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적응 및 감축 중장기 연구방향

Title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적응 및 감축 중장기 연구방향
Authors
김용건
Co-Author
신지영; 신동원; 심창섭; 김윤정; 김용건; 문종우; 류소현; 나건수; 전자영; 한인성; 박찬; 이준이; 차동현; 정태성; 이병재; 김영재
Issue Date
2023-03-31
Publisher
한국환경연구원
Series/Report No.
정책보고서 : 2023-04
Page
220 p.
URI
https://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24034
Language
한국어
Keywords
IPCC, 기후변화, 적응, 감축, 기후변화 리스크, 기후변화 과학, IPCC, Climate Change, Adaptation, Mitigation, Climate Change Risk, Climate Science
Abstract
Ⅰ. Background and Aims of Research ? For successful mitigation and adaptation under climate change, it is important to analyze recent discussions regarding the IPCC framework. ㅇ The assessment report of IPCC serves as a basis for establishing national climate change policies and relevant actions. Therefore, sufficient discussion and analysis is required of the discussions and findings in the IPCC assessment report. ? In order to facilitate the participation and contribution of researchers to IPCC discussions, it is necessary to explore longer-term research agendas and global issues on climate change adaptation and mitigation. ㅇ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recent findings of the IPCC assessment report and find ways to enhance South Korea’s contribution to global climate change research. ?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uggest longer-term research agendas for each working group of the IPCC and identify the required research base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and mitigation. Ⅱ. Key Issues Regarding the Sixth Assessment Report of the IPCC 1. Key issues related to Working Group 1 ? The IPCC 6th Repor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R6’) further reduces uncertainty surrounding about climate scientific evidence by enhancing the scientific credibility of climate models. ? Following the release of AR6, climate science is focused on improving short-term prediction capabilities, providing regional climate prospects and information for complex disaster management (including predictions), enhancing understanding of uncertainty, and establishing governance for data utilization. 2. Key issues related to Working Group 2 ? AR6 systematically organized the concept of climate change risk for adaptation in connection with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It defines climate change risk as the potential for adverse impacts on humans or ecosystems ? AR6 also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adaptive decision-making based on risk assessment, the use of data-driven quantitative decision-making techniques, and the active involvement of stakeholders. ? The report integrates the concepts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thereby giving a concrete framework to the concept of climate resilient development pathways. It proposes an integrated approach that considers four fundamental elements: people, the planet, cooperation, and peace. 3. Key issues related to Working Group 3 ? Global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have been increasing continuously to date, and the current ambition level of the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s (NDCs) is insufficient to meet the 2-degree target. The need for rapid and deep GHG emissions reductions across all sectors is emphasized in order to meet the 1.5- and 2-degree targets. The report emphasizes that a significant reduction in GHG emissions can still be achieved at a low cost. ? In addition to implementing key sector-specific mitigation measures, demand-side responses across all sectors can contribute to significant emissions reductions in the near and medium term. The report highlights the essential role of carbon dioxide removal in achieving Net Zero emissions. ? An integrated approach, which considers the co-benefits and trade-offs among sectoral mitigation options, is emphasized. Additionally, the importance of policy, international cooperation, climate finance,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is highlighted in order to accelerate mitigation efforts. Ⅲ. National Situation Regarding Adaptation and Mitigation 1. Climate change projections ? The SSP1-2.6 scenario projects modest temperature increases in the second half of this century. ? The SSP5-8.5 scenario projects an average temperature increase of 7℃, which can cause catastrophic climate effects. 2. Monitoring climate change impacts ?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more integrated and regular monitoring system,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climate change risks and countermeasures identified by the IPCC. 3. National situations on climate change mitigation ? Domestic GHG concentrations are continuously increasing, and emissions are expected to increase from 727.6 million tons of CO2e in 2018 to 761.4 million tons of CO2e in 2050. ? To reduce greenhouse gases in Korea, effective policy measures tailored for each sector, a governance system that promotes overall societal cooperation, technological innovation for achieving carbon neutrality in the industrial sector, and integrated implementation management of all ministries are required. 4. Assessment of South Korea’s role in the IPCC ? In the AR6 Report, a total of 11 Koreans were selected as authors, which is twice the number compared to the six authors in the Fifth Assessment Report in 2014. However, they represent only around 1% of total 719 authors. ? There is a need for policy support to establish a stronger participation base through research papers and academic presentations for more active engagement and response to the IPCC, and to enable active participation in international climate change research. ? In particular, the upcoming Seventh Assessment Report is linked to major events such as the Global Stocktake (GST) in 2023 and 2028, as well as the 2030 NDCs. Therefore, active participation of Korean researchers is required. Ⅳ. Long-term Research Directions for Working Group 1 ? Within Working Group 1, there is a need to enhance research capabilities regarding climate change response and improve the production and utilization of climate projections and related information. ? The detailed research topics which require long-term responses within Working Group 1 are as follows: ㅇ Strengthening the ability to produce and analyze climate science and forecast information in the short term (within 20 years), focusing on East Asia, and the Korean Peninsula ㅇ Strengthening statistical and convergent analysis capabilities to promote advanced data production and reduce uncertainty ㅇ Strengthening the development and statistical processing capabilities of local climate models for regional climate prospects and disaster response, and strengthening governance capabilities for data provision and utilization ㅇPromoting effective projects that establish a link these fundamental scientific achievements and climate impact, as well as regional adaptation policy support advanced projects that connect science and policy at the regional level Ⅴ. Long-term Research Directions for Working Group 2 ?It is necessary to research effective adaptation measures, especially regarding the concepts on climate change risk, adaptation decision-making, and climate resilient development. ? The detailed research topics which require long-term responses within Working Group 2 are as follows: ㅇ Improving the domestic climate change impact monitoring and evaluation system on climate change impact ㅇConducting research to establish representative risks and adaptation decisions that incorporate the concept of risk as outlined in IPCC AR6 ㅇConducting research on the climate resilient development pathways that incorporate the concepts of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and nature-based solutions ㅇImproving the disaster response system and conducting research on future disaster response strategies Ⅵ. Long-term Research Directions for Working Group 3 ? In addition to the discussions on greenhouse gas reduction pathways, related investments, and finacne presented in the AR6 WG3 report,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on scenarios, modeling, and technologies with high uncertainties. ? The active participation of Korean researchers in IPCC research is important, and research on demand behabior and policy acceptability is needed. ? The detailed research topics which require long-term responses within Working Group 3 are as follows: ㅇConducting integrated analysis of the economic, social, and environmental effects of GHG emissions reduction policies ㅇFurther analyzing and studying new technologies that support reductions in the industrial, building, and transportation sectors ㅇConducting research on GHG emissions reduction policies based on collaboration and interaction among sectors ㅇAssessing the impacts of different policy transition speeds and pathways ㅇConducting research on energy demand aspects related to lifestyle and behavioral changes ㅇConducting policy research on the utilization of funds generated through carbon emissions trading or carbon taxes, as well as exploring strategies for a just transition Ⅴ. Conclusion and Suggestions ? In order to enhance South Korea’s contribution to international climate change research cooperation and improve its achievements in climate change research,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monitor global climate change research trends and discussions of IPCC. ? The research directions proposed in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strengthening South Korea’s role in addressing climate change and taking a leading position in international climate change research.


