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ㆍ경제 통합분석을 위한 환경가치 종합연구 : 부문별 영향평가 및 가치추정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안소은 -
dc.contributor.other 이홍림; 박윤선; 홍현정; 서양원; 김충기; 한선영; 정다운 -
dc.date.accessioned 2022-03-31T16:30:13Z -
dc.date.available 2022-03-31T16:30:13Z -
dc.date.issued 20211231 -
dc.identifier A 환1185 사업2021-05-02 -
dc.identifier.uri https://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23477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14/011/사업2021_05_02_안소은.pdf -
dc.description.abstract Ⅰ. Case Study with Integrated Analysis Toolkit for Carbon Absorption and Storage 1. Background and scope of analysis ? In preparation for a successful transition to a carbon-neutral society by 2050, this study develops the integrated analysis toolkit for carbon absorption and storage to evaluate the carbon absorption, storage, and value of the ecosystem services scientifically and objectively. ㅇ The 2016 study laid the foundation for toolkit development to link the quantitativ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nd environmental unit values, and the 2021 study completed the development of the toolkit after much improvement and stabilization. - This year’s study aims to support the policy decision-making for achieving carbon neutrality by assessing and renewing the carbon absorption and storage capacity of ecosystems measured in 2019 to estimate its economic value using the ecosystem types and the carbon absorption and storage coefficients of the ecosystem established in the 2016 study. 2. Impact analysis ? As of 2019, the ecosystems stored 950 million tons of carbon and absorbed 15 million tons of carbon per year, with carbon storage reduced by 1% and carbon absorption increased by 1% compared with 2007. ㅇ As of 2019, forests, a major carbon sink, stored 790 million tons and absorbed 15 million tons of carbon per year. Although forests shrank by 3% compared with 2007, the carbon storage and absorption rose by 2% and 1%, respectively, following a 76% increase of the broad-leaf forest area with high carbon absorption and storage coefficient. ㅇ As of 2019, the regions with the largest carbon storage were Gyeongbuk (200 million tons), Gangwon (192 million tons), and Jeonnam (106 million tons), and the regions that absorb carbon the most were Gangwon (3 million tons/year), Gyeongbuk (3 million tons/year), and Gyeongnam (2 million tons/year). The carbon storage decreased by 1-14% in all regions except Seoul, Gyeongbuk, Gangwon, and Ulsan, and the carbon absorption also fell by 1-9% in Sejong, Chungnam, Chungbuk, Jeonbuk, and Busan compared to 2007. 3. Value estimation ? The unit value input process in the stage of environmental evaluation in the integrated analysis toolkit for carbon absorption and storage was revised in 2021. ㅇ The toolkit not only provides the price information of both domestic and overseas (EU-ETS) carbon credit as unit value data, but also allows users to select the price information at the desired time. ㅇ To complement the price difference at different points of time, the toolkit currently provides services to adjust inflation at different points of time. 4. Analysis results and implications ? The integrated analysis toolkit for carbon absorption and storage of ecosystems is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c tool for the