료 > 도로 > 비도로 > 발전 임. 따라서 농도기여도와 건강피해비용을 모두 고려하였을 경우 산업부문 및 교통, 농업 부문의 저감이 모두 중요한 것으로 나타남. 이를 바탕으로 국내에서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배출 저감 중점 분야는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음(그림 1 참조). -미세먼지 정책이행이 시급한 ‘지역’에 대한 정책 중점지역은 전국단위 초미세먼지 ‘농도 기여도’ 측면에서는 충청남도와 경기도가 가장 중요한 저감 대상 지역이었으며 이어 경상북도가 주요 저감 정책 이행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남. 반면, 고농도 피해가 예상되는 민감계층 인구를 고려하였을 경우는 서울경기 지역과 충남일부 및 충북지역 등의 초미세먼지 농도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남. 따라서 수도권과 충청지역의 미세먼지 정책 이행과 성과가 가장 중요한 우선순위가 있다고 할 수 있음. 이는 현 시점에서 권역별 대기관리 기본계획에서 고농도 노출 인구수를 고려하였을 때에 수도권과 중부권의 대기환경관리 기본계획의 수립과 이행이 상대적으로 시급함을 의미함 ?전국 미세먼지 농도기여와 피해가 큰 충청권역의 미세먼지 특성과 실태를 조사·분석하였음 ㅇ충청지역은 수도권에 버금가는 전국단위 미세먼지 기여도가 가장 높을 뿐 아니라, 고농도 노출 민감계층 인구수(18세 이하, 65세 이상)가 상대적으로 많은 지역이므로 국내 미세먼지 정책의 우선순위가 필요한 지역임 -충청지역의 저감노력의 핵심은 충남지역의 발전, 산업부문과 충북 청주, 단양의 생활 및 제조업 저감이 주요한 해결과제임 -충남 고배출지역 인근 기초 지자체의 미세먼지 고농도 노출과 배출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충북지역의 전반적인 고농도 피해는 해당 민간, 지자체간 당사자 협의와 정부의 지원 등을 통해 지역 간 갈등의 소지를 해결해야 하는 과제가 있음 -이와 같이 미세먼지 고농도에 노출되는 인구 및 민감계층 수를 고려한 정책적 선택이 필요하며 연구결과 수도권 뿐 아니라 충청지역과 이 지역의 민감계층 보호 전략도 매우 필요한 것으로 사료됨 -지역차원의 대기질 개선을 위해 향후 고농도/고배출의 미세먼지 우심지역에 대한 확대 연구가 필요하며, 현재 진행 중인 국가 연구개발사업 등과 연계하여 지역차원의 고농도 원인 규명과 해결을 위한 과학 정책적 연구와 정책 발굴이 지속적으로 요구됨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요 약 <br><br>제1장 서 론 <br>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br>2. 연구의 내용 및 수행 체계 <br>3. 과제의 기대효과 및 정책 기여 <br><br>제2장 미세먼지 실태 및 정책 현황 <br>1. 우리나라 미세먼지 오염의 특성 <br>2. 최근 COVID-19과 국내 미세먼지 현황 <br>3. 미세먼지 정책 현황 <br><br>제3장 미세먼지 배출원별 기여도 분석 <br>1. 분석 개요 <br>2. 지역별 배출량 기여도 <br>3. 주요 배출원별 미세먼지 농도 기여도 분석 <br>4. 미세먼지 농도 기여도 결과의 신뢰성 검토 <br><br>제4장 미세먼지 배출원별 및 물질별 건강 피해비용 산정 <br>1. 개요 <br>2. 건강 피해비용 산출 결과 <br>3. 시사점<br>제5장 미세먼지 고농도 지자체 분석(충청지역) <br>1. 충청지역의 미세먼지 실태 <br>2. 충청지역의 대기오염물질 배출 주요 원인 <br>3. 충청지역 대기오염물질 배출원 및 고농도 지역 분석 <br>4. 요약 및 시사점 <br><br>제6장 미세먼지 국제협력 현황 및 발전 방안 <br>1. 국내 미세먼지 국제협력 추진 현황 <br>2. 아시아 주요국 사례 <br>3. 정책 제언 <br><br>제7장 결론 및 정책 제언 <br>1. 결론 <br>2. 정책 제언 <br><br>참고문헌 <br><br>Executive Summary -
dc.format.extent 127 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subject (초)미세먼지 -
dc.subject 통합 관리 전략 -
dc.subject 대기질 정책 -
dc.subject 정책 평가 -
dc.subject PM Pollution -
dc.subject PM2.5 -
dc.subject Integrated Managements -
dc.subject Air Quality Policy -
dc.subject Policy Evaluations -
dc.title 미세먼지 통합관리 전략 수립 연구 -
dc.type 사업보고서 -
dc.title.original A Study on Integrated Management of Particulate Matter Pollution -
dc.title.partname 사업보고서 -
dc.title.partnumber 2020-08-01 -
dc.description.keyword 물환경 -
dc.rights.openmeta Y -
dc.rights.openimage Y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Shim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Changsub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Project Report(사업보고서)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