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녹색생활환경 구축연구(Ⅲ) : 위해저감을 위한 녹색소비 활성화 방안

Title
어린이 녹색생활환경 구축연구(Ⅲ) : 위해저감을 위한 녹색소비 활성화 방안
Authors
주문솔; 정다운
Co-Author
오규림; 이진혁; 박윤선; 안소은; 최효미; 박은정; 김혜진; 조영인
Issue Date
2021-12-31
Publisher
한국환경연구원
Series/Report No.
사업보고서 : 21-87-03
Page
258 p.
URI
https://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23497
Language
한국어
Keywords
어린이, 녹색생활환경, 녹색소비, 위해저감, Children, Green Living Environment, Green Consumption, Risk Management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연구의 필요성 ㅇ 어린이제품뿐 아니라 일반 소비자 제품에 대한 어린이 접촉 가능성을 염두에 둔 포괄적인 어린이 유해화학물질 안전관리 체계가 필요함 ㅇ 근본적으로 어린이가 접촉 가능한 제품에 대한 유해화학물질 기준이 강화되어야 하지만, 그 전에 소비자가 취할 수 있는 대안 마련이 필요함 ㅇ ??제4차 녹색제품 구매촉진 기본계획??에서는 어린이집을 시범대상으로 ‘녹색제품사용표시제’를 실시하여 민간영역에서의 녹색제품 구매를 촉진코자 함. 이에 실제 어린이집에서의 주요 구매 품목 및 수요를 발굴하여 활성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으며 그 과정에서 위해저감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필요함 ㅇ 생활환경에서의 노출 저감은 생산-소비-폐기 전 과정에서 환경유해인자 노출 저감이 고려되어야 한다는 패러다임으로 변화되고 있으므로 구매 및 사용뿐 아니라 사용 후 폐기 시의 영향도 고려되어야 함(그림 1 참조) ㅇ ‘구매-사용-폐기’ 전 과정에 걸친 검토를 통해 단기적인 인체 위해저감 뿐만 아니라 환경오염으로 인한 장기적인 위해저감을 포함하여 포괄적인 위해저감 대책 논의가 필요함 ? 연구의 목적 ㅇ 본 연구는 UN의 지속가능발전목표의 NEXUS 목표로 제시된 ‘인간 건강에 악영향을 최소화하는 화학물질과 폐기물 관리’를 바탕으로 기획되었으며, 어린이 생활환경의 위해요소를 파악하여 이를 관리함과 동시에 녹색소비를 유도하여 어린이 생활환경의 녹색화에 기여하고자 함 ㅇ 1차 및 2차 연도 연구를 통해 어린이 생활환경(어린이집)의 유해인자를 파악하여 우선순위 관리물질 및 관리대상 제품을 선정하였고, 어린이집에서의 녹색소비 이행 전략을 도출함 ㅇ 3개년 연구의 마지막 연차로 수행된 본 연구에서는 1, 2차 연도 연구 결과로 도출된 녹색소비전략을 바탕으로 어린이 주요 활동공간인 어린이집을 대상으로 제품의 구매와 사용 과정에서 야기되는 단기적인 위해를 저감하고 폐기 과정에서의 환경영향을 줄임으로써 장기적으로 위해를 저감할 수 있는 통합적인 녹색소비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고자 함 Ⅱ. 어린이 녹색소비 관련 정책 및 사례 분석 1. 국내 어린이용품 관련 법령 및 규정 ㅇ 국내 어린이용품 관련 규정은 과 같이 품목별로 환경부, 산업통상자원부, 식품의약품안전처 등 다양한 부처에서 관리되고 있음 2. 녹색제품 인증제도 및 활성화 사례 ? 녹색제품의 정의와 범위 ㅇ 녹색제품은 “에너지·자원의 투입과 온실가스 및 오염물질의 발생을 최소화하는 제품”으로 정의하며, 그 적용 범위는 환경표지제품, 저탄소제품, 우수재활용제품(GR)으로 법률상 규정되어 있음 ㅇ 대중들은 녹색제품을 건강영향을 최소화하는 제품으로 이해하고 있어 그 효과에 대한 검토와 홍보가 필요함 ? 국외 어린이 관련 녹색제품 활성화 사례 ㅇ Nordic Swan Ecolabel 인증을 받은 어린이 의류나 장난감 사례가 있으며, 어린이제품을 판매하는 북유럽의 민간 온라인 사이트에서는 자체 인증기준에 안전한 소재와 환경성 기준 이외에도 동물복지 등 윤리적 기준도 포함하고 있어 ‘녹색제품’이 ‘지속가능한 제품’으로 확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음 ㅇ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Green Toys(100% 재활용 소재 장난감), 벨기에의 ecoBirdy(장난감을 분쇄하여 어린이 가구 제작), 오스트리아의 친환경 학용품 구매 캠페인, 영국의 에코 문구 브랜드 Remarkable 등 문구류와 완구류에서 다양한 녹색제품 활성화 사례를 찾을 수 있음 ㅇ 국내의 환경표지제품의 경우 문구류와 완구류의 인증기준은 있으나 생산제품이 없는 상황에서 관련 분야의 지원을 통한 어린이제품의 녹색제품 확대가 필요함 3. 사용단계에서의 위해저감 지침 사례 ? 해외 사례 ㅇ 미국 Caring for Our Children, 미국 Eco-Healthy Child Care Checklist - 대기질, 가정 내 화학물질, 납, 수은, 라돈 등 환경유해인자와 가구, 카펫, 미술용품, 플라스틱 장난감 등 제품에 대한 위해저감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체크리스트 형태로도 제공 ㅇ 캐나다 Checklist for Creating Healthier, Greener Child Care Settings -어린이 건강 및 환경을 위한 캐나다 파트너십(CPCHE: Canadian Partnership for Children’s Health & Environment)에서 배포한 체크리스트로 보육시설의 공간이나 활동으로 구분하여 확인이 필요한 부분을 다양하게 제시 ? 국내 사례 ㅇ 어린이 환경보건 가이드(환경부와 국립환경과학원) - 환경 관련 질환에 대한 정보와 생활 속 실천 가능한 지침과 유해중금속, 내분비계 장애물질 및 공기 중 오염물질들의 건강영향과 노출을 피하기 위한 행동지침을 기술 ㅇ 산모와 영유아를 위한 환경보건 가이드(환경부) - 영유아를 키우는 엄마들과 예비 엄마들이 환경유해인자의 노출 피해 저감을 위해 알아야 할 정보 제공 ㅇ 착한 학용품 구매 가이드(환경부, 행정안전부,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 책가방, 노트, 지우개, 필통, 클립, 파일 등 총 주요 6종 학용품에 대한 주의사항 제시 4. 장난감 수리·재사용 사례 ? 국외 사례 ㅇ 영국의 A Toy’s Life and Beyond: 사회적기업으로 장난간 수리 카페를 통한 수리 및 교환 이벤트를 전개하였으며, 장난감의 환경적 영향에 대한 인식을 확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ㅇ 영국의 That Toy Thing: 이미 사용한 장난감을 기부받아 대여사업을 전개하고 있으며, 그레이터맨체스터주 내의 가족들이 새로운 장난감을 구매하기보다 대여해서 사용하도록 유도 ㅇ 미국의 Second Chance Toys: 비영리기업으로 사용한 장난감을 기부받아 지역사회 내에서 다시 나눠 쓰는 활동을 전개 - 대부분의 물자, 인력 및 재원 조달이 자원봉사로 이루어지고 있어 지역사회 및 기업과의 연계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음(ESG 활동과 연계하여 금전적 후원 이외에 차량이나 인력 등 지원) - 통상적인 기부는 재활용센터의 공간을 활용하여 정기적인 기부를 통해 이루어지며, 비정기적인 수집 이벤트의 경우 장소, 배송까지 모두 봉사하는 주최 측에서 추진 ㅇ 미국의 메릴랜드주 개릿 카운티 정부의 Mattel PlayBack: 마텔(Mattel) 장난감 회사와 협업을 통해 장난감 회수 및 재활용 체계 구축(지자체와 장난감 제조업체가 연계하여 별도의 장난감 회수 및 재활용 체계를 구축) ㅇ 미국 레고의 재생 계획(LEGO® Replay initiative): 장난감 회사의 자체적인 회수 체계 구축 ? 국내 사례 ㅇ 코끼리공장의 어린이집 장난감 수리 지원: 코끼리공장은 울산 울주군 육아종합지원센터와 연계하여 어린이집을 대상으로 고장 난 장난감을 수리하는 서비스를 지원 ㅇ 그린무브공작소: 현대차그룹이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코끼리공장과 함께 설립한 사회적 협동조합으로 장난감을 가정, 어린이집, 장난감도서관에서 기부 받아 취약계층에게 나누어주는 활동을 전개 - 수리해서 재사용할 수 없는 장난감은 색깔별로 분류하여 교육재료로 새활용하기도 하며 재활용을 위해 제품을 개발 중임 ㅇ NGO 사단법인 트루(Toy Recycle Union): 플라스틱 장난감으로 인한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립된 비영리단체로 중고장난감 판매, 환경교육, 장난감 기부 프로젝트, 장난감 놀이 연구 등을 진행 ? 수리권 요구 확대 ㅇ 수리권이란 제품 고장 시 소비자 스스로 수리할 수 있게 하는 권리를 칭함 ㅇ 미국에서 법제화가 진행 중이며, 최근 국내에서도 관련 법안이 발의됨 - 미국에서는 ‘수리에 대한 권리 법안(The right to repair act)’, 다른 표현으로는 ‘공정수리법(Fair Repair Act)’이라고도 함 - 제조업체가 사용자에게 스스로 장치를 수리할 수 있도록 부품과 관련 지침을 제공하도록 요구하는 법안으로 소비자가 제품을 쉽게 수리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 - 미국의 대표적인 수리 정보 공개 플랫폼 ‘IFIXIT’ 등도 활발히 운영되고 있음(장난감 포함) Ⅲ. 어린이집 녹색소비 수요 분석 1. 어린이집 심층면담 ? 어린이집 심층면담 개요 ㅇ 어린이집 심층면담을 총 18개 기관에 대해 총 5회에 걸쳐 실시함 - 어린이집 설립 유형 및 규모를 고려하여 대상자를 모집하였으며, 면담 주요 내용은 인증마크, 녹색구매 우선순위 및 필요성 등 구매 경험, 녹색소비를 위한 구매 자제, 어린이 행동 특성을 감안한 녹색소비, 물품 폐기 과정, 녹색소비 활성화 방안 등 ? 어린이집 심층면담 분석 결과 ㅇ 녹색구매 관련 인증마크에 대한 인식: KC 인증마크 및 친환경 인증마크에 대해 대부분 인지함, 우수재활용제품 인증마크에 대한 낮은 인지도를 보이며, 어린이에게 무해한 친환경제품에 대한 기준이 엄격히 적용된 친환경 인증마크의 필요에 대해 대부분 동의함 ㅇ 녹색구매 물품에 대한 인식: 녹색구매 우선순위 물품은 화장지, 물티슈 등 위생용품, 세제류, 식기 및 주방용품, 완구 및 교재교구, 침구류, 깔개, 안전매트 등이 상위 순위를 차지함 - 녹색구매 우선순위 선정 시 주된 고려사항으로 직접적인 신체 접촉 또는 구강에 넣을 확률이 높은 경우와 어린이들에게 노출되는 빈도 및 시간이 높은 경우, 일상의 환경 속에서 지속적으로 노출되는 경우를 기준으로 하고 있었음 ㅇ 어린이집 물품 녹색구매 경험 - 최근 녹색구매 품목으로는 위생용품, 소모품 등이 주를 이루며, 주요 녹색구매 경로는 녹색제품정보시스템이나 녹색매장 검색을 통한 것이었음. 