decision-making of carbon net-zero policy since it can provide relevant data for each ecosystem and administrative district. ㅇ The toolkit provided relevant information by identifying the source of carbon absorption and storage and conducting quantitative and spatial evaluation on the carbon absorption and storage services based on reliable models and data. ㅇ However, as the ecological carbon absorption and storage largely depends on the input unit and data, it requires further study on the assessment and verification of carbon absorption and storage, including research on methods to set coefficients for carbon absorption and storage and ways to incorporate standardized and objective input data. Ⅱ. Case Study with Integrated Analysis Toolkit for Water (Freshwater) Supply 1. Background and scope of analysis ? As a prior step to achieving the sound water cycle, an integrated analysis toolkit for water supply was developed which can evaluate the water supply volume and the value of the ecosystem services in a scientific and objective manner. ㅇ The 2017 study laid the foundation for toolkit development to link the quantitativ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nd environmental unit values, and the 2021-2022 study aims to improve and stabilize the toolkit in an effort to complete the development of the toolkit. - The 2021-2022 study aimed to support the policy decision-making for sustainable water management (2021-2022) by applying the type of ecosystem and the ecosystem service evaluation model set in the 2017 study with revised input data and coefficients (2022) to assess and verify the water supply function of the 2019 ecosystem (2022) and revise and apply the economic evaluation system (2021-2022). 2. Impact analysis ? As of 2009, the water supply volume of the ecosystems except the impervious urban area was 72.7 billion tons. ㅇ Forests and arable land are key ecosystems that supply water, and as of 2019, the forests supplied 47.2 billion tons of water (65%) and the arable land supplied 20.9 billion tons of water (29%). ㅇ As of 2009, the Han River basin supplied the largest water volume of a total of 26.2 billion tons (36%). The Nakdong River, Yeongsan & Seomjin River, and Geum River basins supplied 19.5 billion tons (27%), 14.5 billion tons (20%), and 11.7 billion tons (16%) of water, respectively. ㅇ As of 2009, the region that supplied the largest amount of water was Gangwon (14.8 billion tons, 21%), followed by Gyeongbuk (0.5 billion tons, 15%) and Jeonnam (9.3 billion tons, 13%) and the regions that supplied water in relatively smaller volumes were Seoul (300 million tons), Sejong (300 million tons), and Daejeon (300 million tons). 3. Value estimation ? To estimate the value of the water supply volume of the ecosystems, it is necessary to take into account how the supplied water has been consumed at the final stage. ㅇ Part of water supplied by the ecosystems is used for living, farming or industrial productions, and the residual water is stored for future use or remains within the ecosystems to sustain the ecological functions. ㅇ Multiplying the price of residential or industrial water by the total water supply volume could either over- or underestimate the value of water supply service of the ecosystems. ? This study classifies the types of water consumption into residential, industrial, and