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의 사회적 자본이 기후변화 취약성에 미치는 영향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리금강 -
dc.contributor.author 홍철 -
dc.contributor.author 윤순진 -
dc.date.accessioned 2021-04-05T19:30:24Z -
dc.date.available 2021-04-05T19:30:24Z -
dc.date.issued 20210331 -
dc.identifier.citation 환경정책. 제29권 제1호 2021년 3월 183-210 p.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23235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21/026/001/08_지역의_사회적_자본이_기후변화_취약성에_미치는_영향.pdf -
dc.description.abstract 이 연구에서는 거시적 차원에서 지역사회의 사회적 자본이 기후변화 취약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한국 229개 시군구를 대상으로 다중회귀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엔트로피 기법으로 기후변화 취약성 지수를 산출하여 공간 분포에 따라 기후변화 취약성 수준에 편차가 크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다중 회귀분석을 통해 지역 수준의 사회적 자본이 기후변화 취약성 완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사회적 자본 유형 가운데 이웃 네트워크 변수의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지역주민들의 사회적 자본을 중심으로 장소 기반 기후변화 대응 전략을 수립하고 이행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핵심주제어] 기후변화 취약성, 사회적 자본, 지역 수준, 엔트로피 기법, 다중 회귀분석 -
dc.description.abstract This study analyzed 229 cities and counties in Korea using multiple regression models in order to examine the impact of social capital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on a macro level. We initially used the entropy weight method to evaluate the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index, then subsequently applied a multiple regression model.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is a large deviation in the level of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which depends on spatial distribution. They also show that local social capital plays a positive role for reducing climate change risks. In particular, the neighboring network variables have the largest impact among social capital types in reducing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These findings suggest the need to establish and implement a location-based climate change response strategy around local residents’ social capital. [Key Words]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Social Capital, Local Level, Entropy Method, Multiple Regression -
dc.format.extent 183-210 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한국환경정책학회 -
dc.title 지역의 사회적 자본이 기후변화 취약성에 미치는 영향 -
dc.title.alternative The impact of local social capital on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
dc.type 환경정책 -
dc.identifier.citationtitle 환경정책 -
dc.identifier.citationvolume 제29권 제1호 2021년 3월 -
Appears in Collections:
Periodicals(정기간행물) >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and Administration(환경정책)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