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장기적 적응전략 마련을 위한 기후위험 및 적응 평가체계 연구

Title
중장기적 적응전략 마련을 위한 기후위험 및 적응 평가체계 연구
Authors
정휘철; 신지영
Co-Author
박진한; 유인상; 신용희; 송영일; 조한나; 홍제우; 김상혁
Issue Date
2022-12-31
Publisher
한국환경연구원
Series/Report No.
기후환경정책연구 : 2022-04
Page
141 p.
URI
https://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23919
Language
한국어
Keywords
지구온난화, 기후변화 적응, 기후위험평가, 적응평가체계, 지자체 적응대책, Global Warming, Adaptation, Climate Change Risk Assessment, Adaptation Assessment, Local Adaptation Planning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연구의 배경 ㅇ 지난 20년(2000~2019년) 동안 자연재해 발생이 앞선 20년(1980~1999년)에 비해 약 2배 증가하였고, 경제적 피해는 1.8배 증가 ㅇ 온실가스 배출이 지속될 경우, 21세기 말까지 지구 평균기온이 약 5.7℃까지 올라갈 것으로 전망되며, 우리나라를 포함한 동아시아 지역은 폭염 등 극한 고온 영향이 증가하고, 호우와 홍수 또한 강화되고 빈번해질 것으로 전망 ㅇ 탄소중립 달성에도 현재보다 높아진 지구 평균기온과 함께 인간과 자연의 적응역량 한계로 인한 손실 발생 가능 ㅇ 기후위험 대응 부족의 정책적 문제점과 원인을 명확히 파악하고 광범위하고 종합적인 적응전략을 새롭게 마련하기 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으며, 정책 수준별 기후위험 관리와 적응 의사결정을 위한 지식 확대 필요 ㅇ 시급성이 높은 지역과 부문을 중심으로 효과적인 적응 옵션 발굴과 합리적 자원 분배를 위한 적응정보와 지식이 충분히 제공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과학적 정책도구와 정보 공유플랫폼 구축이 선행되어야 함 ? 연구의 목적 ㅇ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위험을 평가하고 다양한 적응 방안을 신속하게 검토할 수 있는 기후위험 및 적응 평가체계 개발을 통해 탄소중립 시대의 기후위험 관리와 중장기적인 적응전략 마련을 지원하고자 함 2. 연구 내용 및 추진 체계 ? 본 연구는 총 3개년 연구계획 중 1차 연도 연구에 해당함 ㅇ 적응전략 수립 지원을 위한 기후위험 및 적응 평가체계는 4개 부문으로 구성됨 - 지구온난화 수준에 따른 우리나라 기후변화 분석 및 시나리오 DB 구축 - 주요 분야의 기후위험평가를 위한 지표기반 신속 평가 모형 개발 - 적응 옵션의 효과와 우선순위 평가를 통한 적응 시급성 진단체계 개발 - 탄소중립 달성 수준을 고려한 적응 시나리오 검토 ㅇ 1차 연도(2022) 연구는 기후변화 시나리오 자료 수집, 전처리 및 분석 방법 개발, 지표기반 기후위험평가 틀 마련 및 시범 평가, 기후변화 적응현황 분석을 포함 Ⅱ. 기후위험 및 적응 평가체계 ? 기후위험평가 ㅇ 영국 CCRA는 5년마다 위험평가를 수행하며 기후위험 관리를 위해 향후 5년간 필요한 조치를 파악하고 단기-중기-장기에 발생할 기회를 식별함 ㅇ 2012년 최초 수행한 CCRA1은 기후위험과 영향의 정량화를 목표로 시작하였으며, 폭넓은 검토를 통해 가장 중요한 100가지 항목을 선정하고 기후위험과 기회를 식별함 ㅇ 2017년, CCRA2는 적응정보 생산을 위한 기후위험과 기회 평가를 목표로 시급성(urgency) 평가체계를 구축하고 55개 항목을 선정하여 항목별 우선순위를 파악함 ㅇ 2021년, CCRA3는 적응정보 생산을 위해 65개 항목에 대해 기후위험과 기회를 평가하고 적응형 관리를 시도하며, 위험 및 기회에 대한 기존 3단계 시급성 체계를 개선함 ㅇCCRA 위험평가와 관련한 영국 기후영향 프로그램(UKCIP: UK Climate Impacts Programme)의 적응 의사결정 과정은 ① 문제와 목적 설정 ② 의사결정 기준 정립 ③ 위험평가 ④ 대안 파악 ⑤ 대안 평가 ⑥ 정책 결정 ⑦ 정책 시행 ⑧ 모니터링 및 평가, 리뷰의 총 8단계 절차로 수행됨 ㅇ 위험평가 단계의 세부적인 평가 과정은 총 3개의 세부 수준(tier)으로 구분하여 진행되며, 리스크 선별(screening), 선택(selection), 취약성 평가를 거쳐 현재 리스크를 이해하고 미래 리스크에 대한 평가를 진행함 ㅇ 위험 스크리닝(tier1)은 노출 단위(exposure unit)의 현재 또는 미래 기후위험을 발생시킬 잠재적 요인들과 위험이 발생 가능한 잠재적 수용체들을 파악함 ㅇ 포괄적 정량 위험평가(tier2) 과정은 기후위험의 발생 가능성과 규모, 시급성 등을 전문가 조사를 통해 평가하여 관리대상 위험 항목을 줄이는 과정으로, 중요 위험이 선정되며 리스크 매트릭스를 작성함 ㅇ 정량 위험평가(tier3) 과정은 현재 리스크의 상태와 정부 정책의 적응 정도를 파악하고 미래 시나리오와 대안 선택에 따라 리스크의 중요성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평가함 ? 적응 시급성 평가 ㅇ 영국 CCRA는 국가 차원에서 적응대책 수립 시 3단계 시급성(urgency) 평가를 통해 리스크 항목의 우선순위를 파악함 ㅇ CCRA3의 기후위험(risk) 및 기회(opportunity)에 대한 3단계 시급성 평가체계에서 1단계는 현재와 미래의 위험 수준이 무엇인지 확인하는 단계로서 기후변화로 인해 현재와 미래의 사회경제적 위험과 기회가 무엇인지 파악함 ㅇ 2단계는 적응 옵션을 분석하여 위험과 기회를 어느 수준까지 관리할 것인지 파악하며 현재 적응정책을 분석하거나 자연 또는 민간 활동에 따른 잠재적 영향을 평가하고 적응장애요인도 함께 고려함 - 현재 시행 중이거나 계획된 적응정책에 따른 기후변화 위험과 기회를 줄일 수 있는 잠재적 편익을 평가함. 대부분 정성적 평가 방법을 사용하지만, 효과를 확인할 수 있는 자료가 있는 경우 정량 평가를 수행함 - 정부의 정책적 개입 이외에 자발적 또는 자연적인 영향을 고려하며, 적응정책과 자연적 영향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미래 위험 정도를 분석하고 적응 격차의 존재 이유를 식별함 ㅇ 3단계는 이전 평가 결과들을 종합하여 4단계로 분류하여 시급성 점수를 부여하고 적응강화가 필요한 위험을 도출함. 