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12-31 | 탄소고정을 위한 토지이용모델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 | 안소은 |
2014-09-30 | 탄소라벨링 브랜드 충성도를 결정하는 요인 : 가치태도행동 모형의 적용 | 김광석; 박경원; 박기완 |
2011-06-30 | 탄소배출권 가격변동성의 가설검정 - ECX와 CCX를 중심으로 | 노상환 |
2013-12-31 | 탄소배출권의 최적 헤지 비율과 시간변동성에 관한 연구: EU ETS의 EUA와 CER을 중심으로 | 박순철; 조용성 |
2019-06-30 | 탄소배출정보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 이기세; 전성일 |
2010-10-21 | 탄소생산성과 경제적 성과의 인과성에 관한 실증연구 | 육근효 |
2011-12-31 | 탄소세 도입 및 에너지세제 개편방안 연구 | 강만옥 |
2013-09-30 | 탄소세 도입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 분석 | 조경엽; 김영덕 |
2011-12-31 | 탄소세와 배출권거래제 연계를 통한 효율적 기후변화 대응 방안 | 신상철 |
2021-07-31 | 탄소중립 시나리오 작성 및 이행점검체계 구축을 위한 기획 연구 | 이창훈 |
2022-08-15 | 탄소중립 시대 한국 배출권거래제(K-ETS)의 과제 및 정책 방향 | 이상엽; 임형우; 신동원; 류소현 |
2021-12-31 | 탄소중립 시대에 대응하는 미래 공공하수처리시설 역할 재정립 방향 연구 | 조을생 |
2022-05-31 | 탄소중립 이행을 위한 공간환경사업의 법체계 정비방향 | 박창석 |
2022-04-25 | 탄소중립 이행을 위한 생활계 온실가스 배출과 인식 조사 연구 | 명수정 |
2021-07-31 | 탄소중립 이행을 위한 해상풍력발전의 생태환경적 쟁점 및 개선방향 | 이후승; 정슬기 |
2022-06-15 | 「탄소중립기본법」 시행으로 강화되는 기후위기 대응 : 적응을 중심으로 | 김창덕; 신지영 |
2022-10-31 | 탄소통상 시대 무역과 환경 관계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 방안 연구 | 김성진 |
2021-12-31 | 탄소포인트제 확장방안과 효과분석 | 김정인; 김건우 |
2006-10-30 | 탄소흡수원으로서 북한 조림 CDM사업이 갖는 효과분석-잎면적지수를 이용한 원격탐사기법을 중심으로 | 이상범 |
2012-06-30 | 태안만 원유유출사건에 대한 시장반응과 환경공시 | 최종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