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염매체통합관리를 위한 유해화학물질의 다매체 환경기준 설정에 관한 연구

Title
오염매체통합관리를 위한 유해화학물질의 다매체 환경기준 설정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다매체 거동모델의 활용을 중심으로
Authors
신용승
Co-Author
이동수; 박정규; 구현정
Issue Date
2004-12-31
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Series/Report No.
연구보고서 : 2004-06
Page
xi, 148p.
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151
Language
한국어
Abstract
Basically, the environment comprises multi-media including air, water and soil and so on. More numerous hazardous chemicals are increasingly emitted into the environment from various emission sources, which gives more complexity and difficulty in resolving the environmental problem. Since hazardous chemicals behave interactively in the multi-media environment by being transferred and/or partitioned from one medium to another, it requires so-called 'multi-media approach' to assess their fate in the environment and develop appropriate polity measures. Medium-specific environmental management of hazardous chemicals may result in the failure of environmental policies. Currently 'integrated environmental management' has become a new paradigm for the management of hazardous chemicals in many countries. Compared with other countries, Korea has less number of environmental quality criteria set up for the hazardous chemicals. Those existing criteria have rarely scientifically-defendable basis because they were not set by the results of risk assessment for the target chemicals. Furthermore, with respect to the purpose of integrated management, the existing criteria have never been examined for their consistency between them which are individually set up for each medium. In this study, 'coherence test' of medium-specific environmental quality objectives for the target chemical of benzo(a)pyrene was performed using EDCSeoul which is a multimedia fate model developed for the Seoul area in Korea. The results of coherence test showed a conclusion that the environmental criteria individually set up for each medium may result in inconsistency with others.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multi-media environmental quality criteria, the followings were suggested; (1) environmental quality criteria for the priority chemicals need to be developed on the basis of risk assessment with multimedia approach, which criteria should be not only scientifically defendable but also socially and economically sound, (2) future efforts should be exerted on the development of various policy measures for emission control, monitoring strategy, and organizational rearrangement within the government for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hazardous chemicals, (3) technological development projects were also suggested such as monitoring database, risk assessment technologies, and decision support system using the multimedia models. In oder to generalize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which were drawn from the results performed for a single chemical of benzo(a)pyrene, it is required to give more efforts for developing a multimedia fate model which is versatile for various chemicals with less uncertainty.

Table Of Contents

서 언
국 문 요 약

제1장.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내용 및 체계

제2장. 통합환경관리의 개념 및 필요성
1. 통합환경관리의 개념
가. 통합환경관리(IEM)
나. 통합오염관리(IPPC)
다. 통합오염관리를 위한 방법론
라. 다매체 통합환경관리
2. 유해화학물질의 다매체거동특성과 매체통합관리의 필요성
3. 선진국의 매체통합관리 현황
가. 영국
나. 미국
다. 스웨덴
라. 일본
마. 네덜란드
4. 시사점

제3장. 매체통합관리를 위한 환경기준 설정현황
1. 환경기준의 정의 및 설정절차
가. 환경기준의 정의
나. 환경기준설정시 고려요인
다. 환경기준 설정절차
2. 국내외 환경기준 설정현황
가. 국내외 매체별 환경기준 설정현황
나. 각국별 환경기준의 특징
3. 우리나라 환경기준설정의 문제점
가. 매체별 환경기준의 문제점
나. 통합환경관리측면에서의 문제점

제4장. 다매체거동모델의 개발 및 활용현황
1. 다매체 거동모델의 정의 및 활용성
2. 다매체 거동모델의 종류 및 구성요소
가. 다매체거동모델의 종류
나. 다매체 거동모델의 구성요소
3. 외국의 다매체 거동모델 개발 및 활용 현황
가. 네덜란드
나. 미국
다. 캐나다
라. 기타 국가
4. 국내의 다매체거동모델 개발 및 활용 현황
가. POPsME
나. EDCSeoul
다. ECO2 fate model

제5장. 국내 다매체거동모델을 이용한 매체별 환경기준의 타당성검토
1. 대상물질 및 다매체거동모델의 선정
가. 대상 물질의 선정
나. 다매체거동모델의 선정
2. EDCSeoul 모델의 개요
가. 모형의 대상지역
나. 대상 환경매질
다. 모형에 포함된 거동기작
라. 모형의 자료처리 구조
3. 모형입력자료 및 기초자료 수집
가. 벤조(a)피렌의 물리ㆍ화학적 특성
나. 대상 지역 토지이용도
다. 기상자료
라. 배출량 추정 자료
4. 모델링 결과
가. 일관성 평가 (coherence test) 를 위한 다매체 거동 모형의 적절성 검토
나. 매체별 환경기준의 일관성 평가 (Coherence Test )
다. 벤조(a)피렌의 다매체 농도분포 특성과 매체간 상대농도(C-ratio)
5. 시사점

제6장. 유해화학물질의 다매체환경기준 설정을 위한 향후과제
1. 다매체환경기준설정을 위한 기본방향 설정
2. 유해화학물질의 다매체환경기준 설정절차(안)
3. 다매체환경기준설정을 위한 향후과제
가. 정책적 과제
나. 기술적 과제

제7장. 결론 및 제언

참 고 문 헌
외국의 주요 다매체거동모델의 구조 및 특징
Abstract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Research Report(연구보고서)
Files in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