agricultural water in the estimation of water supply service value of the ecosystems, and the residual water not used for the above purposes is assumed to be fully consumed for maintaining the ecosystems. ㅇ This study estimates the water consumption volume for each purpose by applying the past water use ratio in the Water Resources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WAMIS), assuming that the ratio of water consumption to the total supply is approximately 50% (0.4895, to be exact). ㅇ This study uses the water rate per unit of the residential and industrial water in the annual “statistics of waterworks”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s unit values for the residential and industrial water. ㅇSince agricultural water does not charge a water rate, this study applies the “residual value approach” to derive unit values through added value as an input for agricultural production, the purpose of the water supply. ㅇAs for the residual water in the ecosystems used to maintain the ecosystem, this study reflects its value partially by estimating people's willingness to pay (WTP) and applying it as unit values. 4. Analysis results and implications ? The integrated analysis toolkit for water supply is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c tool for the decision-making of water management policy since it can provide relevant data for each ecosystem, basin, and administrative district. ㅇ The toolkit aims to complement the input coefficient and data in 2020 to assess and verify the water supply function of the ecosystem measured in 2019 and support the policy decision-making for sustainable water management by applying the economic evaluation system. Ⅲ. Case Study with Integrated Analysis Toolkit for Health Impacts of Air Pollution 1. Background and scope of analysis ? The Integrated Analysis Toolkit for Health Impacts of Air Pollution supports the evaluation of the impact of PM2.5 generated by key air pollutants (NOx, SO2, PM2.5, NH3, and VOC) on premature death and the cost of damage. ㅇ The toolkit not only assesses the damage per each air pollutant that causes PM2.5, but also evaluates the cost of damage for each source of pollution (point source, line source, and surface source). 2. Impact analysis ? To estimate the damage costs resulting from health impacts, quantitative analysis of physical environmental impact or health impact is required so as to identify ① the emissions of each source of pollution per pollutant, ② how how the diffusion of air pollutants in the atmosphere finally changes the level of air pollution, and ③ how much health damage is inflicted on the people exposed to air pollutant concentrations. ㅇTo convert the air pollutant emissions into concentration changes, this study uses the PM2.5 conversion rate for each air pollutant and source of pollution. ㅇThis study uses the concentration-response coefficients from previous studies to estimate the impact of air pollutant concentrations on people. 