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수 정화시장 활성화를 위한 오염 지하수 정화체계 개선 연구

Title
지하수 정화시장 활성화를 위한 오염 지하수 정화체계 개선 연구
Authors
이정호
Co-Author
황상일; 현윤정
Issue Date
2018-01-31
Publisher
환경부
Page
106 p.
URI
https://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24124
Language
한국어
Abstract
I. 연구 개요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지하수 수자원의 개발 및 이용시 발생할 수 있는 지하수 오염의 정화는 법-제도적으로 보장되어 있음 ○ 국내 지하수 수자원의 관리 및 오염지하수 정화에 대한 최상위 법률인「지하수법」의 제16조의2 및 제16조의3에는 지하수오염유발시설에서 비롯된 지하수 오염 발생시 정화작업 등 필요한 조치를 하도록 규정됨 ○ 지하수 오염이 발생하였을 경우, 오염 원인자 부담 원칙에 따라 오염유발시설관리자에게 오염물질 제거, 오염지하수 정화 등을 하도록 하여 지하수 수질의 보전 및 유지가 가능하도록 법-제도적 기반이 마련됨 □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염지하수의 정화의 법적 이행 사례는 극히 미미한데, 이는 관련 법-제도의 민-관 이행을 위한 세부 규정 부재가 주요 원인임 ○ 현행 지하수법 및 하위 시행령, 시행규칙 등 관련 규정에 정화 범위, 방법, 관리-감독 및 모니터링 등 명확한 정화체계가 부재한 바, 오염지하수에 대한 오염방지조치 이행이 전무하여 오염이 방치되어 있는 실정 ○ 특히, 오염지하수 정밀조사 방법, 오염물질 및 오염원인, 정화 및 확산조치 방법 등에 대한 절차와 조치명령의 이행확인에 관한 절차 등 부재 □ 본 과업은 민-관 친화적이고 효율성 높은 오염지하수 정화를 제도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목적으로 진행됨 ○ 현행 법-제도 체계에 근거한 오염지하수 정화 평가 및 이행 상세 체계를 확립, 정화 이행률 제고와 지하수 수질보전을 도모하고, 정체되어 있는 지하수 정화시장의 활성화에 일조 - 현행 오염지하수 정화 관련 규정과 타 법률과의 유사 규정 비교를 통해 제도 운용상의 문제점 분석 실시 - 오염지하수 수질보전 및 지하수오염유발시설에 의한 지하수 오염 정화를 실질적으로 이행할 수 있는 행정명령 및 정화 체계를 지침 형식으로 개선 - 정화조치 이행 종료 후 검증체계 신설을 포함한 오염지하수 정화의 전주기 관리 체계 수립 - 현행 오염지하수 정화체계 개선에 대한 이해당사자 의견 수렴을 위한 토론회 실시 2. 연구 내용 및 방법 본 연구의 목적인‘지하수 정화업 및 정화 시장 활성화 도모’를 위해 다음과 같은 내용 및 방법에 따라 연구를 진행하였음 가. 연구 내용 □ 오염지하수 정화 관련 법-제도 운용 및 기술 적용 현황 분석 ○ 현행 지하수법, 관련 규정 등 제도 운영상의 문제점 분석 - 오염원인자 확인, 오염원인자 주도 정밀조사 및 정화조치 명령 관련 규정 및 행정규칙 등 제반 문제점 분석 - 토양정화체계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 타법 사례 비교 검토 ○ 기 개발 지하수 정화 기술 현황 분석 - 환경부 보유 오염지하수 정화 기술의 활용 현황 분석 - 기 개발 기술의 시장성, 적용 미비 원인 및 토양정화시장과의 비교 분석 □ 오염지하수 정화에 대한 제도적 이행체계 구축 ○ 오염지하수의 수질보전을 위한 행정조치 명령체계 구축 방향 마련 - 지하수오염유발시설 정화조치명령(법 제16조) 및 동 시설의 오염방지 조치명령(법 제16조의2) 등에 대한 행정명령체계 분석 - 오염지하수 정화명령체계 개선방안 및 외국사례 검토 ○ 법정 지하수오염유발시설의 실질적 정화체계 마련 - 정화조치를 위한 세부규정* 및 절차** 등 현행 법규상 환경부장관에게 위임된 권한을 최대한 활용하여 고시·훈령·지침 등 규정 마련 * 오염지하수 정밀조사 방법, 지하수 정화방법, 오염지하수 관리방법, 자연정화대상 등 ** 정밀조사 명령, 정화조치 명령, 정화사업 시행기간, 이행확인 방법 및 정화검증 절차 등 □ 지하수 정화시장 활성화를 위한 지하수법 및 관련 규정 개선방향 제시○ 정화 주체 친화적 정밀조사, 정화조치 및 정화검증 등 세부규정 제공 ○ 지하수 정화업 활성화를 위한 민간 토론회(또는 포럼) 실시 ○ 오염지하수 정화체계의 전주기(life cycle) 관리체계 수립 - 오염지하수 정화검증(과정·완료), 정화완료지역의 사후관리체계 등 나. 연구 방법 □ 오염지하수 정화 관련 현황 자료 수집 및 분석 ○ 관련 법-제도 및 규정 관련 자료 수집 및 분석 - 지하수법 및 동법 시행령, 시행 규칙 및 수질 규칙 등 분석 - 소관 부처별 지하수 정화 관련 행정규칙 및 업무 수행 지침 분석 ○ 오염지하수 정화 수행 사례 분석 - 법 시행 이후 지금까지 오염지하수 정화 사례 및 결과 분석 - 환경부 R&D를 통한 오염지하수 정화 기술 개발 및 현업 활용 현황 분석 ○ 시사점 및 문제점 도출 - 기존 제도 및 규정의 명확성 및 이행 효율성 여부 및 미비점 분석 □ 오염지하수 정화에 대한 제도적 이행체계 구축 ○ 오염지하수 정화 조치 명령 개선 방향 수립 - 행정명령에 대한 국내-외 사례 비교 토양 정화 체계와의 비교 분석 실시 - 조치 명령의 이행 제고를 위한 개선 방향 수립 - 중복 절차 통합, 간소화 및 기존 자료 활용 ○ 오염지하수 정화체계 개선 방향 수립 - ‘조사 → 평가 → 정화 → 사후관리’를 기본 틀로 하는 오염지하수 정화 업무처리지침 개선 방향 마련 - 오염 범위에 따른 적정 정화 방법 pool 제공 등 시행자 위주의 지침 개선 방향 마련 □ 지하수 정화시장 활성화를 위한 지하수법 및 관련 규정 개선방향 제시 ○ 오염지하수 정화 관련 법-제도 개선안 - 원인자, 공무원, 시행자, 감독관 등 담당자간 명확한 업무 및 명령체계 구축 및 명문화 ○ 오염지하수 정화체계 개선안 - 개선된 업무지침 마련 : 조사, 평가, 정화, 사후관리 각 단계별 업무 흐름도 및 구체적 절차 제공