각 위험의 시급성과 기회요인에 대해 자세히 서술하고 분야별로 목록화하여 관리함 - 시급성 점수를 부여하기 전에 이용할 수 있는 추가 적응에 대해 식별하고 비용과 편익 분석을 통해 기후변화 완화와 시너지 효과를 확인함. 단계별 절차 완료 후 항목별 위험과 기회의 시급성 점수를 ① 추가 대응 필요, ② 추가 조사, ③ 현재 상태 유지, ④ 관찰의 4단계로 분류하여 관리함 Ⅲ. 기후변화에 따른 우리나라 기후변화 전망 1. 지구온난화 도달 시기와 우리나라 기후변화 ?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 전망 ㅇ IPCC 제6차 평가보고서의 CMIP6 GCM 모형 앙상블 평균을 살펴보면, SSP119는 1.4℃(1.0~1.8℃), SSP126은 1.8℃(1.3~2.4℃), SSP245는 2.7℃(2.1~3.5℃), SSP370는 3.6℃(2.8~4.6℃), SSP585는 4.4℃(3.3~5.7℃)까지 상승할 것으로 전망함 ㅇ 기상청 UKESM1 기후변화 전망 자료를 이용한 지구온난화 정도를 분석한 결과, 산업혁명 대비 +1.5℃ 온난화는 SSP126, SSP245, SSP585 시나리오에서 이미 2021년에 도달하고 SSP370 시나리오에서 2023년에 도달하는 것으로 나타남 ㅇ CMIP6 앙상블 평균기온 변화를 고려하여 영향평가를 위한 지구온난화 도달 시기를 살펴보면, +2℃는 2036년(2022~2051년, SSP126), +3℃는 2065년(2051~2080년, SSP245)이며, 감축 효과 분석을 위한 최대 온난화(BaU)는 +5.38℃(2070~2099년, SSP585)에 도달함 2. SSP 시나리오에 따른 기후변화 전망 비교 ? 지구온난화에 따른 우리나라 기온 및 강수량 변화 ㅇ +1.5℃ 지구온난화 시 우리나라의 평균기온이 전 지구보다 0.34℃(SSP370)~0.75℃(SSP585) 높음. 온난화가 진행될수록 격차가 커져 +2℃ 온난화 시 0.82℃(SSP245)~ 1.01℃(SSP370), +3℃ 온난화 시 1.08℃(SSP246)~1.42℃(SSP370)로 격차가 증가함 ㅇ 우리나라 강수량의 경우는 지구온난화와 선형적인 경향을 보이지 않으며 21세기 중반까지 감소하다 다시 증가함 ㅇ +2℃ 지구온난화(SSP126) 시 우리나라는 현재 대비 기온 2.2℃ 증가하고, 연 강수량은 ?3%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며, +3℃ 지구온난화(SSP246) 시 우리나라 기온은 3.4℃ 증가하고, 연 강수량은 7.2%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ㅇ 전 지구보다 우리나라의 온난화가 빠르게 진행되어 지구온난화가 진행될수록 우리나라와 전 지구 간의 기온 상승 격차가 커지므로 가능한 한 조속한 시기에 탄소중립을 달성하여야 우리나라의 온난화 피해 대응 가능성이 클 것으로 판단됨 Ⅳ. 지구온난화에 따른 우리나라 기후위험 전망 1. 지구온난화에 따른 부문별 위해성 전망 결과 ? 폭염 위해성 ㅇ 기상청 폭염주의보 초과일수는 현재(1985~2014년) 연평균 6일 정도이며, +2℃ 지구온난화 시기 29일(+23일)까지 증가, +3℃ 지구온난화 시기 47일(+41일)까지 증가하고, 21세기 말(BaU)에는 92일(+85일)까지 증가하여 5~15배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ㅇ 감축 노력을 통해 지구온난화를 +2℃와 +3℃로 억제할 경우, 각각 62일과 45일의 폭염 발생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됨 ㅇ 현재 대비 폭염 발생 증가가 가장 높은 지자체는 +2℃ 지구온난화 시기에는 대구(+31.2일)이며, +3℃ 지구온난화 시기에는 제주(+52.5일)와 대구(+52.5일)로 전망됨. 21세기 말(BaU)은 제주(+101.3일)가 대구(+96.6일)보다 폭염 증가가 높을 것으로 예측됨 ㅇ 감축 노력으로 폭염 발생 감소 효과가 가장 높은 지자체는 제주지역으로, BaU 대비 +2℃ 지구온난화 시기에 71.4일, +3℃ 지구온난화 시기에 48.8일 폭염 발생이 감소함 ? 에너지 수요 위해성 ㅇ 전국 평균 냉방도 일수는 현재(1985~2014년) 연평균 46일 정도이며 +2℃ 지구온난화 시기 79일(+33일)까지 증가, +3℃ 지구온난화 시기 98일(+52일)까지 증가하고 21세기 말(BaU)에는 141일(+95일)까지 증가하여 1.7~3배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ㅇ 감축 노력을 통해 지구온난화를 +2℃와 +3℃로 억제할 경우, 냉방도 일수를 각각 62일, 43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됨 ㅇ 현재 대비 냉방도 일수는 증가가 가장 큰 지자체는 +2℃ 지구온난화 시기에는 인천(+36.6일)이며, +3℃ 지구온난화 시기에는 울산(+56.5일)으로 전망됨. 21세기 말(BaU)은 제주(+104.2일), 부산(+104일), 울산(+102.1일) 등이 많이 증가할 것으로 예측됨 ㅇ 감축 노력으로 냉방도 일수 감소 효과가 가장 높은 지자체는 제주지역으로, BaU 대비 +2℃ 지구온난화 시기에 74.4일, +3℃ 지구온난화 시기에 53.1일 냉방도 일수가 감소함 ? 철도운영 악천후 위해성 ㅇ 철도운영 악천후 일수는 현재(1985~2014년) 연평균 182일 정도이며, +2℃ 지구온난화 시기에 196일(+14일)까지 증가, +3℃ 지구온난화 시기에 204일(+23일)까지 증가하고, 21세기 말(BaU)에는 226일(+44일)까지 증가하여 1.1~1.2배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ㅇ 감축 노력을 통해 지구온난화를 +2℃와 +3℃로 억제할 경우, 각각 30일과 21일의 철도운영 악천후 일수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됨 ㅇ 현재 대비 철도운영 악천후 일수 증가가 가장 높은 지자체는 +2℃ 지구온난화 시기에 부산(+34.6일)이며, +3℃ 지구온난화 시기는 제주(+56일)로 나타남. 21세기 말(BaU)은 제주(+108.4일), 부산(+94.4일), 울산(+71.1일) 등이 증가가 높을 것으로 예측됨 ㅇ 감축 노력으로 철도운영 악천후 일수 감소 효과가 가장 높은 지자체는 제주로 BaU 대비 +2℃ 지구온난화 시기에 74.6일, +3℃ 온난화 시기에 52.4일 철도운영 악천후 일수가 감소함 ? 