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ㆍ경제 통합분석을 위한 환경가치 종합연구 : 2021 국민환경의식조사

Title
환경ㆍ경제 통합분석을 위한 환경가치 종합연구 : 2021 국민환경의식조사
Authors
안소은
Co-Author
염정윤; 이홍림
Issue Date
2021-12-31
Publisher
한국환경연구원
Series/Report No.
사업보고서 : 2021-05-03
Page
151 p.
URI
https://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23478
Language
한국어
Abstract
한국환경연구원(KEI)은 환경 전반에 대한 국민의 의식 및 인식, 부문별 환경에 대한 만족도 및 환경정책 수요를 조사하기 위해 2012년부터 매년 국민환경의식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주요 조사 부문은 환경인식, 환경 실천 및 태도, 환경 수요 및 정책 등이다. 주요 문항에 대해 국민의 시기별 응답변화를 살펴보고, 해외 유사 설문조사와 비교함으로써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2012년 유사한 목적을 위한 해외의 설문을 검토하여 설문문항을 구성하였고, 2013년에는 5개의 기본 부문을 유지하되, 해외 설문항목과의 연계비교를 위해 세부문항을 조정한 이후 기본 틀을 유지하였다. 다만 매년 당해 연도 사회적 관심 부문이나 정책 관련 주제에 대한 특별 부문을 구성하여 시의성을 유지하고 있다. 특별 부문은 2012년에는 녹색성장정책, 원자력, 2013년에는 기후변화 및 화학물질, 2014년에는 기후변화, 2015년에는 기후변화와 생태계서비스, 2016년에는 기후변화와 미세먼지, 2017년에는 기후변화와 에너지(원자력), 2018년에는 미세먼지, 2019년에는 물환경과 생태계 서비스, 2020년에는 코로나19로 구성하였다. 국민환경의식조사는 2018년과 2021년 두 차례에 걸쳐 조사 문항 및 방법을 일부 변경하였다. 조사항목 측면에서는 2012년부터 유지되어 온 문항의 연속성은 유지하되 중복되는 질문 및 현실과 맞지 않는 항목은 제외하고 환경의 변화에 따라 새롭게 필요한 항목은 추가하였다. 또한 주요 부문도 기존의 다섯 개 부문에서 환경인식, 환경 태도/실천, 환경 수요/정책의 세 부문으로 통합하였고, 2021년부터는 환경정보 이용 부문을 추가하여 총 네 부문을 운영 중이다. 특별 부문은 2020년 조사까지 진행하고 2021년 조사에서부터는 한시적으로 폐지하였다. 설문조사 방법의 경우 2017년까지는 방문면접조사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나, 2018년 조사부터는 온라인 패널을 대상으로 웹조사를 이용하였다. 방문면접조사의 장점은 조사자가 면접조사에 대한 교육이 잘 된 상태라면 설문 응답자의 설문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으며, 설문환경에 대한 통제가 가능하다는 점이다. 또한 응답률이 높아 표본 편의(sampling bias)를 줄일 수 있다. 반면 비용이 많이 들며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또한 익명성이 보장되지 않아 응답자의 답변에 편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며, 면접자의 훈련상태에 따라서 설문조사의 신뢰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웹조사는 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신속한 조사가 가능하며, 조사의 설계에 따라 균등한 수준의 조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어 해외에서 실시된 연구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도 활용 폭이 넓어지고 있다. 또한 온라인 패널을 이용하면 추적조사를 통한 패널 데이터 구축이 상대적으로 용이하다. 다만 설문조사 업체에서 구축한 온라인 패널의 대표성에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온라인 패널에는 근본적으로 이메일, 인터넷 및 스마트폰 사용자만 포함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고령층이나 저학력 계층의 표본이 과소하게 포함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조사자가 직접 설명하는 방식이 아닌 응답자가 웹 화면을 통해 설문을 이해해야 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조사에 대한 이해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다만 최근 두 가지 방식에 대한 차이를 연구한 결과를 살펴보면 조사방식의 차이가 유의미한 결과의 차이를 만들어 내지 않는다는 문헌이 다수이다(Lindhjem and Navrud, 2011, pp.1628?1637; Carrozzino-Lyon, McMullin, and Parkhurst, 2013, pp.219?233; Boyle et al., 2016, pp.401?419). 2021년 국민환경의식조사는 2020년에 이어 웹조사로 진행되었다. 최종적으로 답변을 완료한 총 표본 수는 5,050명으로 이 중 2,185명이 2020년 국민환경의식조사 응답자이다. 더불어 2018년부터 총 4개년에 모두 참여한 응답자는 1,087명으로 향후 패널 형태의 분석을 하기 충분한 자료를 확보하였다. 웹조사를 통해 온라인 패널을 대상으로 조사 URL을 발송하면 응답자는 휴대전화나 PC를 통해 응답할 수 있다. 작년에 조사에 응답한 조사자에 대해 다시 조사를 진행한 이유는 분석에 있어 패널분석이 지닌 장점을 활용하기 위함이다. 다만 기존의 한국노동패널, 한국복지패널과 같이 엄밀한 방식으로 패널을 유지하는 것은 비용적인 측면에서 본 조사에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국민환경의식조사는 당해 연도 조사를 중심으로 환경 전반에 대한 인식 및 환경정책 수요를 파악하는 것을 우선 목적으로 하고, 패널조사 대상에 대한 분석을 통해 국민의 환경에 관한 인식 및 의식 등에 대한 변화의 흐름을 파악하고자 한다. 2018년 이후 조사와 마찬가지로 지역별, 성별, 연령별 기준으로 비례할당추출을 하였다. 따라서 표본의 각 셀별 비중에 차이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웹조사의 특성상 60대 이상의 표본이 충분하지 못한 단점이 존재한다. 이는 향후 분석에서 표본가중치를 활용하여 보정하였다.

Table Of Contents

제1장 2021 국민환경의식조사 개요

제2장 2021 국민환경의식조사 주요 결과
1. 환경인식
2. 환경태도/실천
3. 환경정보 이용
4. 환경수요/정책
5. 종합분석 및 시사점

제3장 2021 국민환경의식조사 설문지와 통계표
1. 국민환경의식조사 설문지
2. 통계표

참고문헌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Project Report(사업보고서)
Files in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