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 정책연구(II)

Title
탄소중립 정책연구(II)
Authors
이상엽
Co-Author
김남일; 김선영; 김자인; 류소현; 문보람; 박근영; 박상우; 박성남; 서대석; 이근대; 이상원; 이세진; 이재윤; 임태민; 임형우; 정은미; 정학균; 최형식
Issue Date
2023-06-30
Publisher
경제·인문사회연구회
Series/Report No.
경제ㆍ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총서 : 23-31-01
Page
387 p.
URI
https://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24070
Keywords
탄소시장, 전력시장, 재생에너지시장, 배출권거래시장, 교통·에너지·환경세, NDC 이행평가, 탄소중립 이행점검, Carbon market, power market, renewable energy market, emission trading market, transportation·energy·environmental taxes, NDC implementation evaluation, Carbon neutrality stocktaking
Abstract
2021년 6월 발족된 경제·인문사회연구회의 「NRC 탄소중립연구단」은 국가 탄소중립 구현을 위한 사회적 공론화 및 정책제안, 정책효과 분석, 정책 이행평가 분석을 목적으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1차년도(‘21~’22년)에서는 탄소중립을 위한 국내 부문 별 현안, 정책방향, 대안을 제시하였다. 금번 2차 년도(‘22~’23년)의 주요 연구 주제와 목적은 다음 두 가지로 구성된다. 첫째, 탄소중립 구현을 위한 근본적 국가과제로서, 에너지·탄소시장의 정상화 및 활성화 방안 연구이다. 주요 부문별·부문간 시장 활성화 요인 분석 및 혁신 추진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둘째, 중장기 연구단 역할을 고려한 기초기획 연구로써 탄소중립 정책 이행평가 분석이다. 연구목적은 향후 국가 탄소중립 정책 이행에 따른 모니터링·평가·개선방안을 연구단 차원에서 대비하는 것이다. 전력시장의 안정화와 활성화를 위한 핵심 개선 사항은 도소매 시장의 연계 강화, 재생발전 확대에 부합되는 전력거래제도 강화이다. 정부의 추진 의지가 반영된 관련 법안 및 계획 수립 등의 제도적 개선이 과제이다. 배출권거래제시장은 시장 안정화를 위해 주요한 운영방식(배출허용총량 결정방식, 무상할당방식, 간접배출 관리방식, 외부사업 허용 비중 등)의 개선이 요구된다. 이와 더불어 유상할당 비율을 높이는 로드맵 마련도 중요하다. 교통·에너지·환경세는 현 한시적 목적세 성격의 불안정과 유종 간 자원배분의 비효율성을 극복하는 것이 과제이다. 한편, 친환경차 보급 확대에 따라 예상되는 현 세수의 감소 문제를 대비해야 한다. 건축물시장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국내 부동산 시장 내에서 녹색건축물 확산을 위한 근본적인 제도적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 동시에 친환경 건축물 공급을 위한 자재·설비 시장, 대규모 연계망을 위한 스마트그리드 시장의 대안 마련도 중요하다. 농업·농촌 분야의 탄소시장 활성화를 위해서는 배출권거래제도의 외부사업 허용 운영방안과의 연계, 저탄소농산물의 인증절차 개선 등 제도적 개선이 필요하다. 동시에 감축사업 기술적용, 친환경 농산물 소비 증대, 참여 농가의 인센티브 강화 등 경제적, 기술적 대안도 요구된다. 부문 간 시장 연계 문제도 중요하다. 전력시장 제도 개선 중 환경급전과 석탄발전 상한제약과 관련된 선도시장 도입은 배출권시장내 화력발전의 할당방식 결정 시 고려되어야 할 요소이다. 이와 같은 문제는 국내 배출권시장의 유상할당 확대 과제와도 연관된다. 배출권거래제와 재생에너지 가격입찰제도, 실시간시장, 보조서비스시장 등 전력시장제도 개선과의 상호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는 정책적 연계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현 교통·에너지·환경세가 모든 차량의 주행거리 기반 인프라세와 내연차 대상의 에너지·환경세 개념으로 전환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향후 에너지·환경세의 세율과 배출권거래제의 탄소가격 수준 비교 분석 및 사회적 수용성 과정을 통해 궁극적인 교통·에너지·환경세 개편안이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최종수요 부문인 건축물시장과 농업·농촌시장의 활성화는 전력시장의 전력구매계약과 수요반 제도와 밀접히 연관되어 있다. 건축물 시장의 재생에너지 관리시스템(건축물간 에너지 거래, 녹색건축물 잉여전력 저장·판매 시스템 등), 농업·농촌시장의 영농형 태양광 기술 보급은 전력시장 가격입찰제의 다양한 보조서비스 시장의 활성화 조건과 비례해 확대될 수 있다. 또한 건축물시장과 농업·농촌시장의 활성화는 배출권거래제의 시장 활성화 수단 중 하나인 외부사업 인중 개선의 제도적 구비와도 연관된다. 건축물 간 배출권거래, 농업 기술개발 촉진, 메탄 등 비에너지 분야의 사업화 전략 등이 대표적 연관 사례이다. 한편, 탄소시장 활성화에 따른 산업부문의 영향 및 대응정책 마련이 중요하다. 적기 투자 지원을 통한 저탄소제품 공급기반 확충과 성장동력화, 난감축산업 한계돌파형 기술·공정의 기술개발과 상용화를 위한 국가 차원의 대비, 저탄소제품 기술개발과 시장 창출을 위한 제도 개발 및 활용 등에 관한 대비가 특히 요구된다. 향후 NDC 및 탄소중립 이행평가를 중요한 개선 과제는 첫째, 배출량 전망에 기반한 미래 감축 목표 달성 여부에 대한 평가이다. EU, 미국, 독일, 영국 등과 같이 배출량 전망 자료를 바탕으로 NDC 목표 달성을 위한 정책 수준 점검 및 개선 사항을 지속 발굴해야 한다. 둘째, 부문별 개별 정책 수단에 대한 종합적 평가 개선 및 NDC 달성을 위한 개선안 마련 제시이다. 예를 들어, 재생에너지, 전기차, CCUS, 그린리모델링 등의 주요 감축 수단 보급에 대해서 현재 이행 수준 점검 뿐만 아니라, 관련 시장 및 비시장정책의 엄격성 및 적절성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가 필요하다. 셋째, 비시장정책 수단 뿐만 아니라 시장정책 수단에 초점을 둔 엄격성 평가이다. 배출권거래제 시장의 가격 뿐 아니라 실효 탄소가격 수준에 대한 국제 비교 및 NDC 달성을 위한 가격 시그널 제시에 대한 점검이 중요하다.


