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지역 저소득계층 보호를 위한 환경정책 연구 Ⅰ-1

Title
도시지역 저소득계층 보호를 위한 환경정책 연구 Ⅰ-1
Authors
추장민
Issue Date
2007-12-28
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Series/Report No.
연구보고서 : 2007-02
Page
132 p.
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309
Language
한국어
Keywords
Urban poor
Abstract
Abstract Environmental Policy for Low-income Population in Urban Areas There is a new approach to sustainable development which not only considers social and economic inequity within society but also environmental inequity and the link between environmental quality and pover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environmental inequity in the distribution of environmental damages, responsibilities, and benefits among different income groups with a focus on low-income residents living in an urban area (Seoul metropolitan area) and to propose an integrated environmental policy to protect low-income population through considerations to the environment and the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the population and area. The objective, the first year, is to select empirical study areas based on the spatial analysis of environmental inequity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is study assesses environmental inequity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GI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Spatial correspondence among environment related facilities, pollution, socioeconomic position, environmentally related diseases, and their attribution of geography were described. Environment related facilities were concentrated in the suburbs of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e concentrations of air pollution demonstrated a geographical pattern, with high values in urban areas and close to major roads, and low values in remote and rural areas. A standardized mortality ratio and standardized prevalence ratio for asthma, lung cancer, and atopy were also unequally distributed and found to correlate with high air pollution levels. Based on the results, we analyzed the interrelationships and interactions of different social groups in the distribution of environmental damage and benefits and their socioeconomic outcom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quality of the local environment and socioeconomic status was complex and didn’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owing to some reasons such as data restriction etc. We incorporated all of these factors and found spatial intersections in socioeconomic status and environmental risks. Nevertheless,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 analytical scope, we found weak linkage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and environmental risks. We analyzed that socioeconomic status might itself play a role in the asthma hospitalization associated with exposure to air pollution. Individual-level characteristics showed effect modification with higher effects among those of lower socioeconomic status, but the study using group level indicators did not show important effect modification. The investigation of environmental justice requires much better information regarding the distribution of environmental damages, both in social and health terms, as well as the distribution of environmental responsibilities and environmental benefits. Thus,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environmental inequity in micro-geographical terms of exposures and the related health effects of environmental risks. Therefore we proposed 10 towns of 5 districts as empirical study candidate areas in Ansan City, Seongnam City, Incheon City, Seoul City, Gunpo City at the individual, household and area level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environmental inequity in urban Korea. This study promotes the research by introducing methodological and conceptual approaches in the field of environmental justice. Environmental decision-making and planning should take socioeconomic circumstances and environmental equity issues into account. Care should be taken, because environmental improvements may not benefit all groups equally and could act to increase, rather than decrease, inequity. Increasing environmental equity is an inherent component of sustainable development.

Table Of Contents

- 차 례 -

국문요약
제1부 서 론
제1장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제2장 개념 정의 및 선행 연구 검토
1. 환경불평등 개념 정의 및 범위
2. 환경불평등 관련 선행 연구 검토
3. 환경불평등 대응 해외 사례
4. 대기오염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5. 건강형평성 연구
6.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대기오염과 건강상태의 연관성
제3장 연구 범위 및 연구방법
1. 연구 내용 및 범위
2. 연구방법 및 연구추진체계
3. 보고서의 구성
제2부 저소득계층과 사회경제적 결핍의 공간분포 현황 및 특성 분석
제1장 저소득계층 공간분포 현황 및 특성
1. 저소득계층에 관한 선행 연구
2. 저소득계층의 범위설정
3. 저소득계층의 공간분포 현황 및 특성
4. 요약 및 소결
제2장 사회경제적 결핍의 공간분포 현황 및 특성
1. 결핍의 개념 및 범위설정
2. 결핍지수(Deprivation index) 산출 결과
3. 요약 및 소결
제3장 저소득계층 관련변수와 사회경제적 결핍지수의 상관관계
1. 저소득계층 관련변수 간의 상관관계
2. 결핍지수간의 상관관계
3. 저소득계층 관련 변수와 결핍지수 간의 상관관계
4. 요약 및 소결
제3부 환경관련요소 공간분포 현황 및 특성 분석
제1장 인문·사회·환경 현황 개요
1. 수도권 지역의 일반 현황
2. 수도권 지역의 인문사회 현황
3. 수도권 지역의 환경 현황
4. 요약 및 소결
제2장 환경관련시설 및 주요공간요소의 공간분포 현황 및 특성
1. 환경불평등 측면에서 환경관련시설 공간분포에 관한 선행 연구
2. 환경관련시설의 정의 및 분류
3. 환경관련시설 및 주요공간요소 공간분포 현황 및 특성 조사분석방법
4. 환경관련시설의 공간분포 현황 및 특성
5. 주요공간요소의 공간분포 현황 및 특성
6. 요약 및 소결
제3장 환경오염노출의 공간분포 현황 및 특성
1. 환경오염노출 관련 선행 연구
2. 환경오염노출 상태의 조사 및 분석 방법
3. 환경오염노출 공간분포 현황 및 특성
4. 요약 및 소결
제4장 환경성 질환의 공간분포 현황 및 특성
1. 환경성 질환 관련 선행 연구
2. 환경성 질환의 정의 및 범위설정
3. 표준화사망비, 표준화유병비, 저체중아·미숙아발생률 조사 및 분석방법
4. 표준화사망비, 표준화유병비, 저체중아·미숙아발생률 공간분포 현황 및 특성
5.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 이용 혈중 중금속 농도 공간분포 현황 및 특성
6. 요약 및 소결
제5장 환경관련요소와 저소득계층의 공간분포 현황 및 특성 비교
1. 환경관련시설 및 주요공간요소와 저소득계층의 공간분포 비교
2. 환경관련시설 및 환경오염노출, 저소득계층의 공간분포 비교
3. 지역사회 결핍지수, 대기오염복합노출지수 및 주관적 건강 상태와의 관계
4. 환경성 질환과 환경오염노출
5. 요약 및 소결
제4부 환경요인·사회경제요인·환경성 질환의 관련성 종합분석
제1장 환경요인, 사회경제적 요인과 건강상태의 상관성 분석
1. 연구자료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만성질환과 대기환경
5. 읍/면/동 EQ-5D 건강가중치 예측(소지역추정법)
6. 요약 및 소결
제2장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대기오염의 천식입원 영향
1. 연구자료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요약 및 소결
제3장 환경요인이 태아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심층분석
1. 연구방법
2. 연구결과
3. 요약 및 소결
제4장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도시공원자원 분포현황 분석
1. 연구대상 시설 및 지역
2. 연구 내용 및 방법
3. 연구결과
3. 요약 및 소결
제5부 저소득계층 실측조사지역 선정
제1장 저소득계층 실측조사지역의 선정 방법
1. 조사지역 선정 원칙 및 기준
2. 조사지역 선정 절차
제2장 저소득계층 실측조사지역의 선정
제6부 결론 및 2차 연도 연구계획
제1장 요약 및 결론
1. 요 약
2. 결 론
제2장 2차 연도 연구계획
1. 연구의 목적
2. 주요 연구 내용
3. 연구방법
참고 문헌
Abstract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Research Report(연구보고서)
Files in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