Ⅰ.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기후위기 대응은 전 지구적인 차원에서 실행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국제 기후변화 대응 협의체인 IPCC의 논의에 주목 필요 ㅇ IPCC 전 지구적 평가보고서는 각국의 기후위기 대응 정책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며, 우리나라 역시 IPCC의 전 지구적 평가보고서를 참조하여 적응 및 감축 정책을 수립, 이행 ? 전 지구적인 기후변화 적응 및 감축 방향을 설정하는 논의에 우리나라의 연구기관, 연구자가 활발히 참여, 기여하려면 우수한 과학적 사실에 기반한 선제적인 적응, 감축 정책 연구 필요 ㅇ IPCC 제6차 평가보고서의 분석, 관련 국내 현황의 점검을 통해 미래의 기후변화 전망과 감축·적응정책 방향 설정에 우리나라의 역할을 높일 수 있도록 필요한 연구 기반이 무엇인지 시급히 규명할 필요가 있음 ㅇ 곧 제7차 평가보고서의 작성을 위한 논의가 시작될 예정이며, AR7 저자단에 더 많은 국내 연구자가 참여하기 위해 필요한 연구 주제를 검토, 제시할 필요가 있음 ? 따라서 본 연구는 IPCC 제6차 평가보고서에서 제시된 연구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의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연구 기반과 추진 현황을 검토하고 전문가포럼 운영 등을 통해 중장기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함 ㅇ 성공적인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1) 기후변화 감시·전망, 2) 기후변화 영향, 적응 및 취약성, 3) 기후변화 완화 측면에서 국제적 연구성과 향상에 기여하고 우리나라 차원에서 대비가 필요한 중장기 연구방향을 도출하고자 함 Ⅱ. IPCC 제6차 평가보고서 주요 이슈 1. 기후변화 과학에 대한 과학적 진보 및 주요 이슈 ? IPCC 6차 보고서(이하 ‘AR6’로 표기)는 이전에 비해 기후모델의 점진적 발전과 함께 관측, 빅데이터 분석 능력이 더해져 기후변화의 원인과 통계적 판단의 역량을 발전시켜 기후과학적 증거에 대한 불확실성을 더욱 감소시켰음 ? AR6 이후 기후과학은 단기 예측 능력의 향상, 지역 차원의 기후 전망과 복합적 재난 관리를 위한 정보제공(예경보 포함), 불확실성의 이해 증진과 자료 활용에 대한 거버넌스 발전 등을 주요 목표로 하고 있음 2. 기후변화 리스크, 적응 의사결정, 기후탄력적 발전경로 관련 주요 이슈 ? AR6에서는 적응을 위한 기후변화 리스크의 개념을 지속가능한 발전목표와 연계하여 체계화하였으며, 기후변화 리스크를 인간 또는 생태계에 대한 부정적인 결과의 잠재성으로 정의. 리스크의 분석 시, 기후탄력적 발전과 지속가능한 발전목표를 고려하여 리스크 검토를 시행할 것을 강조 ? 리스크 기반의 적응 의사결정의 중요성과 함께, 데이터 기반의 정량적 의사결정 기법의 활용, 이해관계자 참여의 활성화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 ? 기후변화 적응과 지속가능한 발전의 개념을 통합하여 기후탄력적 발전경로 개념을 구체화하였으며, 사람, 지구, 협력관계, 평화의 네 가지 요소를 고려한 통합적 접근방식을 제안 3. 기후변화 완화 관련 주요 이슈 ? 