녹색구매지원센터의 인지도는 낮은 편임 - 녹색구매 시 실질적 어려움 및 저해 요인으로는 한정된 예산과 녹색제품의 비싼 가격, 녹색제품에 대한 낮은 접근성, 인터넷 구매 시 제공되는 제품에 대한 정보 부족, 친환경제품 자체에 대한 낮은 이해도, 녹색제품 공급 자체 부족, 녹색제품의 저품질로 재구매 욕구 저하 등이 언급됨 ㅇ 어린이집 교재교구를 폐기할 때는 주로 종량제봉투를 사용하여 일반쓰레기로 배출하고 있으며, 물품 재사용 경험은 주로 활동재료로 재사용하는 경우가 있고, 경우에 따라 외부 기증·기부, 벼룩시장 등을 통한 물물교환을 이용하는 경우가 있음 ㅇ 어린이집 녹색소비 활성화를 위한 지원 요구로는 접근성 개선, 녹색교육, 폐기 관련 정보 제공 및 수리사업 제공, 재정지원 확대 등이 있음 2. 어린이집 녹색구매·폐기 사례조사 ? 어린이집 녹색구매·폐기 사례조사 개요 ㅇ 심층면담에 참여한 어린이집 중 사례조사 참여 의사를 밝힌 총 12개 어린이집에 대해서 실시하였으며, 총 2차에 걸쳐 가계부 기장 방식으로 녹색구매 및 폐기 관련 물품을 작성하는 형태로 진행 ? 어린이집 녹색구매·폐기 사례조사 결과 ㅇ 구매 현황을 살펴보면 문구류가 가장 많고, 다음으로 기타 비품, 교구·완구류 순으로 구매하는 것으로 조사됨 - 기타 비품은 일회용 비닐장갑, 종이컵, 화장지, 물티슈 등 일상적 소모품임 - 구입 경로는 주로 온라인 구매가 60.7%로 다수이며, 섬유침구류와 교구·완구의 경우에는 오프라인 구매 비율이 높음 - 온라인 구매 시 실제로 KC 인증 등을 확인하고 구매하는 데 어려움을 느낌 ㅇ 비구매 물품 현황 - 녹색소비를 위해 구매를 자제한 물품으로는 일회용품(종이컵, 접시 등)이 가장 많고 일회용품(비닐류), 화장지, 코팅지순으로, 주로 소모품 중심으로 비구매함으로써 녹색소비를 실천 ㅇ 폐기 현황 - 물품 폐기 건수는 총 67건으로 조사되었으며, 대부분 교구·완구류를 폐기한 경우임 - 품목별 물품 폐기 빈도는 플라스틱 완구가 가장 높고, 다음으로 자동차, 물품 보관용 바구니 순이며, 물품 폐기 사유로는 물리적 파손이 가장 많음 - 사례조사의 조사 대상 기간이 1월 1일부터 7월 15일까지로, 연말 물품정리가 빠져 있을 가능성이 크며, 조사 기간에 연말이 포함되면 교재교구 등의 교체가 포함될 가능성이 높음 ㅇ 재사용·새활용 현황 - 재사용·새활용 물품은 23건에 불과, 주로 교구·완구류에서 재사용·새활용이 발생 - 중고물품 구매는 어린이집 회계처리 등의 어려움으로 활성화되지 못한 측면이 있으며, 재사용·새활용 방법은 주로 교육재료로 새활용하고 있음 Ⅳ. 어린이집 녹색소비 이행 전략 1. 녹색제품의 인체 위해저감 가능성 검토 ? 분석대상 제품 및 대상물질 ㅇ 환경표지인증 기준이 있는 품목 중 어린이집 심층면담 및 사례조사 결과, 주요 구매 품목이거나 유해성 검토가 필요한 항목으로 선정 - 인쇄용지, 토너 카트리지, 문구, 주방용 세제, 화장비누, 화장지, 방향제, 발포 합성수지제 매트 ㅇ 비교대상 물질은 1차 연도 우선순위 물질로 선정된 프탈레이트와 난연제를 중심으로 하였고, 중금속도 비교대상 물질에 포함 ? 분석 결과 ㅇ 환경표지제도의 유해물질 관리기준이 전반적으로 높은 것으로 평가됨 - ?어린이제품법?에 준하거나 그 이상이며, 난연제의 경우 환경표지제도에만 기준 존재 - 우수재활용제품의 경우 어린이에게 안전한 기준 마련이 필요 ㅇ 어린이 접촉 가능 제품에 대해 환경표지제품 구매를 적극 권장할 필요가 있음 - 어린이 소비 품목의 환경표지제품 확대는 일반 소비자 제품의 환경표지제품 확대보다 ‘건강증진’ 효과가 더 클 수 있음 - 위해저감을 위해 환경표지제품을 선택한 소비자들이 품질에 대한 신뢰와 미래세대의 위해저감을 위해 환경성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공감대를 형성함으로써 현재의 안전뿐 아니라 환경성도 함께 추구하는 형태로 발전할 수 있음 2. 사용단계에서의 위해저감 가이드라인 개발 ? 위해저감 사용을 위한 체크리스트 개발 ㅇ 국내외 문헌 검토 및 환경보건 관련 전문가 5인, 12개 기관 어린이집 실무자 등의 검토를 거쳐 개발하였으며 능동적으로 실천하고 확인할 수 있는 자가점검 도구(체크리스트) 형태로 개발(표 2 참조) - 어린이집의 환경유해인자 노출 저감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나 실생활에서 놓치기 쉬운 항목 위주로 구성. 총 14개 문항이며 문항별 설명자료 추가 ? 체크리스트 활용 방안 ㅇ 추후 환경부 인증 ‘녹색어린이집’ 마크를 개발하여 체크리스트를 우수하게 활용하는 어린이집은 해당 마크를 부여하는 방안 고려 ㅇ 체크리스트의 설명자료를 가이드북 형태로 제작하여 ‘어린이집 위해저감 가이드북’ 발간 3. 교재교구 수리·재사용의 사회적 가치평가 ? 검토 배경 ㅇ 장난감은 대부분 복합재질로 되어 있어 재활용률이 일반 플라스틱에 비해 낮음 - 일반가정에서는 영유아기의 기간 동안 다량의 장난감을 구매하여 단기간 사용 후 폐기하고, 장난감·교구를 다량으로 활용하는 어린이집도 교재교구 수리나 재사용 서비스 연계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여 폐기하는 경우가 많음 ㅇ 본 연구에서는 장난감 재활용을 주로 다루는 사회적기업 중 하나인 A사의 경제성 분석을 통해 장난감 수리·재사용사업 지원의 타당성을 검토해 보고자 함 ? 경제성 분석 결과 ㅇ 사회적 가치 측정: 사회투자수익률(SROI: Social Return on Investment) 활용 ※ 사회투자수익률(SROI)은 경제적으로 산출하기 어려운 사회적 가치에 대해 가치를 산정하고, 투자 대비 회수율을 측정하는 지표임 - 장난감 재활용·재사용 사회적기업인 A사는 연간 약 200톤의 장난감을 수거, 이 중 재사용 장난감이 절반가량인 100톤(50%), 소재로 재활용되는 장난감이 60톤(30%), 폐기처리되는 장난감이 약 40톤(20%)임 - A사가 창출하는 사회적 가치는 일반·취약계층을 고용하는 데서 오는 고용창출 효과, 신규 장난감 생산 감소로 발생하는 환경오염 저감 효과, 장난감 기부 및 서비스 제공으로 인한 효과 등 세 가지로 구분됨 - 고용창출 효과로는 사회적기업 A사가 일반근로자와 취약계층을 고용함으로써 발생하는 근로자의 소득 증가, 정부의 세수 증가, 취약계층 고용으로 인한 정부의 보조금 절감 효과를 고려할 수 있음 - 환경적 측면에서는 신규 장난감 생산이 감소함에 따라 폐기물 처리비용과 폐기량이 감소하여 온실가스가 저감되는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 - 제품 및 서비스 측면에서는 지역사회에 대한 장난감 기부, 소독 서비스, 장난감 무료 수거 서비스 등의 지역사회 공헌 효과를 화폐화할 수 있음 - 구체적인 수치를 통해 도출한 A사의 사회적 가치는 환경, 고용, 제품 및 서비스 부문에서 각각 3,691만 원, 6,777만 원, 6억 5,274만 원으로 추정되며, 이를 바탕으로 도출한 2019년 기준 A사의 사회투자수익률은 203.8%로 나타남 ? 시사점 ㅇ 장난감 재활용 사회적기업인 A사는 환경, 고용, 제품 및 서비스 측면에서 다양한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음 ㅇ 사회적 가치 측정 반영 및 지원 방안 - 사회적 가치는 측정 방식이나 파라미터 등에 따라 그 값이 크게 달라질 수 있다는 한계가 있음 - 기업 공시에서 재무제표 하위 항목으로 사회적 성과를 보고하는 방안과 같이 사회적 가치의 화폐화와 의사결정에 이를 반영하는 방안 등 향후 사회적 성과 보고 체계를 위한 다양한 논의가 필요함 - 최근 ESG 경영 등 기업의 사회적인 책임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회적기업에 대한 투자로 연결되지는 않음 - 따라서 사회적 가치에 대한 표준화된 추정과 이를 기업 공시에 보고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 최종적으로는 ESG 경영과 연계하여 지속 가능한 형태의 운영이 될 수 있도록 정책적 뒷받침이 필요함 Ⅴ. 어린이집 녹색소비 활성화 방안 1. 녹색제품 구매 활성화 방안 ? 환경표지제품의 통합누적위해저감효과(환경개선으로 인한 위해저감 효과) 분석 ㅇ 환경표지제품을 구매함으로써 어린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다면적·가시적으로 보여줌으로써 소비자로 하여금 구매 시의 효능감을 높이도록 할 필요가 있음 ? 녹색제품사용표시제와 연계한 환경표지제품 사용 인센티브 ㅇ 어린이제품에 대해서는 어린이 안전 전용 KC 인증마크를 개발하여 분별력 강화 ㅇ 일반 소비자 제품에 대해서는 환경표지제품 구매 확대를 통해 유해물질 노출 저감이 가능하며, 환경부에서 어린이집을 대상으로 시범운영 중인 녹색제품 사용표시제와 연계 - 녹색어린이집 인증을 통해 어린이집에서의 녹색제품 사용 노력을 소비자가 알 수 있도록 하여 차별화 전략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 ㅇ 어린이가 접촉할 수 있는 제품군을 대상으로 환경표지제품의 구매 확대 필요 ? 녹색제품의 정보 접근 편의성 및 신뢰성 확보 ㅇ 현재 녹색제품정보시스템 홈페이지 내 정보를 어린이집에서 활용하기 쉽게 개선할 필요가 있음 ㅇ 환경표지제품 이외에 친환경제품으로 홍보하는 제품에 대한 환경성 기준을 명확히 검토하여 ‘친환경’에 대한 불신이 생기지 않도록 하면서 환경표지제품에 대한 차별성 및 신뢰성 확보 필요 ? 인증제품이 없는 품목에 대한 생산 지원 확대 ? 문구류, 완구류 ㅇ 제품 생산 확대 후 공공조달 품목별 할당률을 조정하여 시장을 확보(문구류) ㅇ 완구류의 경우 다양한 방식의 환경표지제품 확대가 필요 - 재생플라스틱(식품용기나 장난감 등 안전한 소재 활용)이나 바이오소재(Biobased) 완구 생산 ? 어린이 눈높이에 맞는 친환경 교재교구 및 교육 콘텐츠 개발 ㅇ 교재교구 유통업체, 제작업체, 친환경 소재 생산업체(종이, 목재, 섬유, 재생플라스틱 등), 유아교육 전문가(육아종합지원센터), 환경부(한국환경산업기술원), 교육부, 보건복지부 등과 함께 공동으로 창의적인 친환경 교재교구 개발 필요(안전+환경+재미) ? 녹색구매지원센터의 역할 확대: 교육과 실천 연계 ㅇ 녹색구매지원센터가 녹색어린이집 활동과 연계하여 녹색소비교육 뿐 아니라 어린이집에 필요한 녹색제품 품목을 발굴하고, 지역 내 생산기업을 연계하여 네트워크를 구축 ㅇ 환경표지제품뿐 아니라 생협 또는 지역 상품, 리필상품, 중고제품 등 다양한 친환경 소비제품을 발굴, 지속가능한 소비생활 지원 ㅇ 저탄소제품이나 우수재활용제품 등의 녹색제품은 일반제품에 비해 화학물질에 대한 기준이 더 강화된 것은 아니므로 어린이에게 안전한 기준으로 보기엔 어려움, 따라서 녹색구매지원센터에서 안전한 원료의 사용이나 공정상 유해물질 사용 여부를 사전에 검토하여 어린이집이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을 선별하는 것이 필요 2. 사용단계에서의 위해저감 방안 ? 위해저감 체크리스트 및 가이드북 활용 ㅇ 어린이집 교사와 학부모 그리고 교사의 교육 자료로 활용 ㅇ ‘어린이 녹색생활 누리집’ 형태로 확대 운영 ? 사용단계에서의 위해저감을 위한 점검·평가제도 연계 ㅇ 녹색제품사용표시제의 ‘녹색제품 사용점검표’ 및 어린이집 평가인증 지표와 연계 ? 