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 정책연구

Title
탄소중립 정책연구
Authors
이상엽
Co-Author
김남일; 김연중; 김용건; 문진영; 박수진; 신서경; 예충열; 오상봉; 우청원; 윤여창; 임형우; 정은미; 정은혜; 정재현; 채수미; 최형식; 허한결
Issue Date
2022-05-31
Publisher
경제·인문사회연구회
Series/Report No.
경제ㆍ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총서 : 22-40-01
Page
839 p.
URI
https://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24071
Keywords
사회 대전환, 에너지 전환, 정의로운 전환, 산업구조 개편, 기술개발 및 확산, 탄소가격체계, Great social transformation, energy transition, just transition, industrial restructuring, technology development and diffusion, carbon pricing system
Abstract
경제인문사회연구회의 「NRC 탄소중립연구단」 출범을 계기로 기획된 본 연구의 목적은 탄소중립 정책과제 및 이행방안을 발굴·지원하는 것으로서 탄소중립 구현을 위한 통합·연계 관점의 정책 제안을 포함한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은 부문별 현안, 대전환 관점의 기반구축 정책 대안, 주요 실천적 이행방안이다. 본 연구에서는 주요 현안으로 정의로운 전환을 위한 노동시장 영향에 대비하는 문제, 개별 건물을 뛰어넘는 탄소중립 도시를 구현하는 문제, 전기요금 정상화 문제, 탄소가격체계를 정립하는 문제, 2030 NDC의 성공적 이행을 위한 사회적 논의를 활성화하는 문제로 정리하였다. 기반점검 및 구축 관점의 정책과제들은 재생에너지의 안정적 계통 통합(전력계통의 운영기준 재정립, 통합에너지 시스템 구축을 위한 섹터커플링), 전력시장 운영체계 및 구조개선(전력 도·소매시장 개편), 에너지 가격체계 및 전기요금 개편(총괄원가체계의 단계적 전환, 독립 규제기관 운영), 에너지세제 및 탄소세 정비(비과세·감면제도 정비), 산업재편(온실가스 난감축 산업의 탄소중립 로드맵 밀착 추진, 탄소중립 산업전환을 위한 특별법 제정), 기술개발 및 혁신(독립적·전문적 R&D 거버넌스 마련, 조기 상용화 기술개발 실증 지원체계 마련) 분야로 제시하였다. 실천적 관점의 이행 정책들은 다음과 같은 8개 분야로 구분해 분석되었다. 정의로운 탄소중립 전환을 위한 거버넌스 구축(발전산업 거버넌스 우선 구축), 세수 활용방안 마련(사회적 수용성을 고려한 단계적 탄소세 도입), 친환경 모빌리티 전환(친환경 모빌리티 전환을 위한 기반구축, 친환경 보조금 지원과 재원 확보), 탄소중립 도시·건축 조성(저탄소 건축물 확대를 위한 인센티브 지원 확대, 건축물 공간정보 빅데이터 기반 D.N.A 생태계 확산), 사회안전망 확충(보건분야 사례; 국민건강보장체계를 통한 지원), 해양분야(탄소중립 섬 리빙랩 조성 및 확대), 농업분야(농업환경지불 프로그램 도입, 저탄소농업 지원사업 개선), 국제협력(해외 온실가스 감축사업 활성화, 다양한 차원의 국제협력 추진과 개도국 지원) 등이다. 마지막으로 통합 거버넌스 구축(정책·부처 간 연계)과 성공적 대전환 모델 확산(지역화 모델 개발 및 확산) 관점에서 거버넌스 체계의 구축과 이행을 위한 정책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hich was planned with the launch of the 「NRC Carbon Neutrality Research Group」 of the National Research Council, is to discover and support carbon neutral policy tasks and implementation plans, including policy proposals from the perspective of integration and linkage for the realization of carbon neutrality. The main contents of this study are current issues by sector, policy alternatives to build a found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great transformation, and major practical implementation plans. In this study, the main issues are summarized; the problem of preparing for the impact of the labor market for a just transition, the problem of realizing a carbon-neutral city that goes beyond individual buildings, the problem of normalization of electricity rates, the problem of establishing a carbon price system, and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2030 NDC. Policy tasks from the perspective of infrastructure inspection and construction were presented; stable system 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reestablishment of operating standards for electric power system, sector coupling to establish an integrated energy system), improvement of electric power market operating system and structure(reorganization of electric power wholesale/retail market), energy price system and electricity price reform(step-by-step conversion of the overall cost system, independent regulatory agency operation), energy tax and carbon tax reform(revision of non-taxation/reduction exemption system), industrial reorganization (closely promoting a carbon-neutral roadmap in the greenhouse gas reduction industry, carbon neutral special act for industrial transition), technology development and innovation(independent & professional R&D governance, provision of early commercialization technology development demonstration support system). Implementation policies from a practical point of view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the following eight areas. establishing governance for a just carbon-neutral transition (establishing priority for governance in the power generation industry), preparing measures to utilize tax revenue (introducing a carbon tax in stages in consideration of social acceptability), transitioning to eco-friendly mobility(establishing a foundation for the transition to eco-friendly mobility, supporting eco-friendly subsidies and securing financial resources) , creation of carbon-neutral cit-ies and buildings(increasing incentive support for the expansion of low-carbon buildings, expansion of Data-Network-AI ecosystem based on spatial information big data of buildings), expansion of social safety networks(examples in health sector; support through the national health security system), maritime sector(carbon-neutral island living lab creation and expansion), agricultural sector(introduction of agricultural environment payment program, improvement of low-carbon agriculture support project), international cooperation(activation of overseas greenhouse gas reduction projects, promotion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at various levels and support for developing countries). Lastly, policy directions for the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governance system were presented from the perspective of establishing integrated governance(inter connection among the policies and ministries) and spreading a successful great transformation model (development and diffusion of localization models).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론
제1절 서론

제2장 국내외 기후변화 대응 중장기 전략 분석
제1절 국제 분석
제2절 국내 분석

제3장 국내 부문별 세부 쟁점 및 대응방향
제1절 전환부문
제2절 산업부문
제3절 수송부문
제4절 건물부문
제5절 농업부문
제6절 수산 및 해양부문
제7절 폐기물 부문

제4장 탄소중립 구현방안: 기반 점검 및 구축 분야
제1절 재생에너지 확대
제2절 에너지가격, 전력시장제도
제3절 에너지세제, 탄소세
제4절 바람직한 산업재편 방향
제5절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과학기술정책 방향

제5장 탄소중립 구현방안: 실천적 이행방안
제1절 정의로운 전환을 위한 거버넌스 구축방안
제2절 보건분야 사회안전망 확충방안
제3절 친환경 모빌리티 전환을 위한 정책방향
제4절 탄소세 도입의 주요 쟁점: 세수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제5절 탄소중립 리빙랩 모델 개발

제6장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ETC
Files in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