온실가스 배출량은 지금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해왔으며, 현재의 NDC로는 파리협정서의 2℃ 온도상승 제한 목표 달성에도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전망 ㅇ 1.5℃ 및 2℃ 어떤 목표의 달성을 위해서도 모든 분야에 걸쳐 빠르고 심화된 감축이 필요할 것으로 강조하며 상대적으로 낮은 비용으로도 상당한 감축 잠재량이 있음을 강조 ? 주요 분야별 완화 방법과 함께 모든 분야에 걸쳐 단기 및 중기적인 감축을 가져올 수 있는 수요 측면의 대응을 강조하였으며, 넷제로 달성을 위해서는 CDR(이산화탄소 제거)의 활용이 필수적임 ? 분야별 완화 방법 간 공편익 및 상충효과를 고려한 통합적인 접근법을 강조하고, 완화를 촉진시키기 위한 정책, 국제협력, 기후금융, 기술혁신이 중요함 Ⅲ. 국내 현황 점검 1. AR6 기반한반도 지역 기후변화 전망 ? 국내 기후 전망에 따르면 낙관적인 SSP1-2.6 시나리오도 금세기 후반에 소폭의 기온 증가를 초래할 것으로 전망됨 ㅇ 가장 비관적인 SSP5-8.5 시나리오에서는 평균 약 7℃의 기온 상승이 전망되어, 재앙적인 기후 영향이 우려됨 ㅇ 기온 상승 폭은(최저기온 포함) 중부 내륙이 클 것으로 예상되며, 극한 강수는 수도권과 남부 해안에서 극심해질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전망됨 ㅇ 태풍은 빈도보다 강도가 점차 강해지고 있으며, 해수온 상승 등 기후변화의 직접적인 원인이 있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고, 향후 태풍의 강도 강화에 따른 피해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적 판단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됨 2. 국내 기후변화 영향, 취약성 모니터링 대응 동향 및 시사점 ? 기상청, 농촌진흥청, 문화재청, 산림청, 질병관리청, 해양수산부, 환경부 등 정부부처 및 관계기관의 기후변화 영향 모니터링 시행현황을 점검하였으며, IPCC의 기후변화 리스크, 대응 부문을 고려하여 보다 통합적, 정기적 차원으로 부처별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하고, 각 부처의 DB구축 현황점검을 수행할 필요가 있음 3. 국내 온실가스 감축 전망과 정책 동향 ? 국내 온실가스 농도는 지속적으로 증가율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배출량은 2018년 727.6백만톤CO2e에서 2050년 761.4백만톤CO2e로 증가될 것으로 전망 ? 파리협정 체결을 계기로 모든 국가에 온실가스 감축의무가 부여되며, 국제적 압력 속에서 2050 탄소중립 선언 이후 탄소중립 제도적 기반을 마련 ㅇ 국제사회 일원으로서 2050년 탄소중립 목표 설정 및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상향하고, ?탄소중립기본법? 제정 등 이행기반 마련 ㅇ 다년간의 정책 추진에도 정책 수단의 구체성 및 이행관리가 미흡하고, 사회구성원의 참여와 정책 일관성 부족으로 배출량은 2018년까지 상승하였고, 국제사회의 압박 등은 지속되는 상황임 ? 