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역생태축 보전·복원방안 중장기 추진전략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이수재 -
dc.contributor.other 이현우; 이상범; 이명진; 천정윤 -
dc.date.accessioned 2023-09-12T16:30:16Z -
dc.date.available 2023-09-12T16:30:16Z -
dc.date.issued 20170731 -
dc.identifier A 환6100 2017-56 -
dc.identifier.uri https://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24125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5/026/광역생태축_보전_복원방안_중장기_추진전략_연구_이수재.pdf -
dc.description.abstract [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 광역생태축 보전?복원의 중요성 및 필요성 - 광역생태축은 국가핵심생태축과 연결되어 야생생물의 서식지 및 생물다양성과 생태계서비스 증진에 중요한 역할하나, 기후변화 및 개발 사업 등에 따라 변화 및 훼손이 심화되고 있음 - 광역생태축은 국가핵심생태축과 연결성 보전 관리*를 위해 보전?복원이 필수임 ○ 광역생태축 보전정책 추진 경과 - 그간 백두대간 등 국가핵심생태축은 국가적 관심과 관계부처의 공동 노력으로 생태축 보전·복원에 일부 성과가 나타나고 있음 - 그러나 정맥, 지방하천, 지역 생태거점 등 광역생태축은 법적 근거 및 재원 부족으로 상대적으로 정책 추진은 저조한 실정 ○ 지자체·수혜자 중심의 광역생태축 보전?복원사업 활성화 필요 - 광역생태축의 체계적 보전?복원사업 추진을 위한 제도적 개선 및 경제적 지원방안 마련 필요 - 중앙부처, 규제 중심의 생태축 보전 정책 패러다임을 지자체·수혜자 및 지원 중심으로 전환할 수 있는 다양한 법적 개선방안 제시 필요 2. 연구 범위 ○ 공간적 범위: 전국을 대상으로 함(광역생태축이 필요한 곳) ○ 내용적 범위 - 광역생태축 단절현황 및 생태축 단절에 따른 피해 분석 - 광역생태축 보전·복원사업의 효과분석 및 제도적 문제점 분석 - 광역생태축의 효과적 보전·복원을 위한 관리체계 제시 - 광역생태축 보전·복원을 위한 경제적 인센티브 제안 - 광역생태축 보전·복원 단기 및 장기 실천계획 제시 3. 연구 방법 본 연구는 다음의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가. 문헌조사: 국내외 문헌과 기존 보고서 등을 수집 및 분석 나. 현장답사: 생태축 현황은 현장방문을 통하여 상태를 파악 다. 면담 및 자료 수집: 생태축 관련 전문가 면담 및 필요 자료의 수집 및 정리 라. 자문회의: 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하여 진행 마. 연구 분담: 전문분야 별로 업무를 분담하여 진행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1장 서론 <br><br>1. 연구 배경 및 목적 <br>2. 연구 범위 <br>3. 주요 연구 내용 <br> 3.1 광역생태축 현황 및 문제점 분석<br> 3.2 지속가능한 광역생태축 보전?복원 중장기 방안 제시 <br> 3.3 광역생태축 보전·복원 단기 및 장기 실천계획 제시(단계별 시행계획) <br>4. 연구 방법 <br><br>제2장 광역생태축 현황 및 문제점 분석 <br>1. 생태축 단절 현황 및 생태축 단절에 따른 생태적 피해 분석 <br> 1.1 광역 생태축의 주요 단절 현황 <br> 1.2 생태축 단절에 따른 생태적 피해 <br>2. 광역 생태축 보전 및 복원 현황 <br> 2.1 중앙정부, 지자체 등 광역생태축 보전, 복원 추진 사례 <br> 2.2 기 추진된 광역생태축 보전, 복원 사업 효과 분석 <br>3. 생태축 관련 주요 연혁 <br>4. 생태축 보전·복원 관련 제도적 문제점 분석 <br> 4.1 생태축의 법제도상 한계 <br> 4.2 생태축의 문제점 <br>5. 생태축의 구체적 위치의 오류 및 수정 사례 <br>6. 생태축 보전 및 복원 관련 유인제도 <br> 6.1 환경보전을 위한 접근 방법 <br> 6.2 생물다양성보전을 유인제도 <br> 6.3 생태축과 관련된 경제적 유인제도 <br>7. 외국의 광역생태축 설정 및 보전·복원 우수사례 <br> 7.1 국외(독일, 이탈리아 등) 광역생태축 보전?복원 정책사례 문헌조사 <br> 7.2 IUCN 등 국제사회의 생태축 보전·복원 관련 동향 조사 <br> 7.3 시사점 <br><br>제3장 생태축 개요 및 설정 방법 <br>1. 보전 및 복원 관련 <br> 1.1. 보전 <br> 1.2 보전과 복원 <br>2. 생태축 개념 관련 <br> 2.1 생태축 관련 용어의 고찰 <br>3. 국내 생태축 구축 방법 및 사례 <br>제4장 광역생태축의 중장기 관리방안 <br>1. 생태축과 생태망의 개념 설정 <br>2. 생태축의 위계별 구분 <br>3. 생태축의 위계별 관리 및 운영 추진 체계(안) <br>4. 생태축의 지정 대상 및 관리 범위 <br> 4.1 생태축 지정 대상 <br> 4.2 관리 대상 공간적 범위 <br> 4.3 생태축 설정 대상의 공간 범위 설정시 고려사항 <br> 4.4 광역생태축 비전 및 추진 체계 <br> 4.5 생태축 보전 복원의 이행수단 강화 <br><br>제5장 결론 <br>1. 결론 <br>2. 제언 <br><br>참고문헌 <br><br>부록 -
dc.format.extent 94 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환경부 -
dc.title 광역생태축 보전·복원방안 중장기 추진전략 연구 -
dc.type 수탁보고서 -
dc.contributor.department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description.keyword 국토환경관리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ETC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