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세안 스마트시티 네트워크(ASCN) 시범사업 연구 3 : 환경·수자원사업

Title
아세안 스마트시티 네트워크(ASCN) 시범사업 연구 3 : 환경·수자원사업
Authors
이병국
Co-Author
김익재; 류재나; 이소라; 조을생; 이희선; 서일교; 이유진; 이상은; 이정찬; 김경필; 김성수; 김성훈; 서인석; 권혁동 ; 안기용
Issue Date
2019-12-31
Publisher
경제·인문사회연구회
Series/Report No.
경제ㆍ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총서 : 19-33-01
Page
235 p.
URI
https://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24121
Keywords
아세안, 스마트시티, 스마트도시법, 친환경, 환경, 수자원, ACSN, asean, smart components, environment and water management, smart city, SCAP
Abstract
abstract ASEAN Smart Cities Network (ASCN) was established by the ASEAN Leaders in March 2018, and its framework was adopted at the 33rd ASEAN Summit in November 2018. The Korean government which has announced the New Southern Policy to cooperate with the ASEAN nations in November 2017 stated its intention to engage in ASCN, and the ASEAN welcomed the statement. The launch of ASCN led to a growing competition among nations to enter the smart city market in Southeast Asia. Consequently, the Korean government needs to establish strategies to promote Korea’s development experience in smart cities and identify opportunities for cooperation opportunities with ASEAN nations. Therefore, this research aims at finding new projects in which Korea could cooperate with ASCN and developing strategies for cooperation on these projects. Literature review and field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and analyze Smart City Action Plans(SCAPs) of ASCN. Potential cooperation projects took shape by comparing SCAPs to Korea’s development experience. There are more than 200 definitions of smart cities. In Korea, smart cities were defined by the ?Act on the Promotion of Smart City Development and Industry?. According to the Act, smart city is a “sustainable city wherein various city services are provided based on city infrastructure constructed by converging and integrating construction technologie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 etc. to enhance its competitiveness and livability.” World Bank states that there are two directions toward smart cities. One heads for a ‘technology-intensive city’ where the efficiency of public service is maximized by smart technologies such as real-time sensors. The other heads for a ‘city with available technology’ where citizen’s feedback is given to improv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itizens and the government. Smart city is a ‘platform’ where urban infrastructure is integrated, in which the environment and water management are major elements of smart cities. Considering the definitions of smart cities, “smart cities are green, and green cities are smart.” Smart components in the environment and water management protect and enhance basic human rights. This research refers to the ?Guideline on Ubiquitous City Technology?, which defines infrastructure as two levels: physical level, such as drainage, water supply and sewage system, and service level, such as solid waste and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Most of ASCN countries need to be equipped with physical level first in order to adopt service level infrastructure. Each city has different priorities in the approach to applying smart technologies to the environment and water sector depending on its level of socioeconomic development. However, the city would have to adopt all physical and service level technologies to be a green sustainable city. With smart technologies, ASCN could achieve the ASEAN Smart Cities Framework (ASCF) as well as the SDGs, especially SDG 6, SDG 9, SDG 11, SDG 13, SDG 15 and SDG 17. According to SCAP, there are 12 environment and water projects from 11 cities in seven countries. These projects include technical and financial support for water resources management, wastewater treatment, solid waste management, flood prevention and wetland restoration. The interests of the ASCN cities seem to be diverse, but ASEAN aims at improving quality of life by adopting climate change and seeking solutions for urban problems such as population growth and environmental pollution. Korean government’s ODA documents, such as CPS and KSP, as well as MDBs’ partnership documents, such as World Bank’s CPF and ADB’s CPS, were examined. Investigation on ASCN from Korean embassies to countries in ASEAN was also reviewed Except for Brunei Darussalam and Malaysia, the Korean government and the MDBs have strategic plans for cooperation with the ASCN countries on environment and water sector.