농업가뭄 위해성 ㅇ 농업가뭄지수 심각 등급 이상 기간은 현재(1985~2014년) 연평균 0.4개월 정도이며, +2℃ 지구온난화 시기에 1.0개월(+0.6개월)까지 증가, +3℃ 지구온난화 시기에 0.8개월(+0.4개월)까지 증가하고 21세기 말(BaU)에는 1.6개월(+1.2개월)까지 증가하여 1.1~4.3배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ㅇ 감축 노력을 통해 지구온난화를 +2℃와 +3℃로 억제할 경우, 각각 0.6개월과 0.8개월의 가뭄기간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남 ㅇ 현재 대비 농업가뭄기간 증가가 가장 큰 지자체는 +2℃ 지구온난화 시기에 울산(+1.1개월)이며, +3℃ 지구온난화 시기에 전북(+0.9개월)으로 나타남. 21세기 말(BaU)은 대구(+2.1개월)의 가뭄기간 증가가 클 것으로 예측됨. ㅇ 감축 노력으로 가뭄 발생 감소 효과가 가장 높은 지자체는 대구지역으로 +2℃ 지구온난화 시기 BaU 대비 1.4개월, +3℃ 지구온난화 시기 1.7개월 가뭄기간이 감소함 ? 산불 위해성 ㅇ 전국 평균 산불위험 일수는 현재(1985~2014년) 연평균 3.6일 정도이며, +2℃ 지구온난화 시기에 7.7일(+4.1일)까지 증가, +3℃ 지구온난화 시기에 6.4일(+2.8일)까지 증가하고 21세기 말(BaU)에는 10.5일(+6.9일)까지 증가하여 1.8~2.9배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ㅇ 감축 노력을 통해 지구온난화를 +2℃와 +3℃로 억제할 경우, 각각 2.8일과 4.1일의 산불위험 일수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남 ㅇ 현재 대비 산불위험 일수의 증가가 가장 큰 지자체는, +2℃ 지구온난화 시기에는 부산(+5.2일)이며, +3℃ 지구온난화 시기에는 강원(+4.2일)으로 나타남. 21세기 말(BaU)은 강원(+9일), 부산(+8.5일), 인천(+8.3일), 경북(+8일), 대구(+8일) 등이 증가가 클 것으로 예측됨 ㅇ 감축 노력으로 산불위험 일수 감소 효과가 가장 높은 지자체는, +2℃ 지구온난화 시기 강원으로 BaU 대비 4.4일, +3℃ 지구온난화 시기에는 인천으로 BaU 대비 5.9일의 산불위험 일수가 감소함 ? 호우 위해성 ㅇ 전국 평균 호우일수는 현재(1985~2014년) 연평균 2.4일 정도이며, +2℃ 지구온난화 시기에 2.2일(-0.2일)로 감소하고, +3℃ 지구온난화 시기에 3.5일(+1.1일)까지 다시 증가하고, 21세기 말(BaU)에는 3.3일(+0.9일)까지 증가하여 0.9~1.6배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ㅇ 감축 노력을 통해 지구온난화를 +2℃와 +3℃로 억제할 경우, 호우일수 1.1일 감소와 0.2일 증가할 것으로 나타남 ㅇ 현재 대비 호우일수 증가가 가장 높은 지자체는 +2℃ 지구온난화 시기에는 제주(+0.4일)이며, +3℃ 지구온난화 시기에는 서울(+1.9일)로 나타남. 21세기 말(BaU)은 제주(+2.3일), 부산(+2일) 등이 높을 것으로 예측됨 ㅇ 감축 노력으로 호우일수 감소 효과가 가장 높은 지자체는 부산으로, +2℃와 +3℃ 지구온난화 시 각각 BaU 대비 2.3일, 1.3일의 호우일수가 감소함 2. 지구온난화에 따른 부문별 리스크 전망 결과 ? 폭염 리스크 ㅇ +2℃ 지구온난화 시 폭염 리스크가 전국적으로 현재 평균(0.11)보다 5.1배(0.56) 증가하고, +3℃ 온난화 시 8.3배(0.91) 증가, 21세기 말(BaU)은 16.1배(1.77)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ㅇ +2℃ 지구온난화 시 BaU 대비 폭염 리스크 감소 효과가 높은 지역은 서울, 경기, 제주 등이고, 현재 대비 리스크 증가가 큰 지역은 제주, 대구, 광주, 세종 등인 것으로 분석됨 ㅇ +3℃ 지구온난화 시 BaU 대비 폭염 리스크 감소 효과가 높은 지역은 서울, 경기, 제주 등이고, 현재 대비 리스크 증가가 큰 지역은 제주, 대구, 세종, 광주 등인 것으로 분석됨 ? 에너지 수요 리스크 ㅇ +2℃ 지구온난화 시 에너지 수요 리스크가 전국적으로 현재 평균(0.12)보다 1.7배(0.2) 증가하고, +3℃ 온난화 시 2.1배(0.25) 증가, 21세기 말(BaU)은 2.9배(0.35)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ㅇ +2℃ 지구온난화 시 BaU 대비 에너지 수요 리스크 감소 효과가 높은 지역은 제주, 서울, 경기 등이고, 현재 대비 리스크 증가가 큰 지역은 경기, 서울, 세종 등인 것으로 분석됨 ㅇ +3℃ 지구온난화 시 BaU 대비 에너지 수요 리스크 감소 효과가 높은 지역은 제주, 서울, 경기, 광주 등이고, 현재 대비 리스크 증가가 큰 지역은 서울, 경기, 제주, 세종, 광주 등인 것으로 분석됨 ? 철도운영 악천후 리스크 ㅇ +2℃ 지구온난화 시 철도운영 악천후 리스크가 전국적으로 현재 평균(0.24)보다 3배(0.73) 증가하고, +3℃ 온난화 시 3.2배(0.76) 증가, 21세기 말(BaU)은 3.5배(0.84)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ㅇ +2℃ 지구온난화 시 BaU 대비 철도운영 악천후 리스크 감소 효과가 높은 지역은 경북, 세종, 강원 등이고, 현재 대비 리스크 증가가 큰 지역은 경북, 세종 등인 것으로 분석됨 ㅇ +3℃ 지구온난화 시 BaU 대비 철도운영 악천후 리스크 감소 효과가 높은 지역은 경북, 세종, 강원, 광주 등이고, 현재 대비 리스크 증가가 큰 지역은 경북, 세종, 강원 등인 것으로 분석됨 ? 농업가뭄 리스크 ㅇ +2℃ 지구온난화 시 농업가뭄 리스크가 전국적으로 현재 평균(0.18)보다 3.1배(0.56) 증가하고, +3℃ 온난화 시 2.4배(0.45) 증가, 21세기 말(BaU)은 4.9배(0.89)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ㅇ +2℃ 지구온난화 시 BaU 대비 농업가뭄 리스크 감소 효과가 높은 지역은 충남, 전북, 제주, 세종, 경북 등이고, 현재 대비 리스크 증가가 큰 지역은 전북, 충남, 세종, 경남, 경북 등인 것으로 분석됨 ㅇ +3℃ 지구온난화 시 BaU 대비 농업가뭄 리스크 감소 효과가 높은 지역은 충남, 전북, 경북, 세종, 경기 등이고, 현재 대비 리스크 증가가 큰 지역은 전북, 충남, 세종, 경남 등인 것으로 분석됨 ? 