The "NRC Carbon Neutrality Research Team" of the Economic and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Research Society, established in June 2021, conducts research with the aim of promoting social discourse, policy proposals for achieving national carbon neutrality, policy impact analysis, and policy implementation evaluation. In the first year ('21-'22), the research team presented current issues, policy directions, and alternatives for each sector in achieving carbon neutrality. The main research themes and objectives for the second year ('22-'23) are composed of the following two aspects. First, as a fundamental national task for implementing carbon neutrality, it involves research on the normalization and activation of the energy and carbon markets. It aims to analyze the factors for activating each sector and inter-sector markets and propose innovative approaches. Second, as a pilot research considering the role of a medium- to long-term research team, it focuses on policy implementation evaluation of NDC and carbon neutrality. The research objective is to prepare the research team to monitor, evaluate, and improve the implementation of national carbon neutrality policies in the future. Key improvements for stabilizing and activating the electricity market include strengthening the linkages in the wholesale and retail markets and enhancing the electricity trading system that aligns with the expansion of renewable energy generation. Institutional improvements, such as relevant legislation and planning reflecting the government's initiative, are necessary tasks. In the emissions trading market, improvements in key operating methods (such as emission allowances, free allocation method, indirect emission management, and the proportion of offsets projects allowed) are required for market stabilization. Additionally, developing a roadmap to increase the proportion of auctioned allowances is crucial. The challenge in the transportation· energy·environmental taxes lies in overcoming the instability and inefficiency in the allocation of resources between different types of fuels. Measures need to be taken to address the expected decrease in current tax revenues due to the expansion of eco-friendly vehicle adoption. To stimulate the green building marke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fundamental institutional alternatives for promoting green building practices within the domestic real estate market. Moreover, it is important to develop alternatives for the supply of materials and equipment for eco-friendly buildings and the establishment of a large-scale smart grid network. In the agricultural sectors, activating the carbon market requires institutional improvements, such as linking with offset projects in the emissions trading system and improving certification procedures for low-carbon agricultural products. Additionally, economic and technological alternatives, such as the application of emission reduction technologies and increasing the consumption of eco-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as well as enhancing incentives for participating farmers, are also necessary. Inter-sector carbon market linkage is also significant. When improving the electricity market system, the introduction of a leading market related to environmental emergencies and coal-fired power generation constraints should be considered in determining the allocation method for thermal power generation in the emissions trading market. Such issues are also related to the task of expanding the allocation of auctioned allowances in the domestic emissions trading market. Policy coordination that maximizes the synergy effects between the emissions trading system, renewable energy price bidding system, real-time market, and ancillary services market is crucial.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to transform the current transportation·energy·environmental taxes into infrastructure-based fees based on the distance traveled by all vehicles and the concept of energy·environmental taxes for internal combustion vehicle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tax rates for energy and environmental taxes and carbon prices in the emissions trading system, as well as the social acceptability process, it is expected that comprehensive reforms for transportation·energy·environmental taxes can be developed. The activation of the green building and agricultural markets, which are final demand sectors, is closely related to the power purchase agreement and demand response mechanisms in the electricity market. Renewable energy management systems in the building market, such as inter-building energy trading and green building surplus power storage·sales systems, can expand in proportion to the activation of various ancillary service markets under the electricity market price bidding system. Additionally, the activation of the building market and the agricultural market are also related to the institutional provision of external offset project incentives, which is one of the means to activate the emission trading market. Inter-building emission trading, promotion of agricultural technology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strategies in non-energy sectors like methane are representative cases of these interrelations. Furthermore,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impact of carbon markets on industrial sectors and establish corresponding response measures. Measures such as supporting timely investments to expand low-carbon product supply infrastructure and promoting growth, national-level preparations for breakthrough technologies and processes in emission reduction industries, and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institutional frameworks for low-carbon product technology development and market creation are particularly demanded. In the future, conducting NDC(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s) and carbon neutrality stocktaking will be important improvement tasks. Firstly, it involves evaluating the achievement of future reduction targets based on emission projections. Continuous examination and identification of policy-level checks and improvement areas for achieving NDC goals should be carried out based on emission projection data. Secondly, it requires comprehensive evaluations and improvement proposals for individual policy measures in each sector and for achieving NDC goals. For example, it is necessary to not only assess the current level of implementation for major reduction measures such as renewable energy, electric vehicles, CCUS(Carbon Capture, Utilization, and Storage), and green remodeling but also comprehensively evaluate the rigor and appropriateness of related market and non-market policies. Thirdly, it involves stringency evaluations focusing not only on non-market policy measures but also on market-based policy measures. It is important to examine not only the price of the emission trading market but also the net effective carbon price level through international comparisons and provide price signals for achieving NDC goals.