국문요약 2018년 3월 싱가포르 주도로 ASCN 추진 계획 발표 이후 2018년 11월 아세안 정상회의에서 ASCN이 공식 출범하였다. 2017년 11월 아세안 국가들과의 협력을 위한 신남방정책을 공식 천명한 우리나라는 ASCN에 적극 참여 의사를 밝혔고, ASCN에서는 이를 환영하였다. ASCN 출범에 따라 신남방 스마트시티 시장 진출을 위한 국가별 경쟁이 확대되면서 각 분야에서의 구체적인 사업 발굴이 필요해졌다. 이에 따라 아세안 정상회의 등 최고 의사 결정 경로를 통한 협력을 확대하고 사업 기회를 확보하여 한국형 스마트시티 경험 전수와 단계적인 해외 진출 전략이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아세안 국가의 경제성장으로 관심이 높아지는 환경·수자원 분야 스마트시티 시장 진출 확대를 위한 후보 사업 발굴과 진출 전략 마련을 목적으로 한다. 문헌과 현지 전문가 조사를 통해 환경·수자원 분야 ASCN 사업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과 제안 배경 등을 알아보고, 우리나라의 경험을 통해 사업 성격을 분석하며 대상지 출장을 통해 협력 사업의 기본 구상을 그리고 사업 내용을 구체화하였다. 전 세계적으로 스마트시티에 대한 정의는 200여개로, 우리나라의 경우 ?스마트도시법?을 통해 스마트 시티를 “도시의 경쟁력과 삶의 질의 향상을 위하여 건설ㆍ정보통신기술 등을 융·복합하여 건설된 도시기반시설을 바탕으로 다양한 도시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속가능한 도시”로 정의한다. 한편 세계은행은 스마트시티의 방향을 두 가지로 정의하는데, 하나는 공공 서비스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실시간 센서 등의 ‘최첨단 기술이 무장된 도시’이며, 다른 하나는 시민과 정부의 관계를 개선하기 위해 시민의 피드백을 바탕으로 한 ‘가용 기술을 활용하는 도시’이다. 스마트시티는 ‘도시 플랫폼’으로써 도시 인프라가 융·복합하는 장으로, 환경·수자원은 스마트시티의 한 구성요소로써 스마트시티의 정의에 비추어볼 때 결국 “스마트시티는 친환경적이고, 친환경도시는 스마트시티”라 할 수 있다. 스마트시티 중 환경·수자원 분야는 시민들의 삶과 행위 중에서도 제일 근원이 되는 기본적 생존권과 생활권을 보호하고 증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연구에서는 ?유비쿼터스도시기술 가이드라인?을 참고하여 환경·수자원 분야 기술을 물리 계층인 '홍수·배수 인프라 구축'과 '상·하수도 인프라 구축'으로 정의하고, 나머지를 서비스 계층으로 정의하여 접근하였다. ASCN에 속한 신남방 국가들은 대부분 아직 하드웨어 구축이 먼저 필요한 단계에 있으며, 물리 계층인 하드웨어 구축이 완성되어야만 그 다음 단계인 서비스 계층 기술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스마트시티에 적용할 수 있는 환경·수자원 분야의 기술은 도시의 사회·경제적 성장 정도에 따라 각 구분의 우위는 달라질 수 있으나 지속 가능한 친환경 녹색 도시를 이룩하기 위해서는 모든 구분 요소를 만족해야 한다. 이러한 기술 적용을 통해 ASCN은 ASCF뿐만 아니라 SDG 6, SDG 9, SDG 11, SDG 13, SDG 15, SDG 17 등의 달성에 기여할 수 있다. ASCN에서 환경·수자원 분야 협력 사업은 7개국 11개시 12개 사업으로 수자원 관리, 상수, 하수 처리, 폐기물, 홍수, 하천 수질, 습지 복원 등에 대한 제도 마련, 마스터 플랜과 시스템 구축 등과 같은 기술과 투자 지원을 요청하였다. 이와 같이 12개 사업이 요청하는 세부 분야는 다양하지만 환경·수자원 분야 스마트 시티 사업을 통해 아세안은 공통적으로 인구 증가로 인한 환경 오염 등의 도시 문제를 해결하고 기후 변화로 인한 홍수 등의 자연 재해에 대응하여 시민의 삶의 질을 향상하고자 하는 목표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우리나라 ODA 사업 자료와 CPS, 한국개발연구원 KSP, 세계은행 CPF, ADB CPS 등의 문헌 조사와 아세안 주재 공관의 현지 조사를 통해 ASCN 환경·수자원 분야 해당 7개국의 협력 환경을 조사하였고, OECD 분류에 의해 개발도상국이 아닌 브루나이와 말레이시아를 제외하고는 우리나라, 세계은행, ADB에서 환경 분야의 국가 협력 문서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수원 도시의 협력 의지, 다른 국가와의 사업 협력 여부, 호혜성이라는 선정 기준에 따라 ASCN 환경·수자원 분야 12개 사업 중 말레이시아 코타키나발루시 물 관리 인프라 구축 사업, 라오스 비엔티안시 배수 시설 설치 사업, 캄보디아 바탐방시 배수 시스템 구축 사업, 미얀마 만달레이시 폐기물 관리 시스템 구축 사업을 협력 사업으로 선정하였고 후보 사업의 개발 여건 분석에 따른 기본 구상(안)을 수립하였다. 또한 개략 사업비와 재무적 타당성 검토, 협력 대상국과 우리나라의 경제적 기대 효과 도출을 통해 후보 사업 수행을 위한 재원 조달 방식과 사업 구조를 논하였다.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론
제1절 배경 및 목적
1. 연구 배경
2. 연구 필요성
3. 연구 목적
제2절 주요 내용 및 연구 방법
1. 주요 내용
2. 연구 방법
3. 선행 연구 현황 및 선행 연구와 본 연구의 차별성