부처 간 연계를 통한 위해저감 교육 확대 ㅇ 어린이집안전공제회의 보육교직원 교육 프로그램에 점차적으로 화학물질 관련 위해저감 교육을 포함시키도록 함 ? 정책 이행평가 및 신규 관리대상 선정을 위한 통합누적위해성평가 시행 ㅇ 국가 바이오모니터링 자료를 활용하여 통합누적위해성평가를 시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위해저감-녹색소비 활성화 정책을 평가하고, 신규 관리 대상(관리기준 강화, 친환경 인증 확장, 녹색제품 구매 유도 등) 물질군-제품군을 선정 3. 어린이집 교재교구 수리·재사용 활성화 방안 ? 지역 기반 교재교구 수거 역물류 및 순환 체계 구축 ㅇ 환경교육기관과 연계하는 역물류 체계(그림 2 참조) - 녹색구매지원센터와 같은 녹색소비교육이나 홍보를 지원하는 기관에서 분기 1회 등 유아기관 방문 교육을 실시하고 쓰지 않는 교재교구를 수거 - 어린이가 사용 가능한 제품으로 제작하여 환류 ? 수리·재사용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기금 조성 및 지원 ㅇ 지자체나 민간(대기업의 녹색채권이나 금융권에서의 ESG 기반 투자)에서의 자금지원도 활발히 이루어져야 함 ㅇ 재사용을 통한 폐기물 감량 정책은 다양한 품목에 대한 사용자 간 네트워크를 구축함으로써 가능하며, 이를 위해 풀뿌리 지역 활동을 기반으로 할 때 더욱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으므로 감량·재사용 활동에 대한 지자체의 지원 확대 필요 ㅇ 최근 ESG 경영이나 녹색채권이 확산되고 있으므로 폐기물을 감량하고 재사용하는 사업 분야의 가치를 정확히 평가하여 이들 사업이 단순히 수익성 때문에 좌초되지 않고 성장하여 지속가능한 소비 인프라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음 ? 장난감 수리권 보장 ㅇ 다른 전자제품에 비해 기술적 민감도가 크지 않으므로 수리 정보, 부품 제공 및 자가 수리 용이성 보장 등을 장난감 분야에 먼저 적용 4. 어린이집 거점의 녹색소비생활 체계 ㅇ 녹색구매 활성화 방안은 지역을 기반으로 다양한 행위자 간의 협력이 필요 - 어린이집을 거점으로 하고 녹색구매지원센터는 중간 지원조직으로 하여 녹색구매 및 녹색교육을 확대하고, 지역 내 생산기업과 연계하며, 지자체는 해당 기관들을 지원하고 모니터링하는 역할을 수행(그림 3 참조) - 어린이집은 가정과 연계하여 녹색소비교육을 확산하고, 친환경 교재교구 개발을 위해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 ㅇ 스웨덴 스톡홀름시 ‘화학물질 스마트 어린이집 사업’ 사례를 참고 - 어린이집 내 유해물질 모니터링 및 노출원 파악, 유해물질 함량이 낮은 새 제품으로 대체 등의 사업뿐 아니라 어린이집을 대상으로 방문교육이나 온라인교육을 진행하고 학부모나 제품 생산기업을 포함하여 교육활동 및 지원활동을 전개 - 어린이집을 위한 구매-사용-폐기 시 가이드라인 제작 및 배포 Ⅵ. 정책 제언 및 결론 1. 정책 제언 ? 어린이집 중심의 어린이 유해화학물질 관리 ㅇ 어린이집을 거점으로 가정에서의 녹색생활환경 구축을 간접적으로 유도할 수 있음 - 어린이는 가정 다음으로 어린이집에서 가장 많은 시간 동안 생활함 - 어린이집 중심의 녹색생활환경 구축을 위한 인프라가 이미 존재함 - 전국 및 지역 단위 네트워크가 이미 형성되어 있고 주기적인 교직원 교육이 진행되므로 문제의식 공유 및 역량 강화가 가능함 ? 지자체 연계 어린이 유해화학물질 관리 ㅇ 지자체가 주체가 되어 어린이집의 실내 모니터링 사업, 제품 대체(교환), 교육 및 홍보 등 다양한 경로로 어린이집 위해관리를 진행 - 교육·홍보 사업을 통해 어린이집에서 노출될 수 있는 화학물질 관련 정보, 구매-사용-폐기 시 주의해야 할 사항에 대한 정보 제공 - 스톡홀름 ‘화학물질 스마트 어린이집 사업’을 사례로 국내에서도 지자체-어린이집-지역 기반 중간 조직-학부모 연계를 통한 어린이 생활환경 녹색화를 위한 상호 역할분담 체계를 통한 통합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 2. 결론 ㅇ 본 연구에서는 3개 연도에 걸쳐 어린이가 환경유해인자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는 녹색생활환경 구축 방안을 살펴봄 ㅇ 본 연구에서 제안한 어린이집 중심의 지자체 연계 유해화학물질 관리는 환경보건과 순환경제를 연결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지향 - 전주기에 걸친 화학물질의 관리와 물질의 순환 체계를 통해 장기적이고 지속가능한 어린이 녹색생활환경 구축이 가능함 ㅇ 녹색제품의 위해저감 효과를 인식하고 어린이 녹색제품 사용을 적극 지원할 필요가 있음 ㅇ 어린이집 운영자들은 친환경적인 교육환경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고, 그러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충분한 정보나 교육을 제공받지 못하고 있음 ㅇ 녹색소비에 대한 교육 콘텐츠 개발을 통해 어린이를 보호의 존재로만 바라보지 않고 미래 사회의 주역으로 인식하면서,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사회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본 연구의 결과물이 활용되기를 기대함


Ⅰ. Introduction 1. Background and the aim of the study ? Background ㅇ Due to the fact that children may be exposed not only to children’s products but also to general consumer products, more comprehensive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harmful chemicals for children is necessary. ㅇ Fundamentally, standards on products containing hazardous chemicals that children may be exposed to should be strengthened, but at the same time, it is necessary to come up with measures that consumers can take. ㅇ The Fourth Basic Plan on Promotion of Purchase of Green Products aims to promote the purchase of green products in the private sector by implementing a for childcare centers as a pilot targe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ind means to promote the system by identifying items that are in high demand in childcare centers, and sufficient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risk reduction in the process. ㅇ As exposure reduction paradigm in the living environment is changing into a paradigm that considers reduction of exposure to environmental harmful factors in the entire production-consumption-disposal process, not only purchase and use but also the impact of disposal after use must be considered. ㅇ It is necessary to discuss comprehensive risk reduction measures including reduction of both short-term and long-term risk due to environmental pollution by reviewing the entire ‘purchase-use-disposal’ process. ? Aim of the study ㅇ This study was designed based on the NEXUS goal of “chemicals and waste management that minimizes adverse effects on human health” SDG Toolkit, “A Nexus Approach For the SDGs Interlinkages between the Goals and Targets”, accessed: May 17, 2021. proposed in the UN’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and aims to contribute to the greening of children’s living environment by identifying and managing harmful factors in children’s living environment, while at the same time encouraging green consumption. ㅇ Through research in the first and second years, harmful factors in children’s living environment (childcare centers) were identified, priority substances and products to be managed were selected, and strategies for implementing green consumption in childcare centers were developed. ㅇ This study, conducted in the final year of the entire research period, intends to develop an integrated green consumption promotion plan to reduce hazards in the long term, by reducing short-term hazards caused in the process of purchasing and using products for childcare centers which is the main activity space for children, and reducing the environmental impact in the disposal process, based on the green consumption strategy drawn up using the research results in the first and second years. Ⅱ. Policies and Cases Analysis of Green Consumption for Children 1. Laws and regulations on domestic children’s products ㅇ Regulations on domestic children’s products are managed by various departments such as the Ministry of Environment,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and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by item as shown in Table 1. 