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 | Title, Author(s), Publications, Issue Date | |
---|---|---|
1 |
환경영향을 고려한 재생에너지 계획입지 방안 연구
(이상범,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201031) |
|
2 |
우리나라와 주요국의 저탄소사회 전환 관련 지표 비교분석
(양유경; 이상엽,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200930) |
|
3 |
‘물과 국토환경’의 스마트 그린뉴딜 원칙과 방향
(김수빈; 강형식; 양일주; 차은지; 손승우,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200930) |
|
4 |
A study on providing land and building information considering climate change adaptation
(Jiyoung Shin; Hyunjoo Park; Chaeyoung Bae; Taehyun Kim; Hoon Chang; Eunseok Lee; Wooseok Han; Christoph Sch?nemann; Reinhard Schinke; Regine Ortlepp, Korea Environment Institute, 20201031) |
|
5 |
온실가스 배출경로에 따른 기후변화 피해비용 분석
(채여라; 김용지; 김대수,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200731) |
|
6 |
A projected population exposed to future hot weather events considering the Korean society with the low birth rate and rapid aging : for supporting regional policy measures
(Changsub Shim; Oh Seok kim; Jihyun Han; Seulki Song; Geonsoo Na; Kee Whan Kim, Korea Environment Institute, 20201015) |
|
7 |
한국형 그린뉴딜 추진전략
(이창훈; 신동원; 김익재; 최희선; 박창석; 조지혜; 김충기; 이명진,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200930) |
|
8 |
2020년 홍수 현황과 항구적 대책 방향
(이승수; 이문환; 강형식,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200930) |
|
9 |
대기배출사업장 운영 관리 가이드라인 마련 연구(I)
(공성용, 국립환경과학원, 20151130) |
|
10 |
미래예견적 국정관리지원 : Data Science로 전환을 위한 기후환경부문 모델링 연구
(이명진, 경제·인문사회연구회, 20200831) |
|
11 |
국가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2050 저탄소사회 이행방안 연구
(이상엽, 경제·인문사회연구회, 20200731) |
|
12 |
환경보건 안전망 구축을 위한 현황 진단 및 정책 로드맵
(정다운; 배현주; 오규림,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200515) |
|
13 |
폭염 시 위험지역과 취약계층 거주지역 간의 공간관계 분석
(배민기; 김보은; 이채연,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한국환경경제학회, 20200930) |
|
14 |
새로운 통합대기환경지수 개발과 호흡기 및 심혈관계 질환 사망에 미치는 영향
(신재은,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한국환경경제학회, 20200930) |
|
15 |
습지보호지역 생태계서비스지불제 도입에 대한 수혜자의 편익 추정
(김미주; 오치옥; 김남희; 주우영,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한국환경경제학회, 20200930) |
|
16 |
선택실험법을 이용한 새만금호 해수유통 정책 선호 연구
(김남희; 최성록; 오치옥,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한국환경경제학회, 20200930) |
|
17 |
환경영향평가의 공간정보 활용 강화를 위한 법제도 개선 방향 연구
(조남욱; 한현경; 이명진,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한국환경경제학회, 20200930) |
|
18 |
환경평가 지원을 위한 주요 능선축 개발계획 분석
(박종윤; 이영준; 정영근,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한국환경경제학회, 20200930) |
|
19 |
서울 도시녹지 가치 추정 : 위계선형모형을 적용한 주택특성가격 분석
(정혜경; 윤성도; 김태균; 김승규,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한국환경경제학회, 20200930) |
|
20 |
환경정의 구현 정책방향에 관한 시론적 연구 : 김포 거물대리(里) 사례를 중심으로
(박광국; 김정인,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한국환경경제학회, 20200930) |
|
21 |
경유 화물자동차 매연 배출 요인 분석
(한진석,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한국환경경제학회, 20200930) |
|
22 |
국내 폐기물 관련 용어의 정의 및 범위의 개선방안
(김도완; 배재근,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한국환경경제학회, 20200930) |
|
23 |
KEI 2020 리포트 : 연차보고서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200930) |
|
24 |
통합분석모형을 이용한 생태하천 복원사업의 사회적 편익 추정