3. Value estimation ? The Integrated Analysis Toolkit in this study sets “the premature death caused by long-term exposure to PM2.5” as the primary evaluation target among numerous health impacts of air pollution. ㅇTo convert the impact analysis result indicated by the number of premature deaths into the economic cost of damage, the Value of Statistical Life (VSL) was applied. -The VSL data from Ahn et al. (2018) and OECD (2012) was used as final data. 4. Analysis results and implications ? Using the integrated analysis toolkit for health impacts of air pollution, the cost of damage of premature death caused by long-term exposure to PM2.5 can be determined for each air pollutant and source of pollution. ? The reliability improvement of the analysis results is required through continuous updates of data and methodologies. ㅇ For more specific policy evaluation targeting a certain municipality or project, more detailed data is required. ㅇ Along with the effort to enhance the quality of data, the scope of research needs to be expanded further to include other health impacts such as hospitalization and outpatients due to particulate matter and even the social cost associated with discomfort (the quality of life). Ⅳ. Case Study with Integrated Analysis Toolkit for Health Impacts of Chemical Substances 1. Background and scope of analysis ? Background of Integrated Analysis Toolkit for Health Impacts of Chemical Substances ㅇ As part of the environmental valuation study for integrated environmental- economic analysis, the health impact analysis and value estimation of chemical substances were pursued and conducted from 2016 to 2020. - 2016-2018: A methodology for health impact analysis of chemicals was established and applied to mercury or lead as a trial run. - 2019-2020: Case studies were conducted to expand the target chemicals for health impact analysis. ㅇ In this year’s research, the Integrated Analysis Toolkit for Health Impacts of Chemical Substances is developed based on the comprehensive review of the previous studies on the health impact analysis methodologies of chemical substances. - Each chemical substance has its end-point and its value is estimated through the monetization of end-points. - Mercury has been selected as a target chemical in the trial run and the analysis model has been designed to expand the target chemicals in the future. 2. Impact analysis ? Chemical substances and end-points setting ㅇ Chemical Substances: Mercury that was used in the trial run for the development of health impact analysis methodologies of chemical substances was selected. ㅇ End-points: The decline in IQ, Mild Mental Retardation (MMR), and premature death due to cardiovascular diseases were determined as the end-points of mercury. ? Health impacts of chemical substances ㅇ Mercury-decline in IQ - Based on the data available in Korea, “mercury concentrations of hair” has been selected as the analysis subject and the dose-response (DR) function of the corresponding concentration and changes in IQ has been applied. ㅇ Mercury-MMR - DALYs values are estimated using the Mercury Sheet of WHO (2008) for the MMR due to mercury exposure of newborns. ㅇ Mercury-premature death due to cardiovascular diseases - DR function is selected by meta-analysis, and relative risk (RR) is applied to estimate the number of premature deaths caused by cardiovascular diseases due to mercury exposure. ㅇ The Integrated Analysis Toolkit offers options for users to change the input data based on the presented functions. 