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 영농형 태양광 잠재적 입지 고려지역 선정 및 함의 : 횡성군을 중심으로

Title
농촌 영농형 태양광 잠재적 입지 고려지역 선정 및 함의 : 횡성군을 중심으로
Other Titles
Selection and implication of the potential Site of Agrophotovoltaic : Focusing on Hoengseong-gun
Authors
고도연; 김은진
Issue Date
2022-12-31
Publisher
한국환경연구원, 한국환경정책학회
Series/Report No.
환경정책 : 제30권 제4호 2022년 12월
Page
263-288 p.
URI
https://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23810
Abstract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 전력 소비가 발생하는 국토의 곳곳에 분산형 재생에너지 설비를 배치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수반되는 다양한 갈등은 새로운 설비 형태를 강구하며 이에 관련 가치와 조화로운 합리적 부지 활용 방안을 모색할 필요성이 크다. 영농형 태양광은 적절한 정책 아래 상기 요구를 충족하며 농촌사회의 다양한 현안 해소를 모색할 수 있어 국제적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국내 농촌 에너지전환 및 활성화 방안으로써 영농형 태양광에 초점을 두고 그 잠재적 입지 고려지역에 주목한다. 이를 위해 설비의 친환경성과 현실성을 담보할 수 있는 다양한 기준을 수립하였다. 이후, GIS를 활용, 관련 지표를 준용하여 횡성군을 대상으로 고려지역을 선정하고 예상되는 편익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다양한 배제 사항을 준용하지만, 고려지역에서의 영농형 태양광 발전 잠재량은 2021년도 횡성군 전력 소비량의 3배를 초과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 탄소중립과 농촌지역 현안 해소 측면에서 영농형 태양광의 중요성을 재조명하고 향후 설비 확장을 위한 체계 조성 필요성을 시사한다. [핵심주제어] 에너지전환, 영농형 태양광, 고려지역, 지역 활성화, GIS


Achieving carbon neutrality by 2050 requires locating decentralized renewable energy facilities across the country, wherever electricity consumption occurs. However, as a consequence of various conflicts involved throughout this process, a new type of facility is required, combined with the urgent need to find a reasonable site utilization plan in harmony with related values. Agrophotovoltaic systems attract growing international attention as it meets the above requirements under appropriate policies with the ability to solve various problems in rural areas. In this study, we focus on agrophotovoltaics as a means of energy-transition and revitalization in rural areas of Korea, paying attention to the potential location consideration site. To this end, various standards were established to ensure the eco-friendliness and feasibility of facilities. Subsequently, potential sites were selected for Hoengseong-gun by applying the relevant indicators using GIS, presenting expected benefits. As a result of the study, despite the application of various exclusions, the potential for agrophotovoltaic generation in the potential site’s capacities exceeded the power consumption of Hoengseong-gzn in 2021 by more than three times. These results shed light on the importance of agrophotovoltaics in terms of carbon neutrality in Korea, resolving pending issues in rural areas, suggesting the need to create a system for future facility expansion. [Key Words] Energy Transition, Agrophotovoltaic, Potential Site, Regional Revitalization, GIS

Appears in Collections:
Periodicals(정기간행물) >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and Administration(환경정책)
Files in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