산불 리스크 ㅇ +2℃ 지구온난화 시 산불 리스크가 전국적으로 현재 평균(0.32)보다 2.2배(0.69) 증가하고, +3℃ 온난화 시 1.9배(0.6) 증가, 21세기 말(BaU)은 3배(0.97)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ㅇ +2℃ 지구온난화 시 BaU 대비 산불 리스크 감소 효과가 높은 지역은 강원, 경북, 충북 등이고, 현재 대비 리스크 증가가 큰 지역은 강원, 경북, 충북, 울산 등인 것으로 분석됨 ㅇ +3℃ 지구온난화 시 BaU 대비 산불 리스크 감소 효과가 높은 지역은 강원, 경북, 충북 등이고, 현재 대비 리스크 증가가 큰 지역도 강원, 경북, 충북 등인 것으로 분석됨 ? 호우 리스크 ㅇ +2℃ 지구온난화 시 호우 리스크가 전국적으로 현재 평균(0.32)보다 0.8배(0.27) 감소하고, +3℃ 온난화 시 1.8배(0.57) 증가, 21세기 말(BaU)은 1.7배(0.53)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ㅇ +2℃ 지구온난화 시 BaU 대비 호우 리스크 감소 효과가 높은 지역은 부산, 제주, 인천, 울산, 경남 등이고, 현재 대비 리스크 증가가 큰 지역은 없음 ㅇ +3℃ 지구온난화 시 BaU 대비 호우 리스크 감소 효과가 높은 지역은 제주, 인천 등이고, 현재 대비 리스크 증가가 큰 지역은 서울, 경기, 제주, 강원 등인 것으로 분석됨 Ⅴ. 기후위험에 따른 부문별 적응대책 현황 ? 지자체 적응대책 현황 ㅇ 건강 부문의 대책이 전체의 25%(2,214개)를 차지하였으며, 산림생태계 부문(18%, 1,640개), 재난/재해 부문(17%, 1,525개), 농수산 부문(15%, 1,313개), 물관리 부문(13%, 1,155개)순으로 나타나 전체 대책의 88%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남 ㅇ 기후위험 유형별 대책 현황은 폭염 관련 대책이 48%, 폭우 관련 대책이 22%, 한파 관련 대책이 12%이며, 자연재해, 해수면 및 바람 10%, 가뭄 및 폭설 관련 대책이 각각 4%인 것으로 나타나 전체 대책의 절반이 폭염 관련 대책이며, 강풍, 해수면 상승 관련 대책이 상대적으로 미흡함 ㅇ 계층별 대책 현황은 노년층 및 만성질환자를 대상으로 한 적응대책이 많으며 특히 충청권은 노년층을 대상으로 한 사업 비율이 가장 높음 ? 기후위기 적응대책 특징 ㅇ 키워드 분석을 통한 토픽 모델링 결과, 전국적으로 산불 방지, 산림 방재 관련 대책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어서 농업, 미세먼지, 폭염/한파 등 대책 순서로 나타남 ㅇ 최근 코로나로 인한 감염병 관리 대책과 교육 및 홍보 관련 대책도 다수 나타나며, 산림과 도시 관련 대책이 많으며, 재해별 유형별로는 폭염, 한파, 홍수 등 다양한 재해에 대응하는 것으로 나타남 ㅇ 폭염 관련 대책은 451개(47%)로 가장 많으며, 폭우 관련 대책은 223개(23%)로 두 번째로 나타남. 한파 대책 108개(11%), 자연재해/해수면/바람 관련 대책 96개(10%), 폭설 관련 대책 51개(5%), 가뭄 관련 대책 35개(4%)순으로 나타남 ㅇ 폭염 관련 대책은 대부분 건강 부문에서 대응 중이며, 폭우는 재난/재해 부문과 물관리 부문, 가뭄은 물관리 부문과 농수산 부분, 한파는 건강 부문, 폭설은 재난/재해 부문, 자연재해/해수면/바람 관련 대책은 대부분 재난/재해 부문에서 대응 중임 Ⅵ. 결론 및 제언 ? 본 연구는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감축 정책의 기후 리스크 저감 효과와 지자체 적응 요구 수준을 정량적으로 진단하기 위한 기후위험평가를 시범 적용하였음 ㅇ 1차 연도 연구를 통해 지구온난화 수준과 속도에 따른 우리나라의 기후변화를 분석하고, 지구온난화 수준별 우리나라 기후위험을 부문별·지자체별로 예측한 자료를 제시함 ㅇ SSP 시나리오별 지구온난화 도달 시기를 제시하여 지구온난화 영향 및 위험평가 연구의 활성화에 기여 가능할 것으로 판단됨 ㅇ 지구온난화에 따른 광역지자체 부문별 리스크를 전망하고 또한 지자체 적응대책 현황과 특성을 분석하여 기후변화 위험과 연계한 과학적 대책 수립의 기반 마련에 기여 가능할 것으로 판단됨 ? 종합적인 적응전략 마련을 지원하기 위한 기후위험 및 적응 평가체계(안)를 제안함 ㅇ 적응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불확실성을 고려한 확률적 의사결정이 가능하도록 다양한 정책 대안 결정을 위한 신속(rapid) 위험평가와 정확하고 상세한 정보생산을 위한 상세(detailed) 평가의 계층적인 접근이 요구됨 ㅇ 지구온난화 영향평가를 위한 공통 기후 시나리오 DB 구축을 통해 기후 위해성 지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영향평가를 위한 기후정보 서비스 제공이 필요함 ㅇ 기존 시스템 및 자료를 연계 활용한 위험평가체계 개발을 통해 환경부의 MOTIVE와 VESTAP 등 기존 기후변화 영향 연구의 프로젝트 결과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함 ㅇ 과학적 영향 모델링 연구를 통한 상세(detailed) 위험평가는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모되므로, 각 부처에서 실시 중이거나 계획 중인 다양한 연구개발 사업에서 성과 공유를 위한 협의체를 구성하고 성과물 활용을 위한 표준화를 유도할 필요가 있음 ㅇ 기존 정책의 효과를 진단하기 위한 적응평가체계를 도입하여 부문별 기후변화 대응 부족을 파악하기 위한 시급성을 진단하고 기후위기 적응대책을 보완할 필요가 있음