제2장 환경·수자원 분야 후보 사업 검토
제1절 환경·수자원 분야 사업 유형 정립
1. 환경·수자원 분야 스마트시티 사업 모델
가. 스마트시티의 정의
나. 스마트시티의 구성 요소로써 환경·수자원의 역할
다. 환경·수자원 분야의 스마트시티 기술 적용
라. 국내의 환경·수자원 분야 스마트시티 사례
2. 해외 유사 사례 및 주변국 추진 동향
제2절 환경·수자원 분야 후보 사업 검토
1. ASCN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분석
가. 브루나이 반다르스리브가완 브루나이강 수질 복원
나. 캄보디아 바탐방 쓰레기/하수 관리
다. 캄보디아 시엠레아프 쓰레기/하수 관리
라. 라오스 루앙프라방 고대 습지 복원
마. 라오스 비엔티안 배수 시설 설치
바. 말레이시아 조호르바루 수자원 관리 마스터 플랜 수립
사. 말레이시아 코타키나발루 통합 쓰레기 처리
아. 말레이시아 쿠칭 홍수 관리/대응 시스템
자. 미얀마 만달레이 쓰레기/하수 처리
차. 태국 촌부리 쓰레기 발전 설비(열 병합 발전소) 건설
카. 베트남 다낭 물 관리 시스템 구축
2. 대상 지역별 기본 환경 분석
가. 브루나이
나. 캄보디아
다. 라오스
라. 말레이시아
마. 미얀마
바. 태국
사. 베트남
3. 사업 추진 여건 평가 및 후보 사업 선정

제3장 사업 기본 구상(안) 수립 및 지원 전략
제1절 사업 기본 구상(안) 수립
1. 후보사업 개발 여건 분석
가. 말레이시아 코타키나발루 물 관리 인프라 구축
나. 라오스 비엔티안시 배수 시스템 구축
다. 미얀마 만달레이 폐기물 관리 시스템 구축
라. 캄보디아 바탐방시 배수 시스템 구축
2. 개발 콘셉트 및 기본구상(안)
가. 말레이시아 코타키나발루 물 관리 인프라 구축
나. 라오스 비엔티안시 배수 시스템 구축
다. 미얀마 만달레이 폐기물 관리 시스템 구축
제2절 사업별 지원 전략
1. 말레이시아 코타키나발루 물 관리 인프라 구축
가. 개략 사업비 및 재무적 타당성 검토
나. 대상 국가 및 한국의 경제적 기대 효과
다. 재원 조달 방식 및 사업 구조
2. 라오스 비엔티안시 배수 시스템 구축
가. 개략 사업비 및 재무적 타당성 검토
나. 대상 국가 및 한국의 경제적 기대 효과
다. 재원 조달 방식 및 사업 구조
3. 미얀마 만달레이 폐기물 관리 시스템 구축
가. 개략 사업비 및 재무적 타당성 검토
나. 대상 국가 및 한국의 경제적 기대 효과
다. 재원 조달 방식 및 사업 구조

제4장 결론
참고문헌
부록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ETC
Files in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