2. Green product certification system and promotion cases ? Definition and scope of green products ㅇ Green products are defined as products that minimize the input of energy and resources and the generation of greenhouse gases and pollutants. ㅇ The scope of application of green products is stipulated by law as eco-labeled products, low-carbon products, and good recycled products (GR). ㅇ Generally, the general public also percieves them as products that minimize health effects. ? Cases overseas of promoting the consumption of green products related to children ㅇ Cases of children’s clothing and toys certified by the Nordic Swan Ecolabel were identified. ㅇ In some cases, private online sites based in Northern Europe selling children’s products have their own certification standards, which shows that the scope of green products is expanding to include ethical standards such as animal welfare, in addition to standards that emphasize safe materials and environment. ㅇ Various cases of promoting the consumption of green products can be found in stationery and toys such as Green Toys (100% recycled toys) in California, ecoBirdy (making children’s furniture using grinded toys) in Belgium, eco-friendly school supply purchasing campaign in Austria, and an eco-friendly stationery brand, Remarkable, in the UK. ㅇ In the case of eco-labeled products in Korea, there are certification standards for stationery and toys, but since no such products exist,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manufacturing of green products for children through support for related fields. 3. Cases of guidelines for risk reduction at the stage of use ? Cases overseas ㅇ ‘Caring for Our Children’ and ‘Eco-Healthy Child Care Checklist’ in the United States - Provides information on how to reduce hazardous materials such as chemicals in the air, household chemicals, lead, mercury, and radon, as well as on risk reduction of the products such as furniture, carpets, art supplies, and plastic toys, and also provides the relevant information in the form of a checklist. ㅇ ‘Checklist for Creating Healthier, Greener Child Care Settings’ in Canada - A checklist distributed by the Canadian Partnership for Children’s Health & Environment (CPCHE) presenting various areas that need checking, classifying them by space in the facility or activity. ㅇ ‘Chemical Smart Preschool Initiative’ in Stockholm, Sweden - Aims to monitor harmful substances in childcare centers, identify sources of exposure, and replace them with new products containing smaller amounts of hazardous substances. - Includes home visiting programs or online education for childcare centers and carrying out educational and support activities for parents and product manufacturers. - Develops and distributes guidelines on the purchase, use, and disposal to childcare centers. ? Domestic cases ㅇ ‘Children’s Environmental Health Guid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Information on environmental diseases, practical guidelines for daily life, and action guidelines to avoid exposure to harmful heavy metals, endocrine disruptors, and airborne pollutants ㅇ ‘Environmental Health Guide for Mothers and Infants’ (Ministry of Environment) - Provides information that mothers raising infants and prospective mothers need to know to reduce exposure to hazardous chemicals ㅇ ‘Good School Supply Purchasing Guid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Presents precautions for a total of six major school supplies including school bags, notebooks, erasers, pencil cases, clips, and files 4. Cases of repairing and reusing toys ? Cases overseas ㅇ ‘A Toy’s Life and Beyond’ in the UK: As a social enterprise, it holds repair and exchange events through the repair cafe, with the purpose of expanding awareness of the environmental impact of toys. ㅇ ‘That Toy Thing’ in the UK: Runs a rental business with donated toys that have already been used, and encourages families in Greater Manchester area to rent toys rather than buying new ones. ㅇ ‘Second Chance Toys’ in the United States: A non-profit organization that receives donated toys and distributes them in the community - Most of the materials, human resources and financial resources are procured by volunteers, building up linkages with local communities and companies in various ways (support for vehicles, human resources, etc., in addition to financial support in connection with ESG activities) - Donations are made through regular donation events in recycling centers as previously described, and in the case of irregular collection events, the volunteering organizers are in charge of selecting the location and delivery. ㅇ Garrett County Government, Maryland, the United States - Plastic Toy Recycling: A recall and recycling system for toys in collaboration with the Mattel Toy Company ㅇ Lego® Replay initiative in the United States: The toy company’s own recall system ? Domestic cases ㅇ Support Center for Childcare: The Support Center for Childcare in Ulju-gun, Ulsan provides services of repairing broken toys of childcare centers in partnership with a local repair service company (Elephant Factory). ㅇ Green Move Workshop: A social cooperative established by the Hyundai Motor Group in cooperation with the Community Chest of Korea and the Elephant Factory. Toys are donated from homes, childcare