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관리 발전을 위한 하천 및 농업용수 등의 통합관리 연구(Ⅱ)

Title
물관리 발전을 위한 하천 및 농업용수 등의 통합관리 연구(Ⅱ)
Authors
이승수
Co-Author
양일주; 정아영; 김예인; 안현욱
Issue Date
2021-12-31
Publisher
한국환경연구원
Series/Report No.
연구보고서 : 2021-17
Page
155 p.
URI
https://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23453
Language
한국어
Keywords
물관리일원화, 통합물관리, 하천관리, 농업용수, Unification of Water Management, Integrated Water Management, River Management,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Abstract
? 물관리일원화정책 시행(’18.6) 이후 약 3년이 지난 시점에서 정책 시행에 따른 그간의 변화와 효과를 파악하면 앞으로 물관리 발전을 위한 정책 추진 방향을 설정하는 데 중요한 근거가 될 수 있음. ? 본 연구에서는 해외 물관리 및 물개혁 사례를 조사하고 시사점을 도출한 후 국내 물관리일원화 전후 나타난 주요 정책 주제의 변화와 한계점을 파악하였음. ? 이후 현재 물관리일원화정책에서 제외되었으나, 물관리 발전을 위해 필요한 농업용수와 하천의 유역단위를 통합 관리하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각 분야의 관리 현황을 파악하고 문제점을 도출하였음. ? 마지막으로, 효과적인 하천 및 농업용수 통합관리를 위한 10년 단위의 정책 추진 로드맵을 제시하였음. ? 이를 수행하기 위해 다음의 연구 진행 절차를 수행했음. ㅇ 해외 사례 조사 - 일본, 호주, 독일의 물관리 정책 및 물개혁 사례 조사 - 물관리 거버넌스, 수리권, 수리시설 및 수질관리, 데이터 기반 물관리 측면에서의 시사점 도출 ㅇ물관리일원화 전후 주요 정책 주제의 변화와 한계점 파악 - 부처별 물관리 법령 및 계획의 변화 조사 및 법정계획 정비 추진 현황 조사 - 수량관리 기반의 수질 개선 효과 조사 - 물관리 조직개편 현황 조사 및 물관리 재정 변화 현황 파악 - 국가·유역물관리위원회의 주요 기능 및 의제 이행 현황 파악 ㅇ 하천 및 농업용수 관리 현황 분석 - 소하천, 지방하천, 국가하천 관리 현황 파악 - 하천관리의 지방이양 정책 현황 조사 및 영향 파악 - 지자체의 하천관리 사업예산 변동 현황 파악 - 농업용수의 법적 정의 및 법정계획 추진 현황 파악 - 농업용수 산정방법에 따른 문제점 파악 및 개선 방안 도출 - 농업용수의 수질 및 수생태계 관리 현황 파악 - 농업용수 분야 정보화 현황 및 비점오염원 관리 현황 파악 ㅇ 물관리 발전을 위한 정책 제안 및 통합관리 로드맵 제시 - 하천 및 농업용수 관리의 문제점 도출 - SWOT 분석을 통한 전략 목표 도출 - 분야별 세부 전략 도출 및 하천 및 농업용수 통합관리 추진 전략 로드맵 제시


? Understanding the changes brought about by the unification of water management and its effect after three years of implementation (in effect since June 2018) will serve as an important basis for setting the policy direction for future water management ? This study examined cases of overseas water management and water reform and their implications, and identified the changes in major policy topics after the unification of domestic water management and its limitations. ? In order to present an integrated management plan for agricultural water and rivers, which is currently excluded in the schemes related to the unification of water management but required for improved water management, the management status and problems of each sector were identified. ? Finally, a ten-year policy implementation roadmap for effective integrated management of rivers and agricultural water was presented. ? This study was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e following procedure: ㅇ Overseas case studies - Case studies of water management policies and water reform in Japan, Australia, and Germany - Implications of water management governance, water rights, the management of irrigation facilities and water quality, and data-based water management ㅇ Identify changes in major policy topics after the unification of water management and its limitations - Investigation of changes in water management laws and plans by department and the status of the revision of statutory plans - Investigation of the effect of water quality improvement based on water quantity management - Investigation of the current status of organizational reforms in water management bodies and identifying changes in water management finances - Identifying major roles of the National/Basin Water Management Committees and the implementation status of agenda items ㅇ Analysis of the management status of rivers and agricultural water - Identifying the management status of small rivers, local rivers, and national rivers - Investigation of the current status of the local transfer of river management and identifying its impact - Identifying changes in the local budget for river management projects - Identifying the legal definition of agricultural water and the implementation status of the statutory plans - Identifying problems of estimating agricultural water by method and developing improvement plans - Identifying the quality of agricultural water and the management status of aquatic ecosystems - Identifying the current status of informatization in the agricultural water sector and the management of non-point pollution sources ㅇ Present policy proposals and an integrated management roadmap for improved water management - Identifying problems in river and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 Setting strategic goals through SWOT analysis - Building detailed strategies for each sector and presenting a roadmap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rivers and agricultural water

Table Of Contents

요 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 추진 체계

제2장 해외 물관리 체계 및 정책 동향 분석
1. 일본
2. 호주
3. 독일
4. 요약 및 시사점

제3장 물관리일원화 전후 주요 정책 변화 및 시사점
1. 물관리 법령 및 계획의 변화
2. 수량관리 기반의 수질 개선 효과
3. 환경부 조직과 재정의 변화
4. 국가·유역물관리위원회의 주요 계획
5. 요약 및 시사점

제4장 하천 및 농업용수 관리 현황 분석
1. 하천 관리 현황
2. 농업용수 관리 현황
3. 하천 및 농업용수 통합관리의 필요성
제5장 물관리 발전을 위한 정책 제안 및 통합관리 로드맵
1. 하천 및 농업용수 관리 현안 및 향후 과제
2. 내·외부 환경(SWOT) 분석을 통한 전략 목표 도출
3. 분야별 세부 전략
4. 물관리 발전을 위한 하천 및 농업용수 통합관리 추진 전략 로드맵

참고문헌

부 록
Ⅰ. 국토교통부 업무 이관 및 환경부 직제 기능 변화 분석
Ⅱ. 시·도별 하천 관련 예산 투자 현황

Executive Summary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Research Report(연구보고서)
Files in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