Ⅰ. Introduction 1. Background and Purpose of the Research ? Background ㅇ If greenhouse gas emissions continue to increase, the global average temperature is expected to rise approximately 5.7°C by the end of the 21st century. High temperatures and heat waves will increase across East Asia, including in Korea, and extreme weather events, such as heavy rains and floods, will intensify and become more frequent. ㅇ Even if carbon neutrality is achieved, losses may still occur due to our limitations and nature’s ability to adapt to a global average temperature that is higher than at present. ㅇ Efforts are underway to identify the policy issues and causes of insufficient responses to the risks of climate change and to prepare a broad and comprehensive adaptation strategy. Thus, it is necessary to expand our knowledge of climate risk management and adaptation decision-making at the policy level. ㅇ Sufficient adaptation information is needed to determine the most effective adaptation options and for rational distribution of resources with a focus on the areas and sectors with the most urgent need. Therefore, scientific policy tools and information-sharing platforms must be established for this purpose. ? Purpose ㅇ This research aims to support climate risk management in the carbon neutrality era and the preparation of mid- to long-term adaptation strategies by developing a climate risk and adaptation assessment system to quickly evaluate risks and review adaptation measures. 2. Research Content and Scheme ? The research described here corresponds to the first year of the 3-year research plan. ㅇ Establishment of the climate risk and adaption assessment system consists of four steps: - Analysis of climate change in Korea and establishment of a scenario database - Development of an indicator-based model for rapid climate risk assessment in key areas - Development of an adaption urgency diagnosis system to evaluate the priorities and effects of adaptation options - Review of adaptation scenarios based on the carbon neutrality achievement level ㅇ The research plan for the first year(2022) includes collection of climate change scenario data, pre-processing of data, development of an analysis method, preparation of an indicator-based climate risk assessment framework and pilot evaluation, and analysis of the climate change adaptation status. Ⅱ. Climate Risk and Adaptation Assessment Framework ㅇ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the UK Climate Impacts Programme(UKCIP) in relation to Climate Change Risk Assessment(CCRA) consists of eight steps: 1) Setting problems and objectives, 2) establishing decision-making criteria, 3) risk assessment, 4) identifying alternatives, 5) evaluating alternatives, 6) policy decision, 7) policy implementation, and 8) monitoring, evaluation, and review. ㅇ To understand the current risks and evaluate future risks, the evaluation process in risk assessment is divided into three detailed levels or tiers and includes risk screening, selection, and vulnerability assessment. ㅇ When establishing adaptation measures at the national level, the UK CCRA prioritizes risk items using a three-step urgency assessment system. ㅇ In the three-step urgency assessment system of CCRA3, step 1 is to identify the current and future socioeconomic risks and opportunities due to climate change. ㅇ In step 2, adaptation options are analyzed to identify the extent to which the risks and opportunities can be managed, current adaptation policies are analyzed, potential impacts from natural or private activities are assessed, and adjustments