centers, and toy libraries, and distributed to the underprivileged. - Toys that cannot be repaired and reused are sorted by color and reused as educational materials. In some cases, new products are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recycling. ㅇ TRU (Toy Recycle Union), an NGO corporation: A non-profit organization established to solve environmental problems caused by plastics from toys. It holds used toy sales events, runs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and toy donation projects, and conducts research on playing with toys. ㅇ There are cases of toy repair and reuse projects associated with local governments in Seosan-si and Haman-gun. ? Expansion of demand for repair rights ㅇ Repair right refers to the consumer’s right to repair the product themselves in the event of a product failure. ㅇ Legislation is underway in the United States, and similar bills have recently been proposed in Korea. - In the United States, the legislation is called the Right to Repair Act or the Fair Repair Act. - The bill requires manufacturers to provide parts and relevant instructions to users so that consumers can conveniently repair products on their own. ㅇ ‘IFIXIT’, a representative and active online repair information platform in the United States provides information on toys. Ⅲ. Analysis of the Needs for Green Consumption in Childcare Centers 1. In-depth interviews with childcare center principals ? Outline of in-depth interviews ㅇ In-depth interviews with childcare center principals were conducted five times with 18 childcare centers in total. - The type and size of the childcare centers were considered when selecting interviewees, and the main content of the interview included (1) purchase experiences relating to the certification mark, priorities and necessity of green purchase, (2) refraining from purchasing non-green product items, (3) green consumption that takes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behavior, (4) product disposal process, and (5) measures to stimulate green consumption. ? Interview results ㅇ Recognition on the certification marks related to green purchase: Most of the interviewees recognized the KC mark and eco-friendly certification mark, showed low awareness on the good recycling certification mark, and agreed on the need for eco-friendly certification system that has stricter standards for chemicals in children’s products. ㅇ Recognition on green purchase items: As for green purchase priority items, hygiene products such as toilet paper and wet tissues, detergents, tableware and kitchenware, toys and teaching materials, bedding, rugs, safety mats, etc. ranked high. - The main considerations when prioritizing green products were whether there is a high probability of direct physical contact and mouthing, whether children are frequently exposed to the products for a long time, and whether children are continuously exposed to the products in their daily environment. ㅇ Green purchasing experience in childcare centers - Recently, sanitary products and consumables were the mostly purchased green products. The main green purchase route was the green product information system or green store search, and the awareness of the green purchasing center was low. - Practical difficulties and impediments to green purchasing include a limited budget, high price for green products, low access to green products, lack of information about products provided when purchasing online, low understanding of eco-friendly products, lack of supply of green products, and decreased motivation of repurchasing due to the poor quality of green products. ㅇ Awareness and experiences on the use of products that are not eco-friendly - Respondents chose products that contain materials such as felt, coated paper, interior film sheet, foam board, used to make teaching materials and vinyl, wet tissue, and materials used for decoration as products used in childcare centers that were not eco-friendly. - Factors that prevent the practice of green consumption are the increased use of disposable products due to COVID-19 pandemic situation, the preference for disposable products due to ‘convenience’, parents’ concerns about hygiene, and the use of products essential to children’s activities. ㅇ Childcare centers dispose of teaching materials usually as general waste using volume-based garbage bags. The materials are reused for art activities occasionally, donated, or brought to flea markets. ㅇ The interviewees listed improved accessibility, green education, provision of information on disposal, repair projects, and expansion of financial support as requirements for promoting green consumption in childcare centers. 2. Survey of green purchase/disposal at childcare centers ? Overview of the survey of green purchase/disposal at childcare centers ㅇ Among the childcare centers that participated in the in-depth interview, surveys were conducted with a total of 12 childcare centers that expressed intention to participate. ㅇ The surveys were conducted twice in which centers were asked to list green products they purchased or products disposed of in the form of a household ledger. ? Result of the survey on green purchase/disposal at childcare centers ㅇ Looking at the purchase status, stationery was the most purchased, followed by other furnishings and teaching aids/toys. - Other supplies were daily consumables such as disposable plastic gloves, paper cups, toilet paper, and wet wipes. - The majority of purchases were made online (60.7%), and in the case of textile bedding and teaching aids/toys, the proportion of offline purchases was high. - The