(김현노; 이홍림,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200831) |
|
25 |
디지털 뉴딜 기반의 환경정책 연구 전환
(조윤랑; 이명진; 진대용; 김도연,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200731) |
|
26 |
바람직한 통합 물관리를 위한 농업용수 관리 정책
(류재나; 강형식; 최지용; 최진용,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200630) |
|
27 |
지속가능성 정책 지원을 위한 환경용량 평가 체계 및 활용 연구
(이승준,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200802) |
|
28 |
지역 차원의 미세먼지 관리 필요성 : 농축산 부문 암모니아 다배출 지역을 중심으로
(심창섭; 한지현; 최기철; 공성용,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200731) |
|
29 |
P4G 파트너십 의제 개발 및 개발 및 국내 대응방안 연구
(김호석,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200430) |
|
30 |
미래 환경 대응력 강화를 위한 환경평가 부문 데이터 융복합 활용방안
(이병권,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200430) |
|
31 |
한반도 지속가능 발전을 위한 북한 환경 연구 로드맵 수립 : 북한 환경 실태 기초조사를 통한 미래 친환경 통일 한반도 기반 구축
(추장민,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91220) |
|
32 |
폐기물처리시설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중장기 발전방안
(안준영; 이상윤,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200430) |
|
33 |
친환경 스마트도시로의 전환을 위한 중장기 연구개발 전략 로드맵
(박창석,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200430) |
|
34 |
신재생에너지 확대와 미래 환경변화 대응을 위한 중장기 발전방향 : 수상태양광 발전사업 현황과 효율적 추진방향
(노태호,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200430) |
|
35 |
인체 위해성 기반의 미세먼지 관리 전략 수립을 위한 기획연구
(심창섭,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200430) |
|
36 |
지속가능발전 정책개발을 위한 기획연구
(김호석,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200430) |
|
37 |
친환경적 데이터 응용기술 활용 정책개발을 위한 기획연구
(강성원,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200430) |
|
38 |
환경보건 분야 안전망 구축을 위한 정책개발 기획연구
(배현주,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200430) |
|
39 |
국제환경협력 로드맵 수립을 위한 기획연구
(김호석,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200430) |
|
40 |
자연환경 최적관리를 위한 중장기 로드맵
(이승준; 오일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200430) |
|
41 |
포용적 녹색사회를 위한 사회환경 기획연구
(정우현,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200430) |
|
42 |
바람직한 통합물관리를 위한 중장기 정책연구 로드맵
(류재나,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200430) |
|
43 |
신재생에너지 확대와 미래 환경변화 대응을 위한 중장기 발전방향 : 육상풍력 발전산업의 현황과 추진방향
(이영준,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200430) |
|
44 |
신재생에너지 확대와 미래 환경변화 대응을 위한 중장기 발전방향 : 육상태양광발전 보급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방안
(이상범,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200430) |
|
45 |
자원순환 분야 관리 전략 수립을 위한 기획연구
(이소라,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200430) |
|
46 |
국가 기후 및 에너지 관리 정책개발 기획연구
(이상엽,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200430) |
|
47 |
Development of ecoinformatics biodiversity assessment tools
(Who-Seung Lee; Hee Sagong; Yong Jun Joo; Seulki Jeong, Korea Environment Institute, 20200731) |
|
48 |
지속가능발전과 정책정합성 : 포스트 코로나19 시대 정책의 핵심 요소
(김호석,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200331) |
|
49 |
저주파 소음 환경영향평가 개선방안
(선효성,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200630) |
|
50 |
동북아환경협력계획 제23차 고위급회의 결론 요약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국제·북한협력연구실,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91231) |