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문 온실가스 탈동조화 변화요인 분석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진태영 -
dc.contributor.author 김도원 -
dc.date.accessioned 2021-04-05T19:30:24Z -
dc.date.available 2021-04-05T19:30:24Z -
dc.date.issued 20210331 -
dc.identifier.citation 환경정책. 제29권 제1호 2021년 3월 101-127 p.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23234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21/026/001/05_산업부문_온실가스_탈동조화_변화요인_분석.pdf -
dc.description.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국내 산업별 온실가스 배출량 및 에너지 소비량, 실질 부가가치 자료를 활용하여 1990년부터 2018년까지 산업별 온실가스 배출량과 실질 부가가치 간의 탈동조화 경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온실가스 탈동조화 지수의 변화요인을 에너지원단위 변화요인과 배출계수 변화요인으로 나누는 로그평 균 Divisia 지수(LMDI) 분석을 활용하여 산업부문의 온실가스 탈동조화의 변화요인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의 온실가스 배출량과 경제성장 간의 탈동조화는 2000년대에 가장 심화되었다. 이러한 경향성은 에너지 다소비 업종과 수송부문에서 가장 두드러졌으며, 탈동조화의 변화요인은 주로 에너지원단위 개선 효과인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고부가가치 산업인 상업 및 공공서비스 부문의 경우 배출계수 변화 효과로 인해 온실가스 배출량 동조화 경향성이 뚜렷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핵심주제어] 온실가스 탈동조화, 분해분석, 산업별 온실가스 배출량, 에너지원단위 -
dc.description.abstract We analyze the decoupling index between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and real value-added, using domestic GHG emissions, energy consumption, and real valueadded data by sector from 1990 to 2018. The log mean Divisia Index (LMDI) analysis is applied to decompose the decoupling index into energy intensity and emission change factors. Korea’s decoupling of GHG emissions and economic growth intensified in the 2000s, mainly induced by the energy-intensive and transportation sectors. In addition, the main driving force behind the decoupling index was derived from the energy intensity improvement effect. Finally, the emission factor change effect in the commercial and public service of high value-added industry makes GHG emissions and economic growth more deeply intertwined. [Key Words] GHG Decoupling, Decomposition Analysis, Ghg Emissions by Industry Sector, Energy Intensity -
dc.format.extent 101-127 p.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한국환경정책학회 -
dc.title 산업부문 온실가스 탈동조화 변화요인 분석 -
dc.title.alternative Decomposing the decoupling between GHG emissions and value added of industry sectors -
dc.type 환경정책 -
dc.identifier.citationtitle 환경정책 -
dc.identifier.citationvolume 제29권 제1호 2021년 3월 -
Appears in Collections:
Periodicals(정기간행물) >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and Administration(환경정책)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