to barrier factors are considered. ㅇ In step 3, the results of previous assessments are combined and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an urgency score is given, and risks requiring adaptation reinforcement are determined. The urgency and opportunity factors for each risk are described in detail and are listed and managed by category. Ⅲ. Climate Change Prospects in Korea ㅇ According to Coupled Model Intercomparison Project(CMIP) ensemble 6(CMIP6), the predicted date to reach a 2℃ increase is 2036(2022?2051, SSP126); a 3℃ increase is predicted to occur in 2065(2051?2080, SSP245), and maximum warming(5.38℃) in the analysis of reduction effects(BaU) would occur in 2070?2099(SSP585). ㅇ When the global average temperature increases 1.5℃, the temperature in Korea will be 0.34℃(SSP370) to 0.75℃(SSP585) higher than the average global temperature. As warming progresses, the gap widens, and the temperature in Korea will be 0.82℃(SSP245) to 1.01℃(SSP370) higher at 2℃ of warming and 1.08℃(SSP246) to 1.42℃(SSP370) higher at 3℃ of warming. ㅇ Under 2℃ global warming(SSP126), Korea is expected to have a 2.2℃ increase in temperature and a 3% decrease in annual participation compared to the present conditions; under 3℃ global warming(SSP246), the temperature in Korea is expected to increase by 3.4℃ with a 7.2% increase in annual precipitation. ㅇ Warming in Korea is progressing faster than global warming; as warming progresses, the gap between the temperature in Korea and the global temperature will widen. Korea will be more likely to respond to global warming damage if carbon neutrality is achieved soon. Ⅳ. Climate Risks in Korea due to Global Warming 1. Hazard forecast by sector ㅇ The current(1985?2014) average annual number of days with heat wave warnings issued by the Korean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is 6 days. This number is expected to increase to 29 days(+23 days) under 2℃ global warming and to 47 days(+41 days) under 3℃ global warming; it is expected to increase to 92 days(+85 days) by the end of the 21st century(BaU), for a 5?15-fold increase. ㅇ The current(1985?2014) average number of cooling days in Korea is 46 days per year. It is expected to increase to 79 days(+33 days) under 2℃ global warming and to 98 days(+52 days) under 3℃ global warming; it is expected to increase to 141 days(+95 days) by the end of the 21st century(BaU), for a 1.7?3-fold increase. ㅇ The current(1985?2014) average number of bad weather days that impact rail operations is 182 days per year. This number is expected to increase to 196 days(+14 days) under 2℃ global warming and to 204 days(+23 days) under 3℃ global warming; it is expected to increase to 226 days(+44 days) by the end of the 21st century(BaU), for a 1.1?1.2-fold increase. ㅇ The current(1985?2014) average period of severe agricultural drought is 0.38 months per year. This is expected to increase to 1.0 month(+0.64 months) under 2℃ global warming and to 0.8 months(+0.43 months) under 3℃ global warming; it is expected to increase to 1.6 months(+1.24 months) by the end of the 21st century(BaU), for a 1.1?4.3-fold increase. ㅇ The current(1985?2014) national average number of forest fire risk days is 3.6 days per year. This number is expected to increase