3. Value estimation ? Mercury-decline in IQ ㅇ Application of unit values of changes in IQ: the average cost of damage per IQ analyzed in the second year is applied. ㅇ Application of Mincer wage equation: income changes according to changes in education levels are calculated by adding annual income losses resulting from the decline in IQ. ? Mercury-MMR ㅇ The Value of Life Year (VOLY) based on VSL is applied to the unit value of DALYs. ㅇ VSL is determined through meta-analysis from Ahn et al. (2018). ? Mercury-premature death due to cardiovascular diseases ㅇ The VSL of 2015 presented in Ahn et al. (2018) by meta-analysis was converted to the 2016 value and applied. ? Integrated Analysis Toolkit ㅇ Integrated Analysis Toolkit offers default values as described above and provides options for users to change the input data. 4. Analysis results and implications ? Final product of the toolkit ㅇ Damage costs of decline in IQ caused by mercury exposure ㅇ Damage costs of MMR in newborns caused by mercury exposure ㅇ Damage costs of premature deaths due to cardiovascular diseases due caused by mercury exposure ? Implications ㅇ This toolkit is distinguished from other integrated analysis toolkits in that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is toolkit as health impacts of chemical substances have different pathways and multiple end-points can exist for a single chemical substance. ㅇ In this study, the toolkit was applied to mercury as a trial, butit(the toolkit) will be applicable to more chemicals in the future. ㅇ A more detailed review of chemicals for toolkit application will be possible since the subject chemical substances for the Korean National Environmental Health Survey will be expanded from 2021. ㅇ The future studies from 2022 to 2023 will seek ways to advance the integrated analysis system for chemical substances and support the impact analysis of chemical regulations in an effort to promote its utilization in policy-making. -
dc.description.abstract Ⅰ. 탄소흡수·저장 통합분석 사례연구 1. 개요 및 분석범위 설정 ? 2050년 탄소중립 사회로의 성공적 전환을 위한 선제 작업으로, 생태계의 탄소흡수·저장량과 가치에 대한 과학적·객관적 평가가 가능한 탄소흡수·저장 통합분석 툴킷을 구축하였음 ㅇ 2016년 연구에서는 환경영향 정량화와 단위가치 연계를 위한 툴킷 기반을 구축하였고, 2021년 연구에서는 개선·안정화시켜 툴킷 구축을 완료하였음 - 올해 연구에서는 2016년 연구에서 설정한 생태계 유형, 생태계 탄소흡수·저장계수 등을 적용하여 2019년 당시의 생태계 탄소흡수·저장 기능을 평가·갱신하고 그 경제적 가치를 추정하여 탄소중립을 위한 정책 의사결정을 지원하고자 하였음 2. 영향평가 ? 2019년 기준, 생태계의 탄소저장량은 9억 5,000만 톤, 흡수량은 1,500만 톤/연으로, 2007년 대비 탄소저장량은 1% 감소, 흡수량은 1% 증가하였음 ㅇ 2019년 기준, 주요 탄소흡수·저장원인 산림의 탄소저장량은 7억 9,000만 톤, 흡수량은 1,500만 톤/연임. 2007년 대비 산림이 3% 감소하였으나, 탄소흡수·저장계수가 높은 활엽수림이 76% 증가하면서 산림의 탄소저장량은 2%, 흡수량은 1% 증가하였음 ㅇ 2019년 기준, 탄소저장 상위 지역은 경북(2억만 톤), 강원(1억 9,200만 톤), 전남(1억 600만 톤), 흡수 상위 지역은 강원(300만 톤/연), 경북(300만 톤/연), 경남(200만 톤/연)임. 2007년 대비 서울, 경북, 강원, 울산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탄소저장량이 1~14% 감소하였으며, 세종, 충남, 충북, 전북, 부산은 흡수량도 1~9% 감소하였음 3. 가치추정 ? 생태계 탄소흡수·저장 통합분석 툴킷은 2021년에 가치추정 단계의 단위가치 입력 프로세스를 개편함 ㅇ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EU-ETS)의 탄소배출권 가격을 단위가치 자료로 제공하며, 원하는 시점의 가격 자료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함 ㅇ 시점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물가조정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시점별 물가를 조정하는 서비스를 제공 중임 4. 분석결과 및 시사점 ? 탄소흡수·저장 통합분석 툴킷은 생태계·행정구역별로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탄소중립 정책 의사결정을 위한 기초 도구로 활용할 수 있으리라 기대됨 ㅇ 탄소흡수·저장원을 식별하고, 공신력 있는 모델·자료에 기반하여 탄소흡수·저장 서비스에 대한 정량·공간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이의 경제적 가치를 산정하여 툴킷을 통해 관련 정보를 제공하였음 ㅇ 그러나 생태계 탄소흡수·저장량은 입력단위·자료에 크게 의존하므로, 툴킷의 실질적 활용을 위해 향후 탄소흡수·저장계수 설정방안, 표준·객관화된 입력자료 연계방안 등 탄소흡수·저장 평가·검증 고도화 연구가 필요함 Ⅱ. 