Table Of Contents

I. 연구 개요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 내용 및 방법
가. 연구 내용
나. 연구 방법

II. 오염 지하수 정화 관련 법-제도 현황
1. 법-제도 현황
가. 지하수법, 시행령, 시행규칙 및 행정규칙 분석
나. 토양환경보전법과의 비교 분석
2. 오염 지하수 정화 기술 및 적용 현황
가. 국내 지하수 정화시장 규모 분석
나. 지하수법 시행 이후 오염 지하수 정화 사례 분석

III. 오염 지하수 정화의 제도적 이행 체계 구축
1. 오염 지하수 정화 행정명령 체계 분석
가. 지하수법에 의한 오염 지하수 정화 행정명령 체계
나. 토양환경보전법에 의한 오염 토양 정화 행정명령 체계
2. 지하수오염유발시설의 실질적 정화체계 구축
가. 오염 지하수 정밀조사 방법 및 절차 개선
나. 지하수 정화방법의 정의
다. 지하수오염평가보고서 작성 규정 개정
라. 오염 지하수 관리 등 정화 절차의 전반적 개선

IV. 지하수 정화시장 활성화를 위한 제도 및 규정 개선 방향
1. 지하수 수질보전 등에 관한 규칙 개정(안) : 지하수 정화 부문
가. 개정 목적
나. 주요 개정 사항 : 정화 관련 부분
다. 주요 개정 방향
라. 주요 개정 내용
2. 오염 지하수 정밀조사 항목 및 방법(안)
3. 오염 지하수 정화방법(안)
4. 지하수오염평가보고서 작성 규정(안)
가. 위해성평가
나. 오염범위 평가
다. 개선방안 종합검토

V. 참고문헌

[부 록 1] 매립시설 현황

[부 록 2] 지하수오염평가보고서의 작성방법 개선(안)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ETC
Files in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