to 7.7 days(+4.1 days) under 2℃ global warming and to 6.4 days(+2.8 days) under 3℃ global warming; it is expected to increase to 10.5 days(+6.9 days) by the end of the 21st century(BaU), for a 1.8?2.9-fold increase. ㅇ The current(1985?2014) national average number of heavy rain days in Korea is 2.4 days per year. The number is expected to decrease to 2.2 days(-0.2 days) under 2℃ global warming and to 3.5 days(+1.1 days) under 3℃ global warming; it is expected to increase to 3.3 days(+0.9 days) by the end of the 21st century(BaU), for a 0.9?1.6-fold increase. 2. Risk forecast due to global warming by sector ㅇ Under 2℃ global warming, the nationwide heat wave risk is expected to increase 5.1 times(0.56) compared to the current average(0.11); under 3℃ global warming, it is expected to increase 8.3 times(0.91), and by the end of the 21st century(BaU), it is expected to increase 16.1 times(1.77). ㅇ Under 2℃ global warming, nationwide energy demand is expected to increase 1.7 times(0.2) compared to the current average(0.12); under 3℃ global warming, energy demand is expected to increase 2.1 times(0.25), and at the end of the 21st century(BaU), it is expected to increase 2.9 times(0.35). ㅇ Under 2℃ global warming, the bad weather risk for railroad operation is expected to increase 3 times(0.73) compared to the current average(0.24); under 3℃ global warming, it is expected to increase 3.2 times(0.76), and at the end of the 21st century(BaU), it is expected to increase 3.5 times(0.84). ㅇ Under 2℃ global warming, the nationwide agricultural drought risk is expected to increase 3.1 times(0.56) compared to the current risk(0.18); under 3℃ global warming, it is expected to increase 2.4 times(0.45), and at the end of the 21st century(BaU), it is expected to increase 4.9 times(0.89). ㅇ Under 2℃ global warming, the nationwide forest fire risk is expected to increase 2.2 times(0.69) compared to the current risk(0.32); under 3℃ global warming, it is expected to increase 1.9 times(0.6), and at the end of the 21st century(BaU), it is expected to increase 3 times(0.97). ㅇ Under 2℃ global warming, the nationwide heavy rain risk is expected to increase 0.8 times(0.27) compared to the current average(0.27); under 3℃ global warming, it is expected to increase 1.8 times(0.57), and at the end of the 21st century(BaU), it is expected to increase 1.7 times(0.53). Ⅴ. Current Status of Adaptation Measures by Sector ㅇ Countermeasures in the health sector(2,214 measures) account for 25% of the total, followed by the forest ecosystem sector(18%, 1,640 measures), disaster sector(17%, 1,525 measures), agriculture and fisheries sector(15%, 1,313 measures), and water management sector(13%, 1,155 measures). Countermeasures in these sectors accounted for 88% of the total. ㅇ Analysis of countermeasures by climate risk type showed that 48% were heat wave-related measures, 22% were heavy rain-related measures, 12% cold wave-related measures, 10% were natural disasters and other-related measures, and 4% were drought and heavy snow-related measures Nearly half of the total measures were heat wave-related countermeasures; conversely, countermeasures related to strong winds and sea level rise were relatively insufficient. ㅇ Topic modeling through keyword analysis