participants felt that it is difficult to check the KC (Korea Certification) mark when making a purchase online. ㅇ Status of non-purchased goods - Among the items that centers refrain from purchasing, disposable products (paper cups, plates, etc.) ranked highest, followed by mainly consumables which were, in order of score, disposable products (vinyl), toilet paper, and coating paper. ㅇ Disposal status - There were a total of 67 disposal cases, most of them being the disposal of teaching aids/toys. - The most frequently discarded items were plastic toys, followed by automobiles and storage baskets. Physical damage was the most common reason for disposal. - The survey period was from January 1st to July 15th, and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year-end product arrangement were omitted. If the year-end is included in the survey period, the replacement of teaching materials, etc. is likely to be included. ㅇ Reuse/upcycling status - There were only 23 items of reuse/upcycling, and reuse/upcycling occured mainly in teaching aids/toys. - Purchasing second-hand items has not been widely promoted due to the difficulty in accounting at childcare centers. - Reuse/upcycling of reusable/recyclable items mainly included upcycling as educational materials. Ⅳ. Strategy to Implement Green Consumption at Childcare Centers 1. Verifying the risk reduction effects of green products ? Analysis target products and target substances ㅇ As a result of in-depth interviews and case studies at childcare centers, major purchase items or items requiring risk assessment among the items that have eco-label certification standards were selected. - Printing paper, toner cartridge, stationery, kitchen detergent, cosmetic soap, toilet paper, air freshener, and foamed synthetic resin mat ㅇ The substances analyzed were phthalates and flame retardants selected as priority substances in the first-year study, and heavy metals were also examined. ? Analysis result ㅇ The eco-labeling system’s management standards for hazardous substances were evaluated as high overall. - It conforms to or exceeds the standards stipulated in the Children’s Products Act. - In the case of flame retardants, standards exist only in the eco-labeling system. - In the case of good recycled products, standards that are safe for children needs to be established. ㅇ It is necessary to strongly encourage the purchase of eco-labeled products for items children may be exposed to. - The expansion of eco-labeled products for children’s items may have a greater ‘health promotion’ effect than the expansion of eco-labeled products for general consumer products. Ensuring the credibility of eco-labeled products may encourage consumers to gradually pursue eco-friendliness as well, in addition to pursuing risk reduction. 2. Guideline development for risk reduction at the stage of use ? Development of a self-checklist for risk reduction ㅇ A guideline was developed based on the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review, and reviewed by five experts in the field of environmental health and working staff at 12 childcare centers. It takes the form of a self-checking tool (checklist) that can be actively practiced and checked. - It consists of items that are essential to reducing exposure to hazardous chemicals in childcare centers but are easy to miss in real life. There are 14 items in total and explanatory data are added to each item. ? Utilization of the self-checklist ㅇ It is recommended to consider developing the ‘Green Childcare Center’ mark certifi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presenting it to centers that show best utilizes the checklist. ㅇ The explanatory data in the checklist can be published in the form of a guidebook (e.g. Guidebook for Risk Management at Childcare Centers) to provide information to the parents as well as the childcare centers. The checklist and the explanatory data can also be used for educating teachers by the Childcare Center Safety & Insurance Association. 3. Evaluation of the social value of repairing and reusing teaching materials ? Background of the evaluation ㅇ Although toys account for a high proportion of plastic waste, their recycling rate is lower than that of general plastics because they are mostly made of composite materials. - In the consumption stage, a large amount of toys are purchased and used by general households in a short period of time, and in childcare centers that use toys and teaching aids in large quantities, they are often discarded due to a lack of information on repair or reuse services. ㅇ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feasibility of supporting the toy repair and reuse business by analyzing the economic feasibility of Company A, one of the social enterprises mainly dealing with toy recycling. ? Result of economic analysis ㅇ Measurement of social value: Social Return on Investment (SROI) ※ SROI is an index that calculates the value of social values that are difficult to calculate economically and measures the return on investment. - Company A, a social enterprise that recycles and reuses toys, collects about 200 tons of toys annually. 