물(담수) 공급 통합분석 사례연구 1. 개요 및 분석범위 설정 ? 건전한 물순환 달성을 위한 선제 작업으로, 생태계의 물 공급량과 가치에 대한 과학적·객관적 평가가 가능한 물 공급 통합분석 툴킷을 구축하였음 ㅇ 2017년 연구에서는 환경영향 정량화와 단위가치 연계를 위한 툴킷 기반을 구축하였고, 2021~2022년 연구에서는 툴킷을 개선·안정화시켜 구축 완료하는 것을 목표로 함 - 2021~2022년 연구에서는 2017년 연구에서 설정한 생태계 유형과 생태계서비스 평가 모델을 적용하되 입력자료·계수를 보완하여(2022년) 2019년 당시의 생태계 물 공급 기능을 평가·검증하고(2022년), 경제적 가치산정 체계를 개편·적용하여(2021~2022년) 지속가능한 물관리를 위한 정책 의사결정을 지원하고자 하였음 2. 영향평가 ? 2009년 기준, 불투수지역인 도시지역을 제외한 생태계의 물 공급량은 727억 톤임 ㅇ 물 공급을 담당하는 주요 생태계는 산림과 경작지로, 2009년 기준 산림은 472억 톤(65%), 경작지는 209억 톤(29%)의 물을 공급하였음 ㅇ 2009년 기준, 물 공급 상위 유역은 한강 유역으로, 총 262억 톤(36%)의 물을 공급하였음. 낙동강, 영산ㆍ섬진강, 금강 유역은 195억 톤(27%), 145억 톤(20%), 117억 톤(16%)의 물을 공급하였음 ㅇ 2009년 기준, 물 공급 상위 지역은 강원(148억 톤, 21%), 경북(105억 톤, 15%), 전남(93억 톤, 13%), 하위 지역은 서울(3억 톤), 세종(3억 톤), 대전(3억 톤)임 3. 가치추정 ? 생태계가 공급하는 물 공급량의 가치를 추정하기 위해서는 최종적으로 공급된 물이 어떻게 사용되었는지를 고려하여야 함 ㅇ 생태계에서 공급된 물의 일부는 인간이 생활하거나 농사를 짓거나 산업부문 생산에 활용되는 등 수자원으로 이용되고, 사용되지 않은 나머지 물은 추후의 사용을 위해 저장되거나 생태계에 잔존하며 생태기능을 유지하는 용도로 활용됨 ㅇ 생활용수나 공업용수에 사용되는 가격을 공급된 물 공급 총량에 곱하는 것은 생태계가 공급한 물 공급서비스에 대한 가치를 과대 혹은 과소 추정할 수 있음 ? 본 연구에서는 생태계 물 공급서비스 가치평가에 있어 물의 활용을 크게 생활용수, 공업용수, 농업용수로 구분하고, 공급량 중 용수로 이용되지 않은 나머지 수량(residual)은 저장되지 않고 생태계 유지를 위해 모두 사용된 것으로 가정하고자 함 ㅇ 총 공급 대비 용수로 이용된 이용비율은 약 50%(정확히는 0.4895를 적용)로 가정하고, 국가수자원관리종합정보시스템(이하 WAMIS)에서의 실제 과거의 용수별 사용비율을 적용하여 사용처별 추정량 도출 ㅇ 생활용수와 공업용수는 환경부 연도별 ‘상수도통계’ 중 생활용수와 공업용수의 단위당 수도요금을 단위가치로 사용 ㅇ 농업용수는 수도요금을 받지 않고 있어 사용목적인 농산물 생산 투입재로서의 부가가치를 통해 단위가치를 도출하는 ‘잔존가치접근법’ 활용 ㅇ 생태계 유지를 위해 활용되는 생태계 잔존량의 경우 사람들의 지불의사(WTP)를 추정하고, 이를 단위가치로 적용함으로써 해당 가치를 일부 반영 4. 분석결과 및 시사점 ? 물 공급 통합분석 툴킷은 생태계·유역·행정구역별로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물관리 정책 의사결정을 위한 기초 도구로 활용할 수 있으리라 기대됨 ㅇ 2022년에는 입력계수·자료를 보완하여 2019년 생태계 물 공급 기능을 평가·검증하고, 경제적 가치산정 체계를 적용하여, 지속가능한 물관리를 위한 정책 의사결정을 지원하고자 함 Ⅲ. 대기오염 건강영향 통합분석 사례연구 1. 개요 및 분석범위 설정 ? 대기오염 건강영향 통합분석 툴킷은 주요 대기오염물질(NOx, SO2, PM2.5, NH3, VOC) 배출로 인한 초미세먼지(PM2.5) 발생이 조기사망에 미치는 영향과 그 피해비용 평가를 지원함 ㅇ PM2.5을 유발하는 다양한 대기오염물질별 피해를 구분하여 평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염원 유형별(점오염원, 선오염원, 면오염원) 피해비용을 구분하여 평가할 수 있음 2. 영향평가 ? 건강영향 피해비용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① 오염물질별, 오염원별 배출량이 어떻게 되는지, ② 배출된 오염물질이 대기 중에 확산되어 대기오염 농도가 최종적으로 어떻게 변하는지, ③ 대기오염 농도에 노출된 인간이 얼마만큼의 건강피해를 입는지에 대한 물리적 환경영향 혹은 건강영향 정량화가 필요함 ㅇ 오염물질 배출량을 농도 변화로 전환하기 위해서 대기오염물질별, 오염원별 PM2.5 전환율값 활용 ㅇ 대기오염 농도가 인간에 미치는 영향은 선행연구의 농도-반응계수 활용 3. 가치추정 ? 여러 가지 대기오염 건강영향 중 본 연구의 통합분석 툴킷은 ‘초미세먼지(PM2.5) 장기노출로 인한 조기사망 피해’를 일차적 평가대상으로 함 ㅇ 조기사망자 수로 나타난 영향평가 결과를 경제적 피해비용으로 환산하기 위해 사망위험감소가치(VSL: Value of Statistical Life) 적용 - 안소은 외(2019, p.8)에서 제시한 선행연구 사망위험감소가치(VSL) 자료 중 일부 선행연구의 사망위험감소가치 자료를 선택하여 사용 4. 분석결과 및 시사점 ? 대기오염 건강영향 통합분석 툴킷을 통해 PM2.5 장기노출로 인한 조기사망의 오염물질별, 오염원별 단위 피해비용 결과를 확인할 수 있음 ? 향후 자료 및 방법론의 지속적인 업데이트를 통해 평가결과의 신뢰도 제고가 필요함 ㅇ 특정 지자체 혹은 특정 사업을 대상으로 한 세부적인 정책평가를 위해서는 더 세밀한 단위에서의 자료 적용이 요구됨 ㅇ 자료 개선의 노력과 동시에 미세먼지로 인한 피해범위를 입원, 외래와 같은 여타 건강영향으로 확대하고, 나아가 불편함(삶의 질)에 미치는 사회적 비용으로까지 확대하는 등 연구의 범위를 더욱 확장할 필요가 있음 Ⅳ. 화학물질 건강영향 통합분석 사례연구 1. 개요 및 분석범위 설정 ? 화학물질 건강영향 통합분석 툴킷의 개요 ㅇ 화학물질의 건강영향 평가 및 가치추정 연구는 환경경제 통합분석을 위한 환경가치 종합연구의 일환으로 추진되었으며, 2016~2020년에 걸쳐 수행되었음 - 2016~2018년: 화학물질 건강영향 평가를 위한 평가방법론 마련 및 수은 또는 납에 대해 방법론 시범 적용 - 2019~2020년: 화학물질 건강영향 대상 화학물질 확대를 위한 사례연구 수행 ㅇ 올해 연구에서는 화학물질 건강영향 평가방법론에 대한 기존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화학물질 건강영향 통합분석 툴킷을 마련함 - 화학물질은 물질별로 각각의 종결점이 있으며, 이 물질들이 가진 종결점을 화폐화하는 과정을 통해 가치추정 수행 - 대상 화학물질로 수은을 시범 선정하였으며, 향후 대상 화학물질을 확대할 수 있도록 모델 설계 2. 