Table Of Contents

1부 탄소시장 활성화 연구

01 탄소시장 분석 개요 및 범위
1. 탄소시장 분류 및 탄소가격 체계
2. 탄소시장 사례 분석: 재생에너지 확산 지원 정책
3. 본 연구 분석 범위

02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부문 별 탄소시장 개선요인 분석
제1절 전력·재생에너지 시장
1. 새정부 에너지정책 방향
2.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시장정상화 개선요인
3. 재생에너지 현황
4. 국내 재생에너지 보급 문제점과 향후 방향
5. 기후·에너지 정책 연계를 고려한 시장 정상화 상호 관계 분석
6. 시장 정상화 효과 분석

제2절 배출권거래 시장
1. 분석개요
2. 분석결과
3. 향후 분석모델 고도화 방안

제3절 세제 및 보조금시장(교통·에너지·환경세 개편)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연구 범위 및 방법
3. 교통·에너지·환경세 개념 및 쟁점
4. 국내외 주행거리 기반 과세체계 사례
5. 교통·에너지·환경세 개편 방향 및 대안 분석
6. 대안 분석

제4절 건축물 시장
1. 녹색건축물 시장 활성화 개선 요인 분석
2. 녹색건축물 시장 활성화 방안

제5절 농업·농촌 시장
1. 서론
2. 탄소중립 관련 시장 현황
3. 탄소중립 관련 시장 저해요인 분석

제6절 산업 활성화와 산업정책
1. 서론
2. 탄소중립 추진에 따른 산업부문 영향 및 전망
3. 주요국의 탈탄소·저탄소 시장 활성화 정책 현황

03 탄소중립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언
1. 전력·재생에너지 시장 안정화·활성화
2. 배출권 거래시장 안정화·활성화
3. 교통·에너지·환경세 개편
4. 건축물시장 활성화
5. 농업·농촌시장 활성화
6. 산업부문 정책 추진 과제

2부 탄소중립 정책 이행평가 구축방안 연구

01 탄소중립 정책 이행평가 현황 및 향후 중점과제
제1절 국내외 탄소중립 정책 이행평가 보고서 분석
1. 국외 이행평가 보고서
2. 국내 이행평가 보고서

제2절 정책 이행평가를 위한 향후 중점 고려사항
1. 향후 중점 분석 고려사항
2. NRC 연구기관의 향후 역할: 분석방법론 고도화

02 탄소중립 정책효과 분석을 위한 통합 모델링 구축방안
제1절 탄소중립 정책분석 방법론
1. 모형 방법론
2. 국내외 모형 활용 연구 현황

제2절 탄소중립연구단 모형 활용 고도화 방안

요약 및 결론

제1절 탄소시장 개선요인 및 부문 간 연계
제2절 이행평가 중점 과제 및 향후 대응방향

참고문헌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ETC
Files in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