showed that countermeasures related to forest fire prevention and forest disaster prevention were the most numerous, followed by measures related to agriculture, fine dust, and heat/cold waves. ㅇ Countermeasures related to heat waves were the most numerous, with 450 measures(47%), followed by measures related to heavy rain, with 223(23%), cold wave measures(108, 11%), natural disasters/sea level/wind-related measures(96, 10%), heavy snow-related measures(51, 5%), and drought-related measures(35, 4%). ㅇ Most of the heat wave-related measures were in the health sector; those related to heavy rain were in the disaster sector; drought-related measures were in the water management and agriculture and fisheries sectors; cold wave-related measures were in the health sector; heavy snow-related measures in the disaster sector, and natural disaster/sea level/wind-related measures were mostly in the disaster sector. Ⅵ. Conclusions and Suggenstions ? This study conducted a pilot climate risk assessment to quantitatively diagnose the climate risk reduction effect of the reduction policy to achieve carbon neutrality and the level of local government adaptation requirements. ㅇ In the first-year study, Korea's climate change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global warming, and result of climate risk forecast for each sector and local government were provided ㅇ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of global warming impact and risk assessment research by presenting the global warming period for each SSP scenario ㅇ It contributes to the establishment of scientific countermeasures linked to climate risks by predicting the risks of local governments due to global warming and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local governments’ adaptation measures. ? A climate risk and adaptation assessment framework has been proposed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a comprehensive adaptation strategy. ㅇ Climate risk has been assessed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SSP scenario DB for impact assessment due to global warming, but it is necessary to provide climate information service for impact assessment ㅇ It is necessary to organize a consultative body to share the results of various R&D projects and to standardize the results for consistent use. ㅇ It is necessary to diagnose the urgency to identify the lack of response to climate change by sector through the introduction of an adaptation evaluation system to diagnose the effectiveness of existing policies and to supplement climate crisis adaptation measures.

Table Of Contents

요 약

제1장 서론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내용 및 추진 체계
3. 1차 연도 연구 내용

제2장 기후위험 및 적응 평가체계
1. 지구온난화 영향평가 사례
2. 기후변화 위험 및 적응 평가 방법

제3장 지구온난화에 따른 우리나라 기후변화 전망
1. 개요
2. 지구온난화 도달 시기와 우리나라 기후변화 전망
3. SSP 시나리오에 따른 기후변화 전망 비교

제4장 지구온난화에 따른 우리나라 기후위험 전망
1. 개요
2. 폭염 리스크 평가 결과
3. 에너지 수요 리스크 평가
4. 철도운영 악천후 리스크 평가 결과
5. 농업가뭄 리스크 평가 결과
6. 산불 리스크 평가 결과
7. 호우 리스크 평가 결과

제5장 기후위험에 따른 부문별 적응대책 현황
1. 개요
2. 기후위기 적응대책 수립 현황
3. 우리나라 기후위기 적응대책 특성

제6장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정책 제언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Climate Policy(기후환경정책연구)
Files in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