국내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서는 부문별 효율적인 정책 수단 설계, 사회 전체 협력을 유도하는 거버넌스 체계, 기술혁신을 통한 산업부문의 탄소중립 추진, 범부처 통합 이행관리 등이 필요 4. IPCC 내 한국의 역할 점검 결과 ? AR6 보고서의 경우 우리나라 전문가는 총 11명이 선정되어 2014년 발간된 제5차 보고서의 6명보다 2배 증가하였으나 전체 719명의 저자 수 중 1% 수준에 불과 ㅇ 보다 적극적인 IPCC 대응 활동과 참여를 위해 논문과 학술발표를 통한 참여 기반을 마련하고 국제적인 기후변화 연구에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적 지원이 필요함 ㅇ 특히 다음 7차 평가보고서는 2023년, 2028년의 전 지구적 이행점검(GST)과 2030 NDC까지 주요한 일정들과 연결되어 있어 국내 연구진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 Ⅳ. WG1 중장기 연구방향 ? WG1 차원에서 기후 대응 연구 역량을 강화하고 기후 전망과 관련 정보의 생산과 활용 능력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함 ? 국제사회에 기여하기 위한 선도적 연구가 요구되며 아래와 같은 차원에서 중점적 연구가 필요함 ㅇ 단기적(20년 이내), 동아시아 및 한반도 차원의 기후과학 및 전망 정보 생산 및 분석 역량 강화 ㅇ 고도화된 자료 생산 및 불확실성 감소를 위한 통계적, 융합적 분석 능력 강화 ㅇ 지역 차원의 기후 전망 및 재난 대응을 위한 지역 기후모형의 발전 및 통계 처리 능력 강화와 자료 제공과 활용을 위한 거버넌스 능력 강화 ㅇ 이러한 기초 과학적 성과를 기후 영향과 지역 차원의 적응정책 지원으로 연계되는 실효적인 사업의 추진이 필요함 Ⅴ. WG2 중장기 연구방향 ? IPCC 제6차 평가보고서에 제기된 내용 및 국내 현황의 분석 결과, 기후변화 적응을 위해 특히 ‘고도화된 기후변화 리스크의 개념, 적응 의사결정, 기후탄력적 발전경로’에 대한 정책, 적응 조치 연구가 필요하다는 결론 도출 ? 중장기 대응이 필요한 WG2 실무그룹의 세부 연구 주제는 다음과 같음 ㅇ 기후변화 영향에 대한 국내 기후변화 영향 모니터링, 평가체계의 개선 ㅇ IPCC AR6의 리스크 개념을 반영한 대표 리스크 설정 및 적응 의사결정 연구 ㅇ 지속가능발전목표, 자연기반해법 등 개념을 반영한 기후탄력적 발전경로 연구 ㅇ 재난 대응체계 개선 및 미래형 재난에 대한 대응 연구 Ⅵ. WG3 중장기 연구방향 ? AR6 WG3 보고서에서 제시한 온실가스 감축 이행경로 및 관련 투자와 금융에 대한 논의와 더불어 시나리오 및 모델링 연구의 중요성과 불확실성이 큰 기술에 대한 연구 필요 ? 우리나라 연구자의 적극적인 IPCC 연구 참여가 중요함이 지적되었고 수요 행태에 대한 연구 및 정책적 수용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 ? 중장기 대응이 필요한 WG3 실무그룹의 세부 연구 주제는 다음과 같음 ㅇ 온실가스 감축 정책의 경제·사회·환경적 효과에 대한 통합적인 분석 ㅇ 산업, 건물, 수송 분야에 대한 연구 및 감축의 기반이 되는 새로운 기술에 대한 추가적인 분석과 연구 ㅇ 다양한 부문의 연계와 상호작용을 통한 온실가스 감축 정책 연구 ㅇ 정책의 전환 속도와 경로에 따른 영향 분석 ㅇ 생활양식, 행동 변화에 관한 에너지 수요 측면의 연구 ㅇ 탄소배출권 또는 탄소세 도입을 통해 마련된 재원 활용과 정의로운 전환에 대한 정책 연구 Ⅴ. 결론 ? 국제 기후변화 연구협력에 대한 기여도를 높이고, 우리나라의 기후변화 연구성과 향상을 위해 지속적으로 IPCC 평가보고서 관련 논의에 주목하고 중장기 대응이 필요한 연구 주제를 실무그룹별로 검토, 제시할 필요가 있음 ? 본 연구에서 도출한 ‘미래 기후변화 감축 및 적응 부문에서 대응이 필요한 연구부문, 대응과제, 관련 분석 결과’가 우리나라의 기후변화 대응에 적극성 향상, 국제 기후변화 연구 선도 및 기여도 상승에 기여하길 기대함