100 tons (50%) are reused as toys, materials of 60 tons (30%) are recycled. and about 40 ton (20%) are discarded. - The social values created by Company A a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the job creation effect from hiring the general and vulnerable groups, the environmental pollution reduction effect caused by a decrease in the production of new toys, and the effect from toy donation and service provision. - For the job creation effect, company A, a social enterprise, employs ordinary workers and the socially vulnerable, increasing their incomes and government tax revenues, and reducing government subsidies for the vulnerable. - In the environmental point of view, since the production of new toys is expected to decrease, waste disposal costs and greenhouse gas emission are expected to decrease due to a reduction in the amount of waste. - In the product and service point of view, it is possible to monetize the effects of community contribution such as toy donation to the local community, disinfection service, and free toy collection service. - Company A’s social values derived from specific figures were estimated to be 36.91 million KRW, 67.77 million KRW, and 652.74 million KRW, respectively, in environment, employment, and product and service sectors. Based on this, company A’s social return on investment in 2019 is 203.8%. ? Implications ㅇ It can be said that Company A, a toy recycling social enterprise, is creating various social values in terms of the environment, employment, and products and services. ㅇ Measures to reflect social value measurement and support it - Social values can be estimat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measurement method or parameters. - Various discussions are needed for the future social performance reporting system such as measures to monetize social values and reflect them in decision-making (e.g. reporting social performance as a sub-item of financial statements in corporate disclosure). - Despite the recent active discussion o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such as ESG management, it does not lead to investment in social enterprises. -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standardized estimation method of social value and a plan to report it to the corporate disclosure, and ultimately, policy support is needed so that it can be operated in a sustainable form in connection with ESG management. Ⅴ. Measures to Promote Green Consumption in Childcare Centers 1. Measures to promote purchase of green products ? Effect of cumulative risk reduction of eco-labeled products (risk reduction effect due to environmental improvement) ㅇ It is necessary to show the effect of purchasing eco-labeled products on children’s health in a multifaceted and visible manner so that consumers can increase their sense of efficacy at the time of purchase. ? Incentives for using eco-labeled products ? Linking to the green product usage labeling system ㅇ Building a linkage to the green product usage labeling system that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s piloting for childcare centers - Through certification of green childcare centers, consumers can be aware of efforts of childcare centers to use green products. ㅇ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purchase of eco-labeled products for product groups that children may be easily exposed to. ? Promote the provision of information on green products for childcare centers ㅇ The current Green Product Information System homepage needs to be improved to make it easier for childcare centers to use it. ㅇ It is necessary to clearly present environmental standards for products promoted as eco-friendly products, but not designated eco-labled products. ? Expand support for the production of items without certified products ? stationery, toys ㅇ Secure the market by adjusting the allocation rate for each public procurement item after expanding product production (stationery) ㅇ In the case of toys, it is necessary to expand eco-label products in various ways. - Use recycled plastics (using safe materials such as food containers and toys) or bio-based materials ? Develop eco-friendly teaching materials and educational contents suitable for children ㅇ It is necessary to jointly develop creative eco-friendly teaching materials (safe + environmentally friendly + fun) with distributors, manufacturers, eco-friendly material producers (paper, wood, fiber, recycled plastics, etc.), early childhood education specialists (Support Center for Childcare),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Environmental Industry & Technology Institute), Ministry of Educatio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etc. ? Reinforce the role of organizations supporting ‘green life’ beyond ‘green purchasing’ ㅇ The Eco-friendly Living Support Center (Green Purchasing Support Center) needs to actively identify green product items necessary for childcare centers in connection with green childcare activities, and establish a network by linking local producers. ㅇ It is necessary to support sustainable consumption by identifying not only eco-labeled products, but also various eco-friendly consumer products such as those produced by co-ops, locally produced products, refillable products, and used products. ㅇ It is necessary to identify and recommend products that can be used by childcare centers by reviewing in advance whether the product is made of safe materials or whether hazardous substances were use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2. Measures to reduce hazards in the use stage ? Use the risk reduction checklists and guidebooks ㅇ Use as educational materials for childcare center teachers and parents ㅇ Expand and operate in the form of ‘Children’s Green Life Web site’ ? Link with inspection/evaluation system for risk reduction in the use stage ㅇ Link to the ‘Green Product Use Checklist’ of the green product use labeling system and the evaluation certification index for childcare centers ? Expand risk reduction education through establishing the