영향평가 ? 화학물질 및 종결점 설정 ㅇ 화학물질: 화학물질 건강평가방법론 구축을 위해 시범 적용된 ‘수은’으로 결정 ㅇ 종결점: 수은의 종결점은 IQ 저하, 경미한 지적 장애(MMR) 및 심혈관계 조기사망으로 결정 ? 화학물질 건강영향 ㅇ 수은-IQ 저하 - 국내 자료 가용 현황을 고려하여 ‘모발 중 수은 농도’를 선택하고 해당 농도와 IQ 변화 용량반응(DR)함수 적용 ㅇ 수은-MMR - 신생아의 수은 노출로 인한 경미한 지적 장애(MMR)는 WHO의 수은 피해비용 산정 시트를 활용하여 DALYs값 도출 ㅇ 수은-심혈관계 조기사망 - 메타분석을 통해 용량반응(DR)함수를 선정하고, 상대위험도(RR)를 적용하여 수은 노출로 인한 심혈관계 사망자 추정 ㅇ 통합분석 툴킷에서는 사용자가 제시된 함수식을 바탕으로 입력값을 변경할 수 있도록 옵션 제공 3. 가치추정 ? 수은-IQ 저하 ㅇ IQ 변화 단위가치 적용: 2차 연도에 수행된 IQ당 평균 피해비용 적용 ㅇ Mincer의 임금방정식 적용: 교육 수준 변화에 따른 소득 변화를 IQ 하락으로 인한 연간 소득 손실 총합으로 도출 ? 수은-MMR ㅇDALYs의 단위가치에 사망위험감소가치(VSL)에 근거한 연간사망위험감소가치(VOLY: Value of Life Year)값을 적용하여 도출 ㅇ 사망위험감소가치(VSL)는 안소은 외(2018a, pp.86-87)에서 메타분석을 통해 도출 ? 수은-심혈관계 조기사망 ㅇ 안소은 외(2018a, pp.86-87)에서 메타분석을 통해 도출된 2015년 기준 사망위험감소가치(VSL)를 2016년으로 환산하여 적용 ? 통합분석 툴킷 ㅇ 통합분석 툴킷에서는 기본값을 위와 같이 제시하며, 사용자가 입력값을 변경할 수 있도록 옵션 제공 4. 분석결과 및 시사점 ? 툴킷의 최종 결과물 ㅇ 수은으로 인한 IQ 저하 피해비용 ㅇ 수은으로 인한 태아의 경미한 지적 장애(MMR) 피해비용 ㅇ 수은으로 인한 심혈관계 조기사망 피해비용 ? 시사점 ㅇ 화학물질은 각각 인체에 영향을 주는 기전(Pathway)이 달라 다른 통합분석 툴킷들과 달리 일반화하기 어렵고, 하나의 화학물질에도 다수의 종결점이 존재할 수 있어 본 과제의 여타 툴킷들과는 차별적으로 구성됨 ㅇ 본 연구에서는 ‘수은’의 건강영향을 시범적으로 툴킷에 반영하였으며, 향후 대상 화학물질을 확대하고자 함 ㅇ 2021년부터 국민환경보건기초조사 대상 화학물질이 대폭 확대되어 툴킷 적용대상 화학물질을 보다 구체적으로 검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ㅇ 향후 2022~2023년 연구에서는 화학물질 통합분석 시스템을 고도화하고, 화학물질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요 약 <br><br>제1장 탄소흡수·저장 통합분석 사례연구 <br>1. 개요 및 분석범위 설정 <br>2. 영향평가 <br>3. 가치추정 <br>4. 분석결과 및 시사점 <br><br>제2장 물(담수) 공급 통합분석 사례연구 <br>1. 개요 및 분석범위 설정 <br>2. 영향평가 <br>3. 가치추정 <br>4. 분석결과 및 시사점 <br><br>제3장 대기오염 건강영향 통합분석 사례연구 <br>1. 개요 및 분석범위 설정 <br>2. 영향평가 <br>3. 가치추정 <br>4. 분석결과 및 시사점 <br><br>제4장 화학물질 건강영향 통합분석 사례연구 <br>1. 개요 및 분석범위 설정 <br>2. 영향평가 <br>3. 가치추정 <br>4. 분석결과 및 시사점<br><br>참고문헌 <br><br>부 록 <br>Ⅰ. 화학물질의 생태계 영향평가 연구 동향 검토 <br>Ⅱ. 건강영향 정량화 지표로의 QALYs 연구 동향 검토 <br>Ⅲ. 화학물질 건강영향 가치추정 관련 국제적 비교자료: OECD SWACHE 프로젝트 <br><br>Executive Summary -
dc.format.extent 69 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연구원 -
dc.subject 환경경제 통합분석 툴킷 -
dc.subject 생태계 탄소흡수·저장 -
dc.subject 생태계 물(담수) 공급 -
dc.subject 대기오염 건강영향 -
dc.subject 화학물질 건강영향 -
dc.subject Integrated Analysis Toolkits -
dc.subject Carbon Absorption and Storage of Ecosystem -
dc.subject Water (Freshwater) Supply of Ecosystem -
dc.subject Health Impact -
dc.title 환경ㆍ경제 통합분석을 위한 환경가치 종합연구 : 부문별 영향평가 및 가치추정 -
dc.type 사업보고서 -
dc.title.original Integrated Assessment to Environmental Valuation via Impact Pathway Analysis : Sectoral Assessment -
dc.title.partname 사업보고서 -
dc.title.partnumber 2021-05-02 -
dc.description.keyword 환경경제 -
dc.rights.openmeta Y -
dc.rights.openimage Y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Ahn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SoEun -
dc.contributor.otheralternativename Lee -
dc.contributor.otheralternativename Honglim; Park -
dc.contributor.otheralternativename Yunsun; Hong -
dc.contributor.otheralternativename Hyun Jung; Suh -
dc.contributor.otheralternativename Yang-won; Kim -
dc.contributor.otheralternativename Choong-Ki; Han -
dc.contributor.otheralternativename Sunyoung; Jung -
dc.contributor.otheralternativename Dawoon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Project Report(사업보고서)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