Table Of Contents

요 약

제1장 서론

제2장 IPCC 제6차 평가보고서의 주요 이슈
1. 기후변화 과학에 대한 과학적 진보 및 주요 이슈
2. 기후변화 리스크, 적응 의사결정, 기후탄력적 발전경로 관련 주요 이슈
3. 기후변화 완화 관련 주요 이슈

제3장 국내 현황 점검
1. AR6 기반한반도 지역 기후변화 전망
2. 국내 기관의 기후변화 영향, 취약성 모니터링 현황 및 시사점
3. 국내 온실가스 배출 전망과 감축 정책동향
4. IPCC 내 한국의 역할 현황 및 시사점

제4장 WG1 중장기 연구방향
1. 전문가 참여 포럼(K-IPCC 포럼) 운영 결과
2. 기후 감시·예측·전망 분야 최근 국제 연구 동향
3. 중장기 연구방향 및 세부 주제

제5장 WG2 중장기 연구방향
1. 전문가 참여 포럼(K-IPCC 포럼) 운영 결과
2. 중장기 연구방향 및 세부 주제

제6장 WG3 중장기 연구방향
1. 전문가 참여 포럼(K-IPCC 포럼) 운영 결과
2. 중장기 연구방향 및 세부 주제

제7장 결론
1. 중장기 연구방향 제언
2. 적응 및 감축 연구 기반 강화를 위한 제언

참고문헌

부 록
Ⅰ. K-IPCC 포럼 운영 회의록

Executive Summary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Policy Study(정책보고서)
Files in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