inter-ministerial linkage ㅇ Gradually include risk reduction training in the Safety Mutual Aid Association’s childcare staff training program ? Implement cumulative risk assessment to evaluate policy implementation and select new management targets ㅇ Implement a cumulative risk assessment using the national biomonitoring database, and evaluate risk reduction-green consumption promotion policies based on the assessment results, and select substances-product groups for new management goals (reinforcement of management standards, expansion of eco-friendly certification, inducement to purchase green products, etc.) 3. Measures to promote the repair and reuse of teaching materials at childcare centers ? Establish region-based teaching materials collection and reverse logistics and circulation system ㅇ Establish reverse logistics system linked to environmental education institutions - Institutions that support green consumption education or publicity, such as the Eco-Friendly Living Support Center, should develop visiting lecture programs to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such as once a quarter, and collect unused teaching materials during the visits. - Use the collected materials to manufacture new products that can be used by children ? Fundraising and supporting to promote repair and reuse services ㅇ Financial support from local governments and the private sector (green bonds of large companies or ESG-based investment in the financial sector) should also be actively supported. ㅇ Since reduction policies in local governments can be efficiently achieved through grassroots local activities, expand support for volume reduction and reuse activities ㅇ With the recent spread of ESG management and green bonds, it is necessary to accurately evaluate the value of business areas that reduce and reuse waste to help them grow and function as sustainable consumption infrastructure. ? Guarantee toy repair right ㅇ Since the technical sensitivity is not great compared to other electronic products, provide repair information and parts, and guarantee ease of self-repair first in the toy field Ⅵ. Policy Suggestions and Conclusion 1. Policy suggestions ? Childcare center-centered management of hazardous chemicals for children ㅇ Grounds for implementing childcare center-centered policy - Children spend most of their time at childcare centers other than home. - Infrastructure for establishing a green living environment centered on childcare centers already exists. - Since national and regional networks have already been established and regular training for faculty and staff is conducted, it is possible to share problem awareness and strengthen capability. - It can indirectly lead to the establishment of a green living environment at home. ? Management of hazardous chemicals for children linked with local governments ㅇ Local governments can take the lead and carry out risk management for childcare centers through various channels such as indoor monitoring program, product replacement (exchange), education, and publicity. - Provide information on chemicals that children may be exposed to at childcare centers and information on precautions for the purchase, use, and disposal of products - Taking the “Chemical Smart Preschool Initiative” in Stockholm as an example, an integrated strategy based on a mutual role sharing system for greening children’s living environment domestically through linking local governments - childcare centers - regional-based intermediate organizations ? households can be developed. 2. Conclusion ㅇ This study examined ways to establish a green living environment in which children can be protected from hazardous chemicals over the three years. ㅇ The management of hazardous chemicals centered on childcare centers in connection with local governments proposed in this study is based on a new paradigm that connects environmental health and the circular economy. - It is possible to build a long-term and sustainable green living environment for children through the management of chemicals throughout the entire cycle and the circulation system of materials. ㅇ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risk reduction effect of green products and actively support the use of green products for children. ㅇ Like parents who care for children, childcare center operators are trying to provide an eco-friendly educational environment, but they are not provided with sufficient information or education. ㅇ Through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content on green consumption,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tilized so that children can live in a safe and sustainable society while recognizing children as the protagonists of the future society, rather than looking at them only as subjects to protect.

Table Of Contents

요 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내용 및 추진 체계

제2장 어린이 녹색소비 관련 정책 및 사례 분석
1. 국내 어린이용품 관련 법령 및 규정
2. 녹색제품 인증제도 및 활성화 사례
3. 사용단계에서의 위해저감 지침 사례
4. 장난감 수리·재사용 사례

제3장 어린이집 녹색소비 수요 분석
1. 심층면담 및 사례조사 개요
2. 어린이집 녹색구매 및 폐기 관련 심층면담 분석
3. 어린이집 녹색구매 및 폐기 관련 사례조사 결과 분석

제4장 어린이집 녹색소비 이행 전략
1. 녹색제품의 인체 위해저감 가능성 검토
2. 사용단계에서의 위해저감 가이드라인 개발
3. 교재교구 수리·재사용의 사회적 가치평가

제5장 어린이집 녹색소비 활성화 방안
1. 어린이집 녹색구매 활성화 방안
2. 사용단계에서의 위해저감 방안
3. 어린이집 교재교구 수리·재사용 활성화 방안
4. 어린이집 거점의 지자체 연계 녹색소비생활 체계

제6장 결론 및 제언
1. 1~3차 연도 종합 결과
2. 정책 제언
3. 어린이 녹색생활환경 구축을 위한 정책별·주체별 역할
4. 결론

참고문헌

부 록
Ⅰ. 어린이집 원장 심층면담 질문지
Ⅱ. 어린이 위해저감 가이드북 배포자료
Ⅲ. 장난감 재사용의 사회적 편익 도출

